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양식품, 36년만에 '우지라면' 귀환…“프리미엄 시장서 '블랙' 잡겠다”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3일 서울 중구 보코서울명동 호텔에서 열린 삼양1963 출시 발표회에서 김정수 삼양식품 부회장(가운데)이 기자들의 질문에 답을 하고 있다.(왼쪽부터) 채혜영 부문장, 김정수 부회장, 김동천 대표 〈사진= 강성전 기자〉 삼양식품이 36년만에 '우지'로 만든 라면을 출시한다. 신제품 '삼양1963'을 필두로 프리미엄 라면 시장을 공략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불닭볶음면'에 취중돼 있는 브랜드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하기 위한 선택이다. 3일 삼양식품은 서울 중구 보코서울명동 호텔에서 신제품 '삼양1963' 출시 발표회를 갖고, 차세대 라면을 공개했다. 새롭게 출시된 '삼양1963'은 삼양브랜드를 통해 처음으로 선보이는 프리미엄 미식 라면이다. 이번 신제품에 1960년대 라면 유탕 처리 방식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해 적용했다. 동물성 기름 우지와 식물성 기름 팜유를 황금 비율로 혼합한 골든블렌드 오일로 면을 튀겼다. 김정수 삼양식품 부회장은 이번 신제품을 기반으로 또다시 과거의 영광을 되살릴 것을 ...
기사 본문
김정수 삼양식품 부회장이 3일 보코서울명동호텔에서 열린 '삼양1963' 출시 간담회에서 우지를 활용한 신제품 '삼양1963'을 선보이고 있다. /사진=이유리 기자 "우지 사건에 따른 오해로 큰 어려움을 겪었던 삼양식품이 36년 만에 정직과 진심으로 제자리를 찾는 상징적인 순간을 맞았다. '삼양1963'를 출시해 억울했던 창업주이자 시아버지인 고(故) 전중윤 명예회장의 평생 한을 조금이나마 풀어드린 것 같아 울컥하다." 3일 보코서울명동호텔에서 열린 '삼양1963' 출시 발표회에 모습을 드러낸 김정수 부회장의 목소리에는 창업주의 명예를 되찾았다는 안도와 한 세대를 관통해온 회한이 뒤섞여 있었다. 이날은 1989년 삼양라면이 전량 회수된 '우지 사건'이 발생한 지 정확히 36년이 지난 날이었으며 행사 장소 역시 삼양의 창업과 연이 깊은 남대문시장 인근이라 상징성을 더했다. 신제품은 1960년대 라면의 유탕 처리 방식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해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 특히 순수한 우지 대신 우...
기사 본문
1989년 ‘우지 파동’ 이후 재도전 개당 1500원···프리미엄 시장 공략 김정수 부회장 “삼양의 자부심 다시 세울 것” 김정수 삼양식품 부회장이 3일 서울 중구 보코서울명동 호텔에서 열린 ‘삼양 1963’ 신제품 출시 발표회에서 제품을 들고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삼양식품 [서울경제] “‘삼양1963’은 단순한 복고 제품이 아닌 명예의 복원이자 진심의 귀환입니다” 김정수 삼양식품(003230) 부회장은 3일 서울 중구 보코서울명동 호텔에서 신제품 ‘삼양1963’을 직접 공개하며 이같이 말했다. 과거 ‘우지(牛脂·소기름) 파동’으로 위기를 겪었던 삼양식품이 우지 라면을 부활시키며 과거 트라우마를 극복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다. 이번 신제품은 1963년 국내 최초의 라면인 삼양라면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했다. 과거 제조 레시피를 따라 면을 튀길 때 우지를 사용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동물성 우지와 식물성 팜유를 최적의 비율로 혼합한 골든블렌드 오일로 면을 튀겨 고소한 풍미...
기사 본문
'삼양1963' 출시…'우지파동' 명예회복 3년 기획 끝 재탄생…"원가 고민 말라" 팜유·우지 섞어 튀겨 현대적으로 재해석 김정수 삼양식품 부회장이 3일 서울 중구 보코서울명동 호텔에서 열린 '삼양1963' 출시 발표회에서 신제품을 소개하고 있다. / 사진=삼양식품 시아버지 한 풀었다 "이 프로젝트를 준비하면서 고(故) 전중윤 명예회장님을 자주 떠올렸습니다." 김정수 삼양식품 부회장은 3일 서울 중구 보코서울명동 호텔에서 열린 '삼양1963' 출시 발표회에서 신제품을 소개하던 중 이같이 말하며 목이 메었다. 삼양식품 창업주이자 시아버지인 전 명예회장의 경영 철학과 1989년 '우지(소기름) 파동' 사건을 떠올리면서였다. 김 부회장은 이날 출시 발표회에서 삼양1963을 직접 소개했다. 삼양1963은 삼양식품이 우지 파동으로 중단했던 우지 유탕 방식을 36년 만에 재도입한 프리미엄 라면이다. 김 부회장이 직접 나선 것은 우지 파동의 명예 회복과 신제품에 대한 각오가 그만큼 강하다는 것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