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반도체·데이터센터 축으로 종합 AI그룹 될 것"
관련 기사 목록 14개
기사 본문
SK 'AI 서밋'서 기조연설 "비효율적 경쟁보다 협력 우선 엔비디아·아마존 등 모든 빅테크 스타트업·정부와도 함께 할 것" "메모리칩 수요 기하급수적 늘어" 병목에 용인·청주공장 증설도 정재헌 SKT 사장 취임 첫 데뷔 "아시아로 AI 데이터센터 수출" 최태원 SK 회장이 3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서밋'에서 '인공지능의 현재와 미래'를 주제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이솔 기자 “(대한민국과 SK그룹이) 아마존웹서비스(AWS)의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를 유치하고, 엔비디아의 그래픽처리장치(GPU)를 대량 확보한 건 시작에 불과합니다. 중요한 것은 AI 데이터센터와 GPU로 무엇을 하느냐입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3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서밋’에서 기자들과 만나 AWS, 엔비디아 등 빅테크와의 협업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그는 “SK는 메모리반도체와 AI 데이터센터 사업을 양대 축으로 ‘종합 AI 솔루션 기업’으로 거듭날 것”이라...
기사 본문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 오디토리움에서 열린 ‘2025 SK 인공지능(AI) 서밋’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장진영 기자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조차도 우리에게 더 이상 (메모리) 개발 속도 얘기는 하지 않습니다. (SK가) 충분히 준비돼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5 SK 인공지능(AI) 서밋’ 키노트 기조연설에서 이렇게 말했다. 폭발하는 AI 수요를 공급이 따라가지 못하면서 생기는 병목 현상을 SK의 캐파(CAPA·생산능력)와 기술력으로 돌파하겠다는 의지다. SK AI 서밋은 반도체·에너지솔루션·AI데이터센터(AI DC)·에이전트 서비스 등 SK그룹의 AI 경쟁력을 선보이는 자리다. 이날 남색 셔츠에 청바지 차림으로 연단에 오른 최 회장은 “에너지, 석유와 달리 AI는 안정된 수요 예측 모델이 존재하지 않지만, AI 수요가 폭증할 것이란 근거는 많다”며 ▶추론(inference)의...
기사 본문
"GPU 1개에 HBM 12개 붙이는 시대…공급이 병목" AI 팹·데이터센터·에이전트로 '토털 인프라' 도전 오픈AI·엔비디아·AWS와 맞손…글로벌 전선 구축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 오디토리움에서 열린 'SK AI 서밋 2025' 키노트 세션에서 'AI Now & Next'를 주제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사진=이명근 기자 qwe123@ SK그룹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인공지능(AI) 수요에 대응해 반도체와 데이터센터를 아우르는 'AI 인프라 기업'으로의 전환을 본격화했다. 엔비디아·오픈AI·아마존웹서비스(AWS) 등 글로벌 빅테크와의 협력 구도를 전면에 내세워 HBM(고대역폭메모리) 공급 병목을 해소하고 한국이 글로벌 AI 3대 축 안에 자리 잡도록 하겠다는 구상이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3일 서울 강남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서밋 2025' 기조연설에서 "SK그룹은 생산능력을 확대하고 기술 혁신을 통해 메모리 병목 현상을 풀어가고 있다"며 "AI ...
기사 본문
최태원 SK그룹 회장. 사진=SK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인공지능(AI)의 ‘다음(Next)’을 열기 위해 SK가 풀어갈 과제로 △차세대 AI 반도체(칩) 성능을 뒷받침할 안정적인 메모리반도체 공급 △미래 AI 인프라 구축 △AI 과제 해결을 위한 적극적인 AI 활용을 꼽았다.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AI 수요에 제 때 대응하기 위한 SK의 청사진으로 ‘가장 효율적인 AI 설루션 제공 기업’을 제시하며 ‘고객(파트너사)과 함께’ 내일의 AI 미래를 열겠다는 포부도 밝혔다. 최 회장은 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Summit(서밋) 2025’ 기조연설에서 AI의 다음을 위해 ‘지금(Now)’ 해야 할 노력들에 대한 견해를 밝혔다. 올해는 AI의 현재를 진단하고 미래를 조망하는 의미의 ‘AI Now & Next’를 주제로 열렸다. 지난해에 이어 최 회장은 올해도 기조연설에 나서 지난 1년 간 AI 생태계 발전을 위한 SK의 노력을 돌아보고 앞으로 혁신 방향을 제시했다. 최...
기사 본문
‘SK AI 서밋 2025’ 기조연설 “한동안 수요와 공급 불일치” 전망 “젠슨 황, 개발 속도 말 안 해” 자신감 올트먼 “기술 역량·전문성 커졌다” 아마존 CEO “차세대 분야서 협력” 샘 올트먼 ‘영상 메시지’ - 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서밋’에서 최태원(오른쪽) SK그룹 회장이 기조연설을 하면서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보내온 영상 메시지를 공개하고 있다. 연합뉴스 SK그룹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인공지능(AI) 메모리 수요에 생산능력(케파)를 늘리고 기술 개선으로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서밋 2025’ 기조연설에서 “너무 많은 곳으로부터 메모리 반도체 공급 요청을 받고 있어서 이걸 다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 고민이 깊다”며 이렇게 말했다. 최 회장은 AI 시장에서 ▲추론의 본격화 ▲기업간거래(B2B) 분야의 AI 도입 ▲AI 에이전트의 등장에 이어 세계 각국에서 ‘소버린 ...
기사 본문
[SK AI 서밋 2025] 최태원 회장 기조연설 "SK 기술력, 충분히 증명… 젠슨황도 개발 재촉 안 해" 샘 올트먼 등 협력 메시지 태원 SK그룹 회장이 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 오디토리움에서 열린 'SK AI 서밋 2025' 키노트 세션에서 'AI Now & Next'를 주제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사진=뉴스1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AI(인공지능)산업은 이제 규모의 경쟁이 아닌 효율의 경쟁으로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한 시기"라며 "가장 효율적인 'AI 솔루션 기업'이 되겠다"고 밝혔다. 주당 62만원을 돌파한 SK하이닉스 주가와 관련해선 "'얼마까지 갈 수 있느냐' 이렇게 물으신다면 정확히 저도 아는 바가 없다"면서도 "조금 더 올라가겠죠"라고 했다. 최 회장은 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SK AI서밋' 기조연설에서 "2020년 2300억달러(약 328조원) 규모였던 AI데이터센터 투자가 올해는 6000억달러(약 856조원) 수준으로 확대됐다"며 "B2B(기업간 거...
기사 본문
3일 'SK AI 서밋 2025' 개최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메모리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세가지 해법을 제시하며 "SK는 가장 효율적인 AI 솔루션 제공 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사진은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SK 인공지능(AI) 서밋 2025' 개막 기조연설을 진행 중인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모습. /사진=김성아 기자 인공지능(AI) 시대의 가장 치열한 전선은 '메모리'로 옮겨가고 있다. AI 투자 열풍 속에서 글로벌 기업들이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메모리 공급을 잇따라 요청하면서 '공급 부족'(쇼티지) 우려가 전 세계를 뒤흔들고 있기 때문이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메모리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세가지 해법을 제시하며 "SK는 가장 효율적인 AI 솔루션 제공 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최 회장은 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서밋 2025' 개막 기조연설에서 "올해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기사 본문
SK AI 서밋 2025 기조연설서 "AI 수요·성장 속도 폭발적" "AI 스케일 경쟁 아닌 효율 경쟁으로 패러다임 전환해야" "효율적이고 이상적인 AI 인프라 구조 찾기 노력 지속" "파트너들과 경쟁 않고 최고 효율의 AI 설루션 찾을 것"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Summit(서밋) 2025’에서 ‘AI Now & Next’를 주제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SK그룹 [데일리안 = 고수정 기자]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3일 "기술 발전 속도를 강조하는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조차도 더 이상 개발 속도는 이야기를 하지 않는다"며 SK그룹은 생산능력(캐파)을 늘리고 기술 개선을 통해 메모리 병목 현상을 해결하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이날 오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서밋 2025'에서 기조연설에 나서 "SK하이닉스의 기술력은 이미 업계에 증명됐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최근 AI 업계의 큰 화두...
기사 본문
최태원 ‘AI 서밋’ 기조연설 “규모로만 싸우면 양극화 심화” 수요·공급 불일치 문제 해법 제시 용인 등 공장늘려 생산력 확보 AI 활용 공정 완전 자동화 목표 SK그룹이 글로벌 인공지능(AI) 전환 과정에서 발생한 수요와 공급 불일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법으로 글로벌 기업들과의 파트너십을 제시했다. 반도체와 AI데이터센터, 에너지솔루션 등 SK그룹이 가진 AI 역량을 결집해 제공하는 통합 솔루션에 대한 청사진도 공개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서밋 2025’에서 “AI 스케일(규모) 경쟁이 아닌 효율 경쟁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며 “규모로만 싸우면 너무 많은 돈이 투입되고, AI 양극화가 심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기존엔 거대언어모델(LLM) 등 큰 AI 모델을 학습하는 데 기업들이 주력했지만, 지금은 ‘효율화’가 AI 경쟁의 핵심이 됐다는 의미다.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로 열리는 SK AI 서밋은 국내 최대 AI 행사...
기사 본문
메모리·데이터센터·제조AI →'AI 인프라' 통합 최태원 "모델 경쟁 아닌 효율 경쟁, 글로벌 협력" 오픈AI·엔비디아와 글로벌 공급망 연합 강화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3일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서밋'에 참가해 키노트 발언을 하고 있다. ⓒ임채현 기자 [데일리안 = 임채현 기자] SK그룹이 메모리 반도체와 데이터센터, 제조·운영 시스템을 하나의 축으로 통합하는 AI 인프라 전략을 본격화했다. AI 추론 수요 확대와 국가·기업 단위의 소버린 AI 구축 움직임이 가속화되면서 GPU·전력·메모리 대역폭·데이터센터 입지 등 공급 제약이 동시다발적으로 부각되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특히 오픈AI·엔비디아 등 글로벌 기술 기업과 협력을 강화해 AI 인프라 공급망을 선점하겠다는 전략적 의지도 분명히 했다. AI 경쟁의 중심이 '얼마나 큰 모델을 학습시키는가'에서 '어떤 구조로 더 효율적으로 운영하는가'로 이동하고 있다는 것이 SK의 판단이다. 3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서밋 ...
기사 본문
핵심요약 최태원 "AI 수요 폭발, 공급 병목 심화로 이어질 것" "AI는 효율의 경쟁"…폭증하는 수요, 병목 해소 해법 제시 '스타게이트' 합류한 SK…오픈AI·AWS 등과 글로벌 동맹 강화 폭증하는 HBM 수요 대응…용인 클러스터·M15X로 확충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 오디토리움에서 열린 'SK AI 서밋 2025' 키노트 세션에서 'AI Now & Next'를 주제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3일 AI 업계의 화두는 '예측하기 어려운 폭발적 성장과 이를 따라가기 힘든 공급'이라며, 엔비디아·오픈AI·아마존웹서비스(AWS) 등 글로벌 기업들과의 협력 등을 통해 AI 인프라 공급망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최 회장은 이날 서울에서 열린 'SK AI 서밋 2025' 개막연설에서 "AI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나지만, 컴퓨팅 파워 공급은 그 속도를 따라가기 어렵다"며 "GPU뿐 아니라 메모리, 전력, 공장 리드타임, 지정학(적 원인)...
기사 본문
'SK AI 서밋 2025' 개최 메모리 공급 병목화 해결 오픈AI·아마존도 중시한 SK "인공지능(AI)은 스케일이 아닌 효율 경쟁으로 패러다임이 전환이 필요한 상태입니다. 스케일만 갖고 서로 간에 싸우게 되면 너무 많은 돈이 투여되고 상당히 비효율이 일어납니다. 이걸 좀 더 효율적으로 쓸 방법이 필요합니다." 최태원 SK 회장(사진)은 3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서밋 2025’에서 이 같이 말했다. 최 회장은 "스케일로만 승부 본다면 AI 디바이드(디지털 격차)가 아주 심화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효율성을 좀 더 만들어 리소스가 적은 나라도 AI를 훨씬 접근하기 쉽게 만들어 혜택을 볼 수 있어야 되겠다고 생각한다"고 부연했다. SK그룹은 이처럼 스케일 경쟁을 멈추고 효율성 재고를 위해 크게 3가지 영역에서 솔루션을 찾고 있다. 메모리·기술, AI 데이터센터(AIDC), AI 제조(manufacturing)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
기사 본문
최태원, SK AI 서밋 기조연설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서밋 2025’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한주형 기자]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3일 열린 SK 인공지능(AI) 서밋 행사에서 AI 인프라스트럭처 밸류체인 본격 구축과 함께 AI의 미래를 열기 위해 SK가 풀어가야 할 과제로 △차세대 AI 반도체(칩) 성능을 뒷받침할 안정적 메모리 반도체 공급 △미래 AI 인프라 구축 △AI 과제 해결을 위한 적극적인 AI 활용을 꼽았다. 특히 폭발적인 AI 수요 증가로 인한 병목현상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SK의 청사진으로 ‘가장 효율적인 AI 솔루션 제공 기업’을 제시하며 고객·파트너들과 함께 AI의 미래를 열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최 회장은 미래 주력 산업으로 급부상한 AI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혁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최근 AI 업계의 화두로 폭발적 수요에 대비한 AI 인프라 투자 증가를 꼽았다. 안정된 수요 예측 모델...
기사 본문
■SK AI 서밋 2025 "韓 메모리, 엔비디아 공급망 핵심" "엔비디아 GPU 25만장 소화 가능" AI 메모리 공급 부족 지속 전망 최태원 SK 회장이 3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서밋 2025에서 기자들과 만나 질의응답하고 있다. 공동취재단 [서울경제] 최태원 SK(034730) 회장이 최근 이어진 그룹 차원의 리밸런싱(사업 구조 재편)에 대해 “튼튼해질 때까지 이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최근 에너지와 반도체, 인공지능(AI) 등 핵심 사업을 중심으로 리밸런싱이 이어진 가운데 사업 포트폴리오 조정이 이어질 수 있다고 본 것이다. 최근 60만 원을 돌파한 SK하이닉스(000660) 의 주가 향방에 대해선 “조금 더 올라가는 것이 제 희망"이라고 했다. 최 회장은 지난 3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서밋 2025에서 기자들과 만나 리밸런싱 지속 여부에 대해 “리밸런싱이라고 말하지만 저희 내부에선 오퍼레이션을 얼마나 더 튼튼하게 만드느냐의 문제”라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