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프앤가이드 지수 기반 조선 ETF 순자산 2조 돌파…"높은 지수 신뢰성 입증"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국내 테마형 ETF 중 1위···지수 기반 상품 다변화 가속 [서울경제] 국내 대표 민간 지수 사업자 에프앤가이드가 자사 지수를 기초로 운용되는 신한자산운용의 ‘SOL 조선TOP3플러스’ 상장지수펀드(ETF)가 순자산 2조 원을 돌파했다. 지난해 10월 상장 이후 약 2년 만의 기록이다. 3일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기준으로 SOL 조선TOP3플러스는 에프앤가이드 지수를 추종하는 156개 ETF 가운데 최초로 순자산 2조 원을 넘어섰다. 전체 국내 ETF 중에서는 27번째로 ‘2조 클럽’에 진입했다. 국내 주식형 ETF 기준으로는 7위에 해당하며 시장 대표 지수를 제외한 테마형 ETF 중에서는 1위 규모다. 에프앤가이드 조선TOP3플러스 지수는 국내 조선 빅3를 중심으로 기자재·해운 등 밸류체인 전반을 포괄해 조선 산업의 성장 동력을 반영하도록 설계된 지수다. 최근 글로벌 해상 운임 강세와 LNG선 중심의 수주 확대, 조선업 공급 제한 등 구조적 변화가 이어지며 투자 수...
기사 본문
국내 테마형 ETF 중 1위 지수 기반 상품 다변화 가속 [이데일리 신하연 기자] 국내 대표 민간 지수사업자 에프앤가이드(064850)는 자사 지수를 기초로 운용되는 신한자산운용의 ‘SOL 조선TOP3플러스’ 상장지수펀드(ETF)가 10월 31일 기준 순자산총액 2조원을 돌파했다고 3일 밝혔다. 이는 2023년 10월 상장 이후 약 2년 만에 달성한 성과다. SOL 조선TOP3플러스는 에프앤가이드 지수를 추종하는 156개 ETF 중 최초로 순자산 2조원을 넘어선 상품으로, 10월 31일 기준 전체 국내 ETF 중에서도 27번째로 2조원 클럽에 진입했다. 국내주식형 ETF 중에서는 7위, 시장대표지수를 제외한 테마형 ETF 중에서는 1위 규모를 기록했다. FnGuide 조선TOP3플러스 지수는 국내 조선 상위 3사를 중심으로 조선 기자재 및 해운 등 밸류체인 전반을 포괄해, 조선 산업의 성장 모멘텀을 반영하도록 설계된 지수다. 최근 글로벌 해상 운임 강세와 LNG선 중심의 수주 확대,...
기사 본문
이기태 에프앤가이드 대표 인터뷰 “AI 활용 금융 정보 서비스 확대 B2C 사업 경쟁력 높여 실적 쑥 2년 내 시가총액 2000억 도전” 배당 증가 가능성 … “올해 비과세” 백문불여일견(百聞不如一見). 백 번 듣는 것보다 한 번 보는 게 낫다는 말이다. 가짜뉴스 홍수 속 정보의 불균형을 조금이라도 해소하기 위해 주식 투자 경력 19년 3개월의 ‘전투개미’가 직접 상장사를 찾아간다. 회사의 사업 현황을 살피고 경영진을 만나 투자자들의 궁금증을 해결한다. 전투개미는 평소 그가 ‘주식은 전쟁터’라는 사고에 입각해 매번 승리하기 위해 주식 투자에 임하는 상황을 빗대 사용하는 단어다. 주식 투자에 있어서 그 누구보다 손실의 아픔이 크다는 걸 잘 알기에 오늘도 개인투자자 입장에서 기사를 쓴다. <편집자주> 송지혜 사원이 인프라 보안 모니터링 화면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윤현주 기자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금융데이터 서비스를 고도화해 기관·일반 투자자들의 금융 길잡이가 되겠습니다. 올해 인...
기사 본문
국내 대표 민간 지수사업자 에프앤가이드는 자사 지수를 기초로 운용되는 신한자산운용의 'SOL 조선TOP3플러스' 상장지수펀드(ETF)가 지난달 31일 기준 순자산총액 2조원을 돌파했다고 3일 밝혔다. 이는 2023년 10월 상장 이후 약 2년 만에 달성한 성과다. 'SOL 조선TOP3플러스'는 에프앤가이드 지수를 추종하는 156개 ETF 중 최초로 순자산 2조원을 넘어선 상이다. 지난달 31일 기준 전체 국내 ETF 중에서도 27번째로 2조원 클럽에 진입했다. 국내주식형 ETF 중에서는 7위, 시장대표지수를 제외한 테마형 ETF 중에서는 1위 규모다. FnGuide 조선TOP3플러스 지수는 국내 조선 상위 3사를 중심으로 조선 기자재 및 해운 등 밸류체인 전반을 포괄해, 조선 산업의 성장 모멘텀을 반영하도록 설계된 지수다. 최근 글로벌 해상 운임 강세와 LNG선 중심의 수주 확대, 조선업 공급 제한 등 산업 구조적 변화가 맞물렸다. 미국의 MASGA 정책 기조와 함께 관련 테마에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