車·화장품 불티나게 팔렸다…9월 온라인쇼핑 거래액 ‘역대최고치’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국가데이터처 ‘9월 온라인쇼핑 동향’ 거래액 23.8조원…전년比 13.3%↑ 자동차·자동차용품 136.4% ‘폭증’ 해외직판은 美日서 ‘화장품’ 증가 [세종=이데일리 강신우 기자] 지난 9월 온라인 쇼핑 거래액이 23조 7956억원을 기록해, 1년 전보다 13.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역대 최고치이다. 수입 전기차 인도량이 늘고 중고차 거래가 활발해지면서 ‘자동차 관련’ 품목 거래액이 큰 폭으로 증가했고, 미국·일본 등 주요국을 중심으로 화장품과 식료품의 해외 직접판매액도 눈에 띄게 확대됐다. (자료=국가데이터처) 국가데이터처가 3일 발표한 ‘9월 온라인쇼핑동향’을 보면 9월 온라인쇼핑 총 거래액은 23조 7956억원으로 전년 같은 달보다 2조 7993억원(13.3%)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매달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고 있지만, 이번 증가 폭은 지난해 4월(11.5%) 이후 19개월 만에 가장 큰 수준이다. 상품군별로는 자동...
기사 본문
데이터처, 2025년 9월 온라인쇼핑 동향 거래 증가율 9.0%…작년 2분기 이후 최대 자동차·식품 쌍끌이…이쿠폰 2.2% 증가 "티메프 사태 영향서 벗어났다는 의미" [서울=뉴시스] 이영환 기자 = 지난 4월 25일 서울의 한 한진택배 택배센터가 보이고 있는 모습. 2025.04.25. 20hwan@newsis.com [세종=뉴시스]박광온 기자 = 올해 3분기 온라인쇼핑 거래액이 69조원을 돌파하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음식서비스와 식료품 소비가 꾸준한 가운데, 전기차·중고차 거래 확대로 자동차용품 거래가 급증하며 전체 증가세를 이끌었다. 특히 지난해 티메프(티몬·위메프) 정산지연 사태로 위축됐던 이쿠폰서비스도 1년 만에 반등했다. 국가데이터처(전 통계청)가 3일 발표한 '2025년 9월 온라인쇼핑 동향'에 따르면, 올해 3분기(7~9월)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69조2799억원으로 전년 동기(63조5460억원) 대비 9.0%(5조7339억원) 증가했다. 이는 금액 기준으로 통계 ...
기사 본문
9월 온라인쇼핑 거래액, 13.3% 증가…1년 5개월 만에 두 자릿 수 증가 국가데이터처 제공 지난 9월 온라인쇼핑 거래 규모가 지난해 대규모 미정산 사태 이후 1년 5개월 만에 두 자릿수 증가폭을 회복했다. 국가데이터처가 3일 발표한 '2025년 9월 온라인쇼핑동향'에 따르면 지난 9월 23조 7956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3.3% 증가했다. 온라인쇼핑 거래액이 두 자릿수 증가폭을 기록한 일은 지난해 4월(11.5%) 이후 17개월 만으로, 이번 증가폭은 지난해 1월(13.3%) 이후 20개월 만에 가장 큰 기록이다. 꾸준히 10% 내외의 큰 폭으로 증가했던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지난해 7월 말 위메프·티몬 등 온라인 쇼핑몰의 대규모 미정산 사태로 증가폭이 2, 3% 수준으로 크게 떨어졌다. 다만 1년이 지나면서 지난 7월부터는 다시 큰 폭의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온라인쇼핑 거래액 가운데 모바일쇼핑 거래액은 18조 552억 원으로 11.0% 증가했다. 다만 온라인쇼핑 거래...
기사 본문
미국 해외 직접 판매액 역대 최대 'K뷰티' 소비 증가 견인 지난 9월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테슬라 판매 호조와 늦은 추석 효과에 힘입어 23조7956억원을 기록했다. 지난 2017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월간 단위로 가장 많은 거래액을 기록했다. 지난 3분기 미국 소비자들의 K뷰티 소비 증가로 미국 해외 직접 판매액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크게 나타났다. 13일 올리브영 명동점에서 외국인이 대부분인 고객들이 화장품을 고르고 있다. 사진=허영한 기자 younghan@ 지난 9월 온라인쇼핑 거래액이 23조7956억원으로 집계되며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월간 단위로 최대치를 기록했다. 테슬라의 신형 모델 판매 호조와 중고차 거래 증가, 늦은 추석으로 인한 명절 소비 효과가 맞물리면서 자동차·식품 등 주요 품목에서 거래가 크게 늘었다. 또 지난 3분기 미국 소비자들의 K-뷰티 소비가 급증하면서 미국에 대한 해외 직접 판매액 역시 통계 작성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다. 3일 국가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