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 열풍'에 9월 온라인쇼핑 거래액 23조8천억…역대 최대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온라인쇼핑 거래 상승 (PG) (사진=연합뉴스)] 월간 온라인쇼핑 거래액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국가데이터처가 오늘(3일) 발표한 '9월 온라인 쇼핑동향'을 보면 지난 9월 온라인(PC+모바일)으로 물건을 구매한 총액은 23조7천956억원으로 1년 전보다 13.3%(2조7천993억원) 증가했다. 2017년 1월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이후로 최대 금액입니다. 월간 거래액이 23조원을 웃돈 것은 지난 7월(23조1천427억원)에 이어 두번째입니다. 가장 두드러진 증가세를 보인 상품군은 자동차 및 자동차용품(136.4%)이었습니다. 온라인 주문 시스템을 운영하는 테슬라의 신형 모델 판매와 인도량 증가가 주요 요인으로 분석됩니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에 따르면, 테슬라는 지난달 9천69대 팔리면서 3개월 연속 수입차 판매 1위를 차지했습니다. 음·식료품(17.7%) 등도 온라인 장보기 확산으로 거래액 증가세를 이어갔습니다. 온라인 쇼핑액 중 모바일 쇼핑액은 18조5...
기사 본문
'테슬라 효과 지속' 9월 온라인쇼핑 23조8천억 '역대 최대' 온라인쇼핑 거래 상승 (PG) [박은주 제작] 사진합성·일러스트 (세종=연합뉴스) 이준서 안채원 기자 = 국내 사업체가 해외로 상품을 판매하는 역직구 거래액이 4분기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다만 이른바 '차이나뷰티'(C뷰티) 강세 등의 영향으로 중국 판매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가 3일 발표한 '온라인 쇼핑 동향'을 보면, 올해 3분기 역직구 거래액(해외 직접 판매액)은 6천943억원으로 집계됐다. 1년 전과 비교하면 7.8% 증가했다. 2024년 4분기(6.4%) 이후 4분기 연속 증가세다. 다만 증가율은 올해 1분기(29.6%), 2분기(16.5%)보다는 소폭 둔화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중국이 2천503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미국(1천864억원), 일본(1천614억원) 등 순이었다. 이중 중국은 1년 전보다 11.6% 감소했다. 2024년 4분기(-7.6%) 이후 3분기 만의 마...
기사 본문
서울의 한 쿠팡 물류센터를 오가는 차량 모습. 연합뉴스 지난 3분기 온라인쇼핑 거래액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전기차 및 음식료품의 온라인 판매가 늘어난 영향이다. 증가율은 지난해 1분기 이후 5개 분기 만에 가장 높았다. 국가데이터처가 3일 발표한 ‘2025년 9월 및 3분기 온라인쇼핑동향’을 보면, 지난 9월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전년동기대비 2조7993억원(13.3%) 늘어난 23조7956억원으로 집계됐다. 2017년 관련 통계 집계 이래 역대 최대다. 증가율로 보면 지난해 1월(13.3%) 이후 가장 높다. 품목별로 보면 자동차 및 자동차용품 거래액(9704억원)이 전년동기대비 136.4% 급증했다. 테슬라 등 신형 모델 판매가 늘어난 영향으로 분석된다. 온라인장터 이용객 증가와 늦은 명절효과 등으로 음·식료품 매출액(3조5846억원)도 전년동기대비 17.7% 늘었다. 3분기 온라인거래액도 69조2799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9.0% 늘었다. 액수 기준 역대 최고치다. 자동차 ...
기사 본문
국가데이터처, 9월 온라인 쇼핑동향⋯테슬라 9069대 팔려 음·식료품 거래도 17.7% 급증⋯모바일 거래액 비중 75.9% 월간 온라인쇼핑 거래액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국가데이터처가 3일 발표한 '9월 온라인 쇼핑동향'을 보면 지난 9월 온라인(PC+모바일)으로 물건을 구매한 총액은 23조7956억원으로 1년 전보다 13.3%(2조7993억원) 증가했다. 2017년 1월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이후로 최대 금액이다. 월간 거래액이 23조원을 웃돈 것은 지난 7월(23조1427억원)에 이어 두 번째다. 테슬라 로고. [사진=로이터 연합뉴스] 가장 두드러진 증가세를 보인 상품군은 자동차 및 자동차용품(136.4%)이었다. 온라인 주문 시스템을 운영하는 테슬라의 신형 모델 판매와 인도량 증가가 주요 요인으로 분석된다.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에 따르면, 테슬라는 지난달 9069대 팔리면서 3개월 연속 수입차 판매 1위를 차지했다. 음·식료품(17.7%) 등도 온라인 장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