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70조원 규모 통화스와프 갱신 계약…5년 연장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이재명 대통령이 1일 경북 경주시 경주박물관에서 열린 시진핑 국가주석과 한중 정상회담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제공=대통령실 한국은행이 중국인민은행과 70조원 규모의 양자간 통화스와프(통화맞교환) 계약을 5년 연장했다. 한은은 양국의 교역 증진과 금융시장 안정, 상대국 진출 금융기관 유동성 지원 등을 목적으로 원-위안 통화스와프 갱신 계약을 체결했다고 3일 밝혔다. 통화스와프 규모는 70조원(4000억위안)이며 계약기간은 5년이다. 지난달 10일 만료된 기존 계약과 동일하다. 한은과 인민은행은 지난 1일 한·중 정상회담과 연계해 양국 중앙은행 총재가 서명한 계약서를 상호 교환했다. 한은은 "한·중 통화스와프 갱신은 양국간 교역촉진과 역내 금융시장 안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통화스와프는 두 국가가 현재의 환율로 필요한 만큼 돈을 교환하고 특정한 기간에 미리 정한 환율로 원금을 재교환하는 거래를 뜻한다. 마치 마이너스통장 같은 개념으로 외화 유동성 위기 상황에서 금융시장을...
기사 본문
한국과 중국이 한·중 정상회담을 계기로 원·위안화 통화스와프 계약을 연장했다. 3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한은과 중국인민은행은 지난 1일 원·위안 통화스와프 갱신계약을 체결했다. 계약서 서명식에는 이창용 한은 총재와 다이빙 주한 중국대사가 참여했으며, 다이빙 대사는 판궁성 중국 인민은행 총재를 대신해 서명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와 다이빙 주한중국대사가 1일 경북 경주박물관에서 이재명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참석한 가운데 '원-위안 통화스왑 계약'을 체결하고 있다. /뉴스1 한중 통화스와프는 지난 2020년 10월 5년 만기·4000억 위안(한화 70조원) 규모로 체결된 후 지난달 10일 종료됐었다. 이후 재연장 논의를 지속하다가 지난 1일 열린 한·중 정상회담을 계기로 계약을 갱신했다. 계약 규모와 기간은 기존 계약과 동일하다. 한은은 “계약 목적은 양국 교역 증진과 금융시장 안정, 상대국 진출 금융기관 유동성 지원 등”이라면서 “한·중 통화스와프 갱신은 양국간 교역촉진 및...
기사 본문
원·위안 5년 만기 70조원(4000억위안) 규모 이재명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원-위안 통화스와프 계약 체결. [연합뉴스] 한국과 중국 중앙은행이 원·위안 통화스와프 계약을 갱신하기로 했다. 통화스와프는 5년 만기 70조원(4000억위안) 규모로 계약 기간은 5년이다. 3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한국은행과 중국 인민은행은 지난 1일 원·위안 통화스와프 갱신 계약을 체결했다. 지난달 10일 만료된 기존 계약과 동일하다. 계약 목적은 양국 교역 증진과 금융시장 안정, 상대국 진출 금융기관 유동성 지원 등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한·중 통화스왑 갱신은 양국 간 교역촉진 및 역내 금융시장 안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앞서, 양국은 지난 1일 경주국립박물관에서 양국 정상이 자리한 가운데 ‘한중 양해각서 및 계약 교환식’을 열어 양해각서 및 계약서 총 7건을 체결했다. 이날 양국 중앙은행 간 5년 만기 70조원(4000억위안) 규모의 ‘원·위안 통화스와프 계약서’가 체결...
기사 본문
양국 정상회담 계기 시살상 연장 [서울경제] 정부는 1일 이재명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한중 정상회담을 계기로 한국은행과 중국 인민은행이 원·위안 통화스와프 갱신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지난달 10일 만료된 기존 계약과 동일한 70조 원(4000억 위안), 5년 만기다. 계약 목적은 “양국 교역 증진, 금융시장 안정, 상대국 진출 금융기관 유동성 지원” 등이다. 2002년 20억 달러 규모로 처음 체결된 양국의 통화스와프는 2020년 64조 원에서 70조 원으로 규모가 커지는 등 꾸준히 확대돼왔다. 기획재정부는 이날 “한·중 통화스와프 갱신은 양국 간 교역촉진 및 역내 금융시장 안정에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한편 양국 정부는 11년 만의 시 주석 국빈 방한을 계기로 경제 전반에 걸쳐 7건의 양해각서(MOU) 및 계약을 체결했다. 구체적으로는 △2026~2030년 경제 협력 공동 계획 △서비스 무역 교류 협력 강화 △실버 경제 분야 협력 △혁신 창업 파트너십 프로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