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바이오팜, 美 인테론과 자폐증 치료제 공동연구개발 착수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뇌전증 넘어 신경면역 영역으로 R&D 확장" 오픈이노베이션 기반 'IL-17 촉진제' 개발 추진 SK바이오팜 연구원이 물질 분석을 하고 있다.(SK바이오팜 제공)/뉴스1 (서울=뉴스1) 황진중 기자 = SK바이오팜(326030)은 미국 보스턴 소재 바이오텍 기업 인테론과 신경면역(Neuroimmune) 시스템 조절을 활용한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치료제 후보물질 공동연구개발 계약을 10월 31일 체결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협업은 기존 뇌전증 중심의 연구개발(R&D)을 넘어 신경면역 영역으로 R&D를 확장하는 전략적 행보다. '넥스트 중추신경계'(CNS) 비전을 실현하는 중요한 이정표가 될 전망이다. 신경면역은 신경계와 면역계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하는 차세대 치료 패러다임이다. 높은 연구 난이도에도 CNS 치료제 개발의 새로운 돌파구로 주목받고 있다. SK바이오팜은 이번 오픈 이노베이션을 통해 신경면역학 전문성을 강화하고 이를 자체 R&D 역량과 결합해 차세대 CNS 치료...
기사 본문
뇌전증 넘어 신경면역 영역으로 R&D 확장 SK바이오팜은 미국 보스턴 소재 바이오텍 기업 인테론과 신경면역 시스템 조절을 활용한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치료제 후보물질 공동연구개발 계약을 지난달 31일 체결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협업은 기존 뇌전증 중심의 연구개발을 넘어 신경면역 영역으로 R&D(연구개발)를 확장하는 전략적 행보로, '넥스트 CNS' 비전을 실현하는 중요한 이정표가 될 전망이다. 신경면역은 신경계와 면역계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하는 차세대 치료 패러다임으로, 높은 연구 난이도에도 불구하고 중추신경계(CNS) 치료제 개발의 새로운 돌파구로 주목받고 있다. SK바이오팜은 이번 오픈 이노베이션을 통해 신경면역학 전문성을 강화하고 이를 자체 연구개발 역량과 결합해 차세대 CNS 치료제 개발 기반을 다질 계획이다. 이번 공동연구는 면역세포에서 분비되는 인터루킨-17(IL-17)이 뇌 신경세포의 IL-17 수용체의 신호 전달 경로를 강화해 자폐 증상을 개선하는 혁신적 ...
기사 본문
마티카바이오, 칼리디와 항암 바이러스 치료제 CDMO 계약 유한결핵및호흡기학술상에 경북의대 박재용 교수 SK바이오팜 로고 [SK바이오팜 제공] ▲ SK바이오팜은 미국 보스턴에 있는 바이오텍 기업 인테론과 신경면역 시스템 조절을 활용한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치료제 후보물질 공동연구개발 계약을 체결했다고 3일 밝혔다. 양사는 SK바이오팜이 뇌전증 혁신 신약 '세노바메이트'를 개발하며 축적한 의약화학 및 선도물질 최적화 역량과 인테론의 신경면역학 전문성을 바탕으로 ASD에 대한 퍼스트 인 클래스(타깃에 대한 최초 약물) 전임상 후보물질을 개발할 계획이다. 마티카 바이오테크놀로지 [차바이오텍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차바이오텍은 미국 자회사 마티카 바이오테크놀로지가 현지 바이오 기업 칼리디 바이오테라퓨틱스와 상업화 프로젝트에 대한 위탁개발생산(CDMO) 계약을 맺었다고 3일 밝혔다. 계약에 따라 마티카 바이오는 칼리디가 개발 중인 항암 바이러스 치료제 'CLD-401'의 분...
기사 본문
신경면역 기반 ‘IL-17 촉진제’ 개발…계열 내 최초 오픈 이노베이션으로 신경면역 전문성 강화 기대 [SK바이오팜 제공] [헤럴드경제=최은지 기자] SK바이오팜은 미국 보스턴 소재 바이오텍 기업 인테론과 신경면역(Neuroimmune) 시스템 조절을 활용한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치료제 후보물질 공동연구개발 계약을 체결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협업은 기존 뇌전증 중심의 연구개발을 넘어 신경면역 영역으로 R&D를 확장하는 전략적 행보로, ‘넥스트 CNS(중추신경계)’ 비전을 실현하는 중요한 이정표가 될 전망이다. 신경면역은 신경계와 면역계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하는 차세대 치료 패러다임으로, 높은 연구 난이도에도 불구하고 중추신경계 치료제 개발의 새로운 돌파구로 주목받고 있다. SK바이오팜은 이번 오픈 이노베이션을 통해 신경면역학 전문성을 강화하고 이를 자체 연구개발 역량과 결합해 차세대 CNS 치료제 개발 기반을 다질 계획이다. 이번 공동연구는 면역세포에서 분비되는 인터루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