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종룡, 우리금융 숙제 또 풀었다...상업·한일 동우회, 26년만에 통합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종합)출신별 갈등의 씨앗이던 동우회, '우리은행 동우회'로 통합 3일 서울 효자동 소재 우리동우회 사무실에서 열린 '통합 우리은행 동우회 출범 기념식'에서 우리은행 전현직 임직원이 기념촬영을 하고있다. (왼쪽 다섯번째부터 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 강원·유중근 우리동우회 공동대표, 정진완 우리은행 행장) /사진제공=우리금융 "선배님들께서 이번 통합을 이뤄내시며 후배들에게 참된 본보기를 보여주셨듯이 저희 후배들도 그 뜻을 이어받아 그룹 전 임직원이 한마음으로 합심해 신뢰받는 종합금융그룹으로서 맡은 바 역할과 책임을 다하겠습니다." 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은 3일 서울 종로구 효자동에 새롭게 단장한 통합 동우회 사무실에서 열린 '통합 우리은행 동우회 출범 기념식'에서 "올해 1월3일 동우회 통합을 위한 첫발을 내디딘 날이 떠오른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날은 우리은행이 옛 상업은행과 한일은행 출신 퇴직직원 동우회가 합병 26년 10개월 만에 '우리은행 동우회'로의 통합을 완성한 날이다...
기사 본문
‘우리은행 동우회’로 통합 출범, 고질적 계파 문화 사라질까 주목 1999년 한일은행과 상업은행이 통합해 출범한 우리은행이 26년 만에 퇴직 직원 동우회를 통합하는 작업을 완료했다. 1970년대 설립된 상업·한일은행 동우회는 두 은행이 우리은행으로 통합한 후에도 지금까지 각각 따로 운영되고 있었다. 우리금융그룹은 3일 오전 서울 종로구 효자동에 꾸린 통합 동우회 사무실에서 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 정진완 우리은행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통합 우리은행 동우회 출범 기념식’을 개최했다. 두 동우회는 친목과 상호 부조를 위한 퇴직 직원들의 자율적 모임으로, 우리은행이 1999년 합병된 이후에도 각각 ‘효자동 동우회(상업은행)’와 ‘을지로 동우회(한일은행)’라는 이름으로 따로따로 운영돼 왔다. 이렇다 보니 우리은행에서 함께 근무한 직원들이 퇴직 후에는 자신의 출신 은행별로 각자 다른 동우회에 가입해 왔다. 회원 수는 상업은행 동우회 2900여 명, 한일은행 동우회 3300여 명 정도다. ...
기사 본문
[백브리핑] 1999년 한일은행과 상업은행이 통합해 출범한 우리은행이 26년 만에 퇴직 직원 동우회를 통합하는 작업을 마쳤습니다. 1970년대 설립된 두 은행의 동우회는 우리은행 통합 이후에도 따로 운영되고 있었는데, 두 동우회가 해산하고 하나로 합친 겁니다. 두 은행 동우회는 퇴직 직원들의 자율적 모임으로 각각 ‘효자동 동우회(상업은행)’와 ‘을지로 동우회(한일은행)’라는 이름이었습니다. 우리은행에서 함께 근무한 직원들이 퇴직 후에는 자신의 출신 은행별로 서로 다른 동우회에 가입했습니다. 갈라진 동우회는 우리은행을 둘러싼 각종 계파 갈등의 원인으로 지목되기도 했습니다. 우리은행에서 불거진 채용 비리나 부당 대출 같은 사고가 드러난 배경에 두 은행 출신 인사들 간 갈등이 있었는데, 서로 갈라진 동우회도 한몫했다는 시각도 있습니다. 이 때문에 2023년에 취임한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은 양 동우회 간부들에게 통합 필요성을 부지런히 설명했다고 합니다. 통합까지 쉽지 않았습니다. 별 탈 없...
기사 본문
1999년 합병 이후에도 각각 운영...올해 초부터 통합 논의 본격화 임종룡 “종합금융그룹 재도약을 위한 내부 통합이 경쟁력의 기반” 2일 서울 효자동 소재 우리동우회 사무실에서 열린 '통합 우리은행 동우회 출범 기념식'이 열렸다. (왼쪽 다섯번째부터)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 강원·유중근 우리동우회 공동대표, 정진완 우리은행 행장 등 우리은행 전현직 임직원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우리은행] [이코노미스트 김윤주 기자] 우리은행은 옛 상업은행과 한일은행 출신 퇴직직원 동우회가 합병 26년 10개월 만에 ‘우리은행 동우회’로의 통합을 완료했다고 3일 밝혔다. 우리금융그룹은 이날 서울 종로구 효자동에 새롭게 단장한 통합 동우회 사무실에서 ‘통합 우리은행 동우회 출범 기념식’을 개최했다. 행사에는 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과 정진완 우리은행장을 비롯해 통합 동우회의 공동대표를 맡은 강원·유중근 회장 등 관계자들이 참석해 역사적인 통합을 축하했다. 동우회는 퇴직직원 간의 친목과 상호...
기사 본문
왼쪽 다섯번째부터 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 강원·유중근 우리동우회 공동대표, 정진완 우리은행 행장 ⓒ우리은행 [디지털데일리 강기훈 기자] 우리은행은 옛 상업은행과 한일은행 출신 퇴직직원 동우회가 합병 26년 10개월 만에 ‘우리은행 동우회’로의 통합을 완료했다고 3일 밝혔다. 우리금융그룹은 이날 서울 종로구 효자동에 새롭게 단장한 통합 동우회 사무실에서 ‘통합 우리은행 동우회 출범 기념식’을 개최했다. 행사에는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과 정진완 우리은행장을 비롯해 통합 동우회의 공동대표를 맡은 강원·유중근 회장 등 관계자들이 참석해 역사적인 통합을 축하했다. 동우회는 퇴직직원 간의 친목과 상호부조를 위한 자율적 모임이다. 1970년대에 상업은행, 한일은행에서 각각 설립된 동우회는 1999년 두 은행의 합병 이후에도 통합되지 않은 채 26년간 별도로 운영돼왔다. 이로 인해 현직 시절 함께 근무했던 직원들이 퇴직 후에는 출신 은행에 따라 다른 동우회에 속하는 형태가 유지됐다. 그러나 합병...
기사 본문
Zoom In 상업·한일은행 출신 통합 동우회 출범 기념식 외환위기로 두 은행 합병했지만 직원들은 장기간 융화 못해 임 회장, 계파문화 타파 추진 직접 설득 끝에 통합 이뤄내 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왼쪽 다섯 번째)이 3일 서울 효자동 우리동우회 사무실에서 '통합 우리은행 동우회 출범 기념식'을 연 뒤 손을 잡고 있다. 왼쪽 다섯 번째부터 임 회장, 강원·유중근 우리동우회 공동대표, 정진완 우리은행장. 우리은행 제공 ‘우리은행 탄생의 아버지.’ 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66)을 언급할 때 우리은행 직원들이 흔히 쓰는 표현이다. 30년간 관료로 지내다가 환갑이 훌쩍 지나 우리금융에 합류한 그를 이렇게 부르는 배경은 외환위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외환위기 전까지만 해도 국내엔 우리은행이라는 이름의 은행이 존재하지 않았다. 대신 상업은행과 한일은행으로 불리는 두 은행이 있었다. 두 은행이 설립된 시기는 각각 1899년과 1932년. 당시 총자산 규모가 국내 기준 각각 6위와 5위인 대...
기사 본문
1999년 합병 이후에도 각각 운영 올초부터 통합 논의 본격화해 결실 맺어 임종룡 회장 "내부 통합이 경쟁력의 기반" 강조 우리은행은 옛 상업은행과 한일은행 출신 퇴직직원 동우회가 합병 26년 10개월 만에 '우리은행 동우회'로의 통합을 완료했다고 3일 밝혔다. 우리금융그룹은 이날 서울 종로구 효자동에 새롭게 단장한 통합 동우회 사무실에서 '통합 우리은행 동우회 출범 기념식'을 개최했다. 행사에는 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과 정진완 우리은행장을 비롯해 통합 동우회의 공동대표를 맡은 강원·유중근 회장 등 관계자들이 참석해 역사적인 통합을 축하했다. 동우회는 퇴직직원 간의 친목과 상호부조를 위한 자율적 모임이다. 1970년대에 상업은행, 한일은행에서 각각 설립된 동우회는 1999년 두 은행의 합병 이후에도 통합되지 않은 채 26년간 별도로 운영돼왔다. 이로 인해 현직 시절 함께 근무했던 직원들이 퇴직 후에는 출신 은행에 따라 다른 동우회에 속하는 형태가 유지됐다. 그러나 합병 후 입행한 ...
기사 본문
1999년 합병됐지만 따로 운영 우리은행 ‘계파 갈등’ 해소 기대 임종룡 회장 “화학적 결합 완성” 3일 우리동우회 사무실에서 열린 ‘통합 우리은행 동우회 출범 기념식’에서 임종룡(왼쪽 다섯 번째) 우리금융 회장 등 전현직 임직원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서울경제] 외환위기의 한복판이었던 1998년 7월 31일, 배찬병 당시 상업은행장과 이관우 한일은행장이 두 은행의 합병을 발표했다. 같은 해 6월 옛 금융감독위원회로부터 조건부 승인 판정을 받고 경영 정상화 계획을 제출해야 했는데 은행을 합쳐 경쟁력을 높이고 구조조정을 하겠다는 구상이었다. 그렇게 두 은행은 1999년 통합 한빛은행(현 우리은행)으로 다시 태어났다. 옛 상업은행과 한일은행이 통합해 출범한 우리은행이 26년 만에 퇴직 직원 동우회를 하나로 합쳤다. 은행은 1999년에 한 몸이 됐지만 퇴직 직원 동우회는 지금까지 따로 운영돼왔다. 우리금융그룹은 3일 옛 상업은행과 한일은행 퇴직 직원 동우회가 ‘우리은행 동우회’로 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