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입은행, 2500억 펀드 조성해 핵심광물·에너지분야 투자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이데일리 이수빈 기자] 한국수출입은행이 공급망안정화기금을 통해 핵심광물·에너지 분야에 집중 투자하는 25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한다고 3일 밝혔다. 한국수출입은행 공급망안정화기금은 글로벌 공급망 위기 대응을 위한 범정부 대응체계의 일환으로 ‘경제안보를 위한 공급망 안정화 지원 기본법’에 따라 수은에 설치된 기금이다. 이번 출자사업은 기금의 기존 공급망안정화 펀드 대비 출자비율을 40%까지 상향해 기금이 1000억원을 출자하고 공공·민간 자금을 추가 모집해 총 25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할 계획이다. 기금은 위험을 적극적으로 감내해 민간 투자를 유도할 방침이다. 민관협력으로 조성된 펀드는 생산·가공·수송·저장 등 핵심광물·에너지 분야 밸류체인(업스트림, 미드스트림) 단계별 사업에 투자돼 핵심 기간산업 기초소재 확보와 에너지원의 안정적인 수급 등 공급망 안정화 전반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특정국에 집중된 희토류 등 핵심광물 제련, 폐배터리에서 리튬·니켈·코발트 등을 추...
기사 본문
펀드 대비 출자비율 40%로 상향 공급망 안정화 전반에 기여할 것 한국수출입은행 여의도 본점 전경 [수은 제공] [헤럴드경제=김은희 기자] 한국수출입은행은 공급망안정화기금을 통해 핵심광물·에너지 분야에 집중투자 하는 2500억원 규모 펀드를 조성한다고 3일 밝혔다. 이번 출자사업은 기금의 기존 공급망안정화 펀드 대비 출자비율을 40%까지 상향했다. 이에 기금이 1000억원을 출자하고 공공·민간 자금을 추가 모집해 총 25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할 계획이다. 아울러 ‘공급망 안정화 선도사업자’ 지원 실적과 관련해 수은에 귀속되는 수익의 일부를 운용사에 인센티브로 지급할 예정이다. 이번 펀드는 생산·가공·수송·저장 등 핵심광물·에너지 분야 밸류체인(업스트림, 미드스트림) 단계별 사업에 투자돼 핵심 기간산업 기초소재 확보와 에너지원의 안정적인 수급 등 공급망 안정화 전반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특정국에 집중된 희토류 등 핵심 광물 제련, 폐배터리에서 리튬·니켈·코발트 등을 추...
기사 본문
수출입은행 전경. /뉴스1 한국수출입은행은 공급망 안정화 기금을 통해 핵심 광물과 에너지 분야에 투자하는 25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한다고 3일 밝혔다. 공급망안정화 기금에서 1000억원을 출자하고 공공·민간 자금에서 1500억원을 모집한다. 기금 출자 비율은 20%에서 405로 상향됐다. 펀드는 생산·가공·수송·저장 등 핵심 광물과 에너지 분야의 단계별 사업에 투자된다. 수은은 이 펀드가 핵심 기간 산업 기초 소재 확보와 에너지원의 안정적인 수급 등 공급망 안정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투자 대상에는 희토류 등 핵심 광물 제련과 폐배터리에서 리튬·니켈·코발트 등을 추출하는 재자원화, 자원 운송·저장에 필요한 항공·해운 운송 서비스 등도 포함된다. 수은은 운용사 선정 후 기금운용심의회 심의를 거쳐 내년 상반기 중 펀드 조성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수은에 귀속되는 수익 일부는 운용사에 인센티브로 지급된다.
기사 본문
한국수출입은행(수은)이 '공급망안정화기금'을 통해 핵심광물과 에너지 분야에 집중투자하는 2500억원 규모 펀드를 조성한다. /사진제공=한국수출입은행 한국수출입은행(수은)이 '공급망안정화기금'을 통해 핵심광물과 에너지 분야에 집중투자하는 2500억원 규모 펀드를 조성한다고 3일 밝혔다. 수은의 공급망안정화기금이란 글로벌 공급망 위기 대응을 위한 범정부 대응체계의 일환으로 '경제안보를 위한 공급망 안정화 지원 기본법'에 따라 지난 9월 공식 설치된 기금이다. 이번 사업은 기금이 1000억원을 출자하고 공공·민간 자금을 추가 모집해 총 2500억원 규모의 펀드로 조성된다. 기금은 위험을 적극적으로 감내해 민간 투자를 유도할 방침이다. 아울러 핵심광물 분야와 핵심광물·에너지 관련 '공급망 안정화 선도사업자'의 지원 실적에서 수은에 귀속되는 수익의 일부를 운용사에 인센티브로 지급하는 투자 유인책도 시행한다. 이렇게 민관협력으로 조성된 펀드는 생산·가공·수송·저장 등 핵심광물·에너지 분야 밸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