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서 남준다…20대 이공계 석·박사 72% "외국 이직 고려"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바이오·IT·조선 [구혁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이 19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교보빌딩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대회의실에서 열린 '제3차 과학기술인재 유출방지 및 유치 TF 회의'에서 토론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우리나라 석·박사급 이공계 인력 10명 중 4명은 외국으로 떠날 의향이 있거나 실제로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주로 금전 요인(보상), 연구 환경 등의 측면에서 불만이 컸습니다. 한국은행이 3일 공개한 '이공계 인재 해외 유출 결정요인과 정책적 대응 방향'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체류 중인 우리나라 이공계 석·박사급 1천916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42.9%가 "향후 3년 내 외국 이직을 고려하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특히 이 가운데 5.9%는 구체적 외국 이직 계획을 수립했거나 현재 인터뷰 등을 진행 중이었습니다. 분야별로는 바이오·제약·의료기(48.7%)에서 이직 고려율이 가장 높았고, IT·소프트웨어·통신(44.9%)뿐 아니라 우리나라가 경쟁력 우위...
기사 본문
사진=한경DB 국내 과학기술 인재의 해외 이탈이 심화 되고 있다. 특히 20~30대 젊은 이공계 인력 10명 중 7명이 열악한 연구환경과 낮은 보상체계를 이유로 해외 이직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BOK 이슈노트: 이공계 인력의 해외 유출 결정요인과 정책적 대응 방향’ 에 따르면 국내 근무 중인 이공계 인력의 42.9%가 향후 3년 내 해외 이직을 고려하고 있었다. 젊은 연구자층(20~30세대)에서는 이 비율이 70%에 달했다. 미국에서 근무하는 한국인 이공계 박사는 2010년 약 9000명에서 2021년 1만 8000명으로 두 배 늘었다. 링크드인(LinkedIn) 데이터 분석에서도 2015년 이후 바이오와 ICT 분야를 중심으로 인재 유출이 확대됐으며 국내 주요 5개 이공계 대학 출신이 전체 순 유출의 47.5%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 이직을 고려하는 가장 큰 이유는 금전적 요인(66.7%)이었다. 국내 인력의 절반 이상이 연봉 수준에 ‘불만...
기사 본문
연공서열 임금구조에 이직 의향 '美 근무' 전문인력 10년새 2배로 미국에서 일하는 한국인 석·박사급 이공계 인력이 최근 10년 새 두 배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20대는 10명 중 7명이 외국으로 떠날 의향이 있거나 실제로 준비하고 있었다. 한국은행이 3일 공개한 ‘이공계 인재 해외 유출 결정요인과 정책적 대응 방향’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체류 중인 이공계 석·박사급 1916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42.9%가 “향후 3년 내 외국 이직을 고려하고 있다”고 답했다. 연령별로 보면 20대가 72.4%로 가장 높았고 30대(61.1%), 40대(44.3%) 순이었다. 2010년 기준 미국 체류 한국인 이공계 박사는 약 9000명이었는데 2021년엔 1만8000명 수준으로 두 배 증가했다. 1년에 약 200명이 해외로 순유출된 것으로 분석됐다. 해외 이직을 원하는 이유를 묻자 66.7%가 금전적 이유를 꼽았다. 한은 분석에 따르면 국내와 해외 연구자 간 임금 격차가 컸다. 해외 체류...
기사 본문
국내외 이공계 인력 2700여명 설문조사 분석 금전적 보상체계 혁신·R&D 투자 확대와 실효성 강화 기술창업 기반 강화·전략기술 혁신 생태계 확장 필요 과학기술(이공계) 인재의 해외 유출을 막기 위해 평균 2배 가까이 차이가 나는 금전적 보상체계 혁신이 시급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연구개발(R&D) 투자 실효성 강화와, 기술창업 기반 확충·전략기술 개방을 통한 혁신 생태계 확장이 정부 정책의 핵심 방향이 돼야 한다는 목소리다. 3일 한국은행이 발간한 'BOK 이슈노트-이공계 인력의 해외유출 결정요인과 정책적 대응 방향(최준·정선영·안병탁·윤용준)'에 따르면 국내외 이공계 인력 2700여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 중 국내 근무 인력의 42.9%가 향후 3년 내 해외 이직을 고려하고 있다고 답했다. 현재 구체적으로 계획을 수립해 준비 중인 인력 역시 5.9%였다. 특히 20~30대에서는 3년 내 해외 이직 고려 비중이 70%에 달했다. 우리나라의 이공계 인력은 꾸준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