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양식품, ‘우지 라면’ 36년만에 부활…‘삼양1963’ 출시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삼양식품 제공 삼양식품이 1989년 ‘우지(牛脂·소기름) 파동’ 이후 단종됐던 우지로 끓인 라면을 36년 만에 다시 선보인다. 김정수 삼양식품 부회장은 3일 서울 중구 보코서울명동 호텔에서 신제품 발표 설명회를 열고 ‘삼양1963’을 공개했다. 과거 삼양라면 제조 레시피의 핵심이었던 우지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프리미엄 제품이다. 우지와 팜유를 적정 비율로 혼합한 골든블렌드 오일로 면을 튀겼고, 사골육수로 면에서 우러나온 우지의 풍미를 높였다. 1봉지당 중량은 131g, 소비자 가격은 1538원이다. 삼양식품 제공 이번 신제품 행사는 남대문시장 인근에서 진행됐다. 창업주 故 전중윤 명예회장은 남대문시장에서 ‘꿀꿀이 죽’으로 끼니를 해결하던 국민들의 모습을 보고 1963년 국내 최초 라면을 만들었다. 김정수 부회장은 “당시 남대문시장에서의 전 명예회장의 결심이 대한민국 라면의 시작이자 삼양식품의 출발점이 됐다”고 했다. 이날은 우지 파동이 발생한 1989년 11월 3일로부터 36년이 되...
기사 본문
'불닭 신화' 이은 두 번째 도전, 프리미엄 라면 '승부수' 3년 전부터 신제품을 기획, 우지 유탕 라면 재해석 "김정수 부회장, 시간은 흘러도 정신은 남는 법이지. 사람을 향한 마음이 담긴 삼양 1963을 지금의 시대에 잘 전해주길 바라네." 3일 서울 중구 보코서울명동호텔에서 열린 신제품 '삼양 1963' 출시 간담회에서 인공지능(AI)으로 복원된 삼양식품의 창업주 고(故) 전중윤 명예회장의 육성이 영상으로 울려 퍼지자, 김정수 삼양식품 부회장의 눈가가 붉어졌다. 김 부회장은 "창업주이신 시아버님이 평생 품고 계셨던 한을 조금은 풀어드린 것 같아 울컥했다"면서 "그분의 정직과 초심의 정신을 이어갈 수 있다는 점에서 울림이 크다"고 말했다. 이날 삼양식품은 1989년 11월 3일 '우지(牛脂) 파동'으로 생산이 중단된 우지 유탕(油湯) 라면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프리미엄 신제품 '삼양 1963'을 공개했다. 제품명 '1963'은 한국 최초의 라면이 출시된 해이자 삼양의 창업정신이 ...
기사 본문
삼양식품, 우지 사용 ‘삼양1963’ 출시 건강성 우려에 “팜유와 크게 다르지 않아” ‘맛’ 위해 원가 부담… “삼양라면 이상 판매 목표” 김정수 삼양라운드스퀘어 부회장이 3일 서울 중구 보코서울명동 호텔에서 신제품 ‘삼양1963’을 소개하고 있다. 윤우열 기자 cloudancer@donga.com ‘우지(牛脂·소기름) 파동’으로 사라졌던 ‘우지 라면’이 36년 만에 돌아온다. 우지가 건강에 좋지 않다는 우려 속에서도 삼양식품은 ‘진짜 맛’이라는 진정성으로 승부를 보겠다는 복안이다. 삼양식품은 3일 서울 중구 보코서울명동 호텔에서 신제품 ‘삼양1963’ 출시 발표회를 진행했다. 해당 제품은 1960년대 라면 유탕 처리 방식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제품이다. 특히 동물성 기름(우지)과 식물성 기름(팜유)을 황금 비율로 혼합한 기름으로 면을 튀겼다. 우지 라면은 사실 삼양라면의 뿌리와도 같다. 삼양식품 창업주인 고(故) 전중윤 명예회장이 남대문시장에서 ‘꿀꿀이 죽’으로 끼니를 해결하던 사...
기사 본문
'삼양1963' 출시…'우지파동' 명예회복 3년 기획 끝 재탄생…"원가 고민 말라" 팜유·우지 섞어 튀겨 현대적으로 재해석 김정수 삼양식품 부회장이 3일 서울 중구 보코서울명동 호텔에서 열린 '삼양1963' 출시 발표회에서 신제품을 소개하고 있다. / 사진=삼양식품 시아버지 한 풀었다 "이 프로젝트를 준비하면서 고(故) 전중윤 명예회장님을 자주 떠올렸습니다." 김정수 삼양식품 부회장은 3일 서울 중구 보코서울명동 호텔에서 열린 '삼양1963' 출시 발표회에서 신제품을 소개하던 중 이같이 말하며 목이 메었다. 삼양식품 창업주이자 시아버지인 전 명예회장의 경영 철학과 1989년 '우지(소기름) 파동' 사건을 떠올리면서였다. 김 부회장은 이날 출시 발표회에서 삼양1963을 직접 소개했다. 삼양1963은 삼양식품이 우지 파동으로 중단했던 우지 유탕 방식을 36년 만에 재도입한 프리미엄 라면이다. 김 부회장이 직접 나선 것은 우지 파동의 명예 회복과 신제품에 대한 각오가 그만큼 강하다는 것을...
기사 본문
김정수 삼양식품 부회장이 3일 보코서울명동호텔에서 열린 '삼양1963' 출시 간담회에서 우지를 활용한 신제품 '삼양1963'을 선보이고 있다. /사진=이유리 기자 "우지 사건에 따른 오해로 큰 어려움을 겪었던 삼양식품이 36년 만에 정직과 진심으로 제자리를 찾는 상징적인 순간을 맞았다. '삼양1963'를 출시해 억울했던 창업주이자 시아버지인 고(故) 전중윤 명예회장의 평생 한을 조금이나마 풀어드린 것 같아 울컥하다." 3일 보코서울명동호텔에서 열린 '삼양1963' 출시 발표회에 모습을 드러낸 김정수 부회장의 목소리에는 창업주의 명예를 되찾았다는 안도와 한 세대를 관통해온 회한이 뒤섞여 있었다. 이날은 1989년 삼양라면이 전량 회수된 '우지 사건'이 발생한 지 정확히 36년이 지난 날이었으며 행사 장소 역시 삼양의 창업과 연이 깊은 남대문시장 인근이라 상징성을 더했다. 신제품은 1960년대 라면의 유탕 처리 방식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해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 특히 순수한 우지 대신 우...
기사 본문
1989년 ‘우지 파동’ 이후 재도전 개당 1500원···프리미엄 시장 공략 김정수 부회장 “삼양의 자부심 다시 세울 것” 김정수 삼양식품 부회장이 3일 서울 중구 보코서울명동 호텔에서 열린 ‘삼양 1963’ 신제품 출시 발표회에서 제품을 들고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제공=삼양식품 [서울경제] “‘삼양1963’은 단순한 복고 제품이 아닌 명예의 복원이자 진심의 귀환입니다” 김정수 삼양식품(003230) 부회장은 3일 서울 중구 보코서울명동 호텔에서 신제품 ‘삼양1963’을 직접 공개하며 이같이 말했다. 과거 ‘우지(牛脂·소기름) 파동’으로 위기를 겪었던 삼양식품이 우지 라면을 부활시키며 과거 트라우마를 극복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다. 이번 신제품은 1963년 국내 최초의 라면인 삼양라면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했다. 과거 제조 레시피를 따라 면을 튀길 때 우지를 사용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동물성 우지와 식물성 팜유를 최적의 비율로 혼합한 골든블렌드 오일로 면을 튀겨 고소한 풍미...
기사 본문
프리미엄 라면 '삼양1963' 출시 1989년 유해성 논란에 사세 위축 김정수 "시아버지 한 풀어" 눈물 김정수 삼양식품 부회장이 3일 출시한 '삼양1963' 신제품을 설명하고 있다. /임형택 기자 삼양식품이 36년 만에 우지(소기름)로 면을 튀긴 라면을 다시 출시했다. 우지 라면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프리미엄 라면으로, 삼양식품이 ‘우지 파동’으로 겪은 고난의 시기를 이겨냈다는 상징이 담겼다. 1963년 한국 최초의 라면을 출시한 삼양식품의 역사를 담아 제품명은 ‘삼양1963’으로 지었다. 삼양식품은 3일 서울 중구의 한 호텔에서 신제품 출시회를 열었다. 이날은 36년 전 우지 파동이 일어난 날이다. 삼양식품은 1989년 우지 파동을 겪으면서 1000명 넘는 임직원이 퇴사하는 등 큰 위기를 겪었다. 이날 행사는 과거의 아픔을 극복했다는 뜻을 담아냈다. 일반적인 신제품 출시 행사와 달리 1980년대 근무자들을 인터뷰하며 당시의 아픔을 재조명하는 영상을 보여준 것도 같은 맥락이다. 김...
기사 본문
신제품 ‘삼양 1963’ 공개…1989년 ‘우지 사건’ 36년 만에 명예 회복 선언 36년 만에 삼양식품이 ‘우지라면’을 공식적으로 부활시켰다. 1989년 익명의 투서로 촉발된 ‘우지 사건’ 이후 왜곡된 여론 속에서 고통받았던 삼양이 3일 ‘삼양 1963’을 선보이며 진심과 정직의 복원을 선언했다. 김정수 삼양식품 부회장은 “오늘은 과거를 봉인했던 진실을 다시 세우는 날”이라며 “진심으로 만든 음식은 결국 진심으로 돌아온다”고 말했다. 삼양식품은 이날 서울 중구 남대문시장 인근에서 ‘삼양 1963’ 미디어 간담회를 열고 우지라면 출시를 알렸다. 김 부회장은 “삼양 1963은 단순한 복고가 아니라 미래를 위한 초석이며, 명예의 복원이자 진심의 귀환”이라고 표현했다. 간담회 날짜가 사건 고소장이 처음 접수된 바로 그날, 11월 3일이라는 점에서 상징성이 더 컸다. 김 부회장은 “그날 이후 삼양은 잘못된 정보와 왜곡된 여론 속에서 무너졌지만, 정직과 신뢰를 믿고 다시 일어섰다”며 “오늘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