SK 최태원 "젠슨 황, HBM 개발 속도 얘기 안 해...충분히 준비"[기업]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GPU 1개에 HBM 12개 붙이는 시대…공급이 병목" AI 팹·데이터센터·에이전트로 '토털 인프라' 도전 오픈AI·엔비디아·AWS와 맞손…글로벌 전선 구축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 오디토리움에서 열린 'SK AI 서밋 2025' 키노트 세션에서 'AI Now & Next'를 주제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사진=이명근 기자 qwe123@ SK그룹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인공지능(AI) 수요에 대응해 반도체와 데이터센터를 아우르는 'AI 인프라 기업'으로의 전환을 본격화했다. 엔비디아·오픈AI·아마존웹서비스(AWS) 등 글로벌 빅테크와의 협력 구도를 전면에 내세워 HBM(고대역폭메모리) 공급 병목을 해소하고 한국이 글로벌 AI 3대 축 안에 자리 잡도록 하겠다는 구상이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3일 서울 강남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서밋 2025' 기조연설에서 "SK그룹은 생산능력을 확대하고 기술 혁신을 통해 메모리 병목 현상을 풀어가고 있다"며 "AI ...
기사 본문
‘SK AI 서밋 2025’서 기조연설 “젠슨 황도 우리를 핵심공급사 집어 너무 많은 기업들이 칩 요청해 걱정” 시총 질문엔 “조금 더 올라갈것 희망”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서밋 2025’ 기조연설을 진행하던 도중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의 영상이 상영되고 있다. 송은석 기자 silverstone@donga.com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인공지능(AI) 확산에 따른 전 세계 메모리 반도체 공급 부족을 언급하며 “SK하이닉스의 메모리 반도체 생산량을 늘려 병목 현상을 해결하겠다”고 말했다. 고대역폭메모리(HBM)를 중심으로 한 SK하이닉스의 기술력에 자신감을 내비친 것이다. 최 회장은 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서밋 2025’에서 “SK하이닉스의 기술력은 업계에서 충분히 증명됐다”며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도 SK하이닉스를 ‘메이저 서플라이’(핵심 공급사)로 집었다”며 HBM 사업에 대한 ...
기사 본문
최태원 SK그룹 회장. 사진=SK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인공지능(AI)의 ‘다음(Next)’을 열기 위해 SK가 풀어갈 과제로 △차세대 AI 반도체(칩) 성능을 뒷받침할 안정적인 메모리반도체 공급 △미래 AI 인프라 구축 △AI 과제 해결을 위한 적극적인 AI 활용을 꼽았다.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AI 수요에 제 때 대응하기 위한 SK의 청사진으로 ‘가장 효율적인 AI 설루션 제공 기업’을 제시하며 ‘고객(파트너사)과 함께’ 내일의 AI 미래를 열겠다는 포부도 밝혔다. 최 회장은 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Summit(서밋) 2025’ 기조연설에서 AI의 다음을 위해 ‘지금(Now)’ 해야 할 노력들에 대한 견해를 밝혔다. 올해는 AI의 현재를 진단하고 미래를 조망하는 의미의 ‘AI Now & Next’를 주제로 열렸다. 지난해에 이어 최 회장은 올해도 기조연설에 나서 지난 1년 간 AI 생태계 발전을 위한 SK의 노력을 돌아보고 앞으로 혁신 방향을 제시했다. 최...
기사 본문
3일 'SK AI 서밋 2025' 개최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메모리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세가지 해법을 제시하며 "SK는 가장 효율적인 AI 솔루션 제공 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사진은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SK 인공지능(AI) 서밋 2025' 개막 기조연설을 진행 중인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모습. /사진=김성아 기자 인공지능(AI) 시대의 가장 치열한 전선은 '메모리'로 옮겨가고 있다. AI 투자 열풍 속에서 글로벌 기업들이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메모리 공급을 잇따라 요청하면서 '공급 부족'(쇼티지) 우려가 전 세계를 뒤흔들고 있기 때문이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메모리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세가지 해법을 제시하며 "SK는 가장 효율적인 AI 솔루션 제공 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최 회장은 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서밋 2025' 개막 기조연설에서 "올해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기사 본문
최태원 ‘AI 서밋’ 기조연설 “규모로만 싸우면 양극화 심화” 수요·공급 불일치 문제 해법 제시 용인 등 공장늘려 생산력 확보 AI 활용 공정 완전 자동화 목표 SK그룹이 글로벌 인공지능(AI) 전환 과정에서 발생한 수요와 공급 불일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법으로 글로벌 기업들과의 파트너십을 제시했다. 반도체와 AI데이터센터, 에너지솔루션 등 SK그룹이 가진 AI 역량을 결집해 제공하는 통합 솔루션에 대한 청사진도 공개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서밋 2025’에서 “AI 스케일(규모) 경쟁이 아닌 효율 경쟁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며 “규모로만 싸우면 너무 많은 돈이 투입되고, AI 양극화가 심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기존엔 거대언어모델(LLM) 등 큰 AI 모델을 학습하는 데 기업들이 주력했지만, 지금은 ‘효율화’가 AI 경쟁의 핵심이 됐다는 의미다.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로 열리는 SK AI 서밋은 국내 최대 AI 행사...
기사 본문
‘SK AI 서밋 2025’ 기조연설 “한동안 수요와 공급 불일치” 전망 “젠슨 황, 개발 속도 말 안 해” 자신감 올트먼 “기술 역량·전문성 커졌다” 아마존 CEO “차세대 분야서 협력” 샘 올트먼 ‘영상 메시지’ - 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서밋’에서 최태원(오른쪽) SK그룹 회장이 기조연설을 하면서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보내온 영상 메시지를 공개하고 있다. 연합뉴스 SK그룹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인공지능(AI) 메모리 수요에 생산능력(케파)를 늘리고 기술 개선으로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서밋 2025’ 기조연설에서 “너무 많은 곳으로부터 메모리 반도체 공급 요청을 받고 있어서 이걸 다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 고민이 깊다”며 이렇게 말했다. 최 회장은 AI 시장에서 ▲추론의 본격화 ▲기업간거래(B2B) 분야의 AI 도입 ▲AI 에이전트의 등장에 이어 세계 각국에서 ‘소버린 ...
기사 본문
SK AI 서밋 2025 기조연설서 "AI 수요·성장 속도 폭발적" "AI 스케일 경쟁 아닌 효율 경쟁으로 패러다임 전환해야" "효율적이고 이상적인 AI 인프라 구조 찾기 노력 지속" "파트너들과 경쟁 않고 최고 효율의 AI 설루션 찾을 것"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Summit(서밋) 2025’에서 ‘AI Now & Next’를 주제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SK그룹 [데일리안 = 고수정 기자]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3일 "기술 발전 속도를 강조하는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조차도 더 이상 개발 속도는 이야기를 하지 않는다"며 SK그룹은 생산능력(캐파)을 늘리고 기술 개선을 통해 메모리 병목 현상을 해결하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이날 오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서밋 2025'에서 기조연설에 나서 "SK하이닉스의 기술력은 이미 업계에 증명됐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최근 AI 업계의 큰 화두...
기사 본문
메모리·데이터센터·제조AI →'AI 인프라' 통합 최태원 "모델 경쟁 아닌 효율 경쟁, 글로벌 협력" 오픈AI·엔비디아와 글로벌 공급망 연합 강화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3일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서밋'에 참가해 키노트 발언을 하고 있다. ⓒ임채현 기자 [데일리안 = 임채현 기자] SK그룹이 메모리 반도체와 데이터센터, 제조·운영 시스템을 하나의 축으로 통합하는 AI 인프라 전략을 본격화했다. AI 추론 수요 확대와 국가·기업 단위의 소버린 AI 구축 움직임이 가속화되면서 GPU·전력·메모리 대역폭·데이터센터 입지 등 공급 제약이 동시다발적으로 부각되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특히 오픈AI·엔비디아 등 글로벌 기술 기업과 협력을 강화해 AI 인프라 공급망을 선점하겠다는 전략적 의지도 분명히 했다. AI 경쟁의 중심이 '얼마나 큰 모델을 학습시키는가'에서 '어떤 구조로 더 효율적으로 운영하는가'로 이동하고 있다는 것이 SK의 판단이다. 3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서밋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