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털 패딩에 솜 섞어 들통나면 퇴출"…패션플랫폼, 모니터링 강화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패딩 [연합뉴스 자료] 패션 플랫폼들이 지난해 패션·의류업계에서 불거진 '패딩 충전재 오기재'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모니터링과 페널티를 강화했습니다. 3일 패션업계에 따르면 지난 2024∼2025년 동절기 일부 의류 브랜드들이 패딩 제품 충전재 혼용률을 허위로 표기해 논란이 일었습니다. 한 의류 브랜드는 구스다운(거위털) 제품에서 거위털 80%를 충전재로 사용했다고 명기했지만, 실제로는 오리털을 섞어 쓴 것으로 드러나 제품을 전량 회수한 바 있습니다. 또 앞서 한 패션 플랫폼에서 판매된 덕다운(오리털) 제품의 경우 상품 정보에 충전재로 솜털 80%를 사용했다고 기재했으나 실제 사용률은 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충전재가 거위 솜털과 깃털로 표기된 구스다운 패딩을 구매했지만, 실제 패딩 속에는 솜이 들어있어 소비자 상담을 진행한 사례도 있었습니다. 소재 혼용률 문제가 불거지자 플랫폼이 직접 입점 브랜드의 상품 전수 조사에 나서기도 했습니다. 무신사는 지난 3월 입점 브랜드의 ...
기사 본문
/ 사진=게티이미지뱅크 패션 플랫폼들이 반복되는 '패딩 충전재 오기재' 논란을 막기 위해 모니터링과 패널티 강화에 나섰다. 3일 패션업계에 따르면 지난 2024∼2025년 동절기 일부 의류 브랜드들이 패딩 제품 충전재 혼용률을 허위로 표기해 논란이 일었다. 올해 초 패션 플랫폼을 뒤흔든 '가짜 패딩' 파문이다. 한 패션 브랜드는 여러 플랫폼에서 거위 솜털 일정 비율 이상 함유한 '구스다운(거위털)' 패딩이라고 홍보하며 제품을 판매했으나 이 제품들이 오리털, 솜 등을 넣어 패딩을 제조한 사실이 뒤늦게 밝혀졌다. 심지어 한 패션플랫폼에서 직접 투자한 브랜드에서도 패딩 충전재 허위 기재뿐만 아니라 가짜 'YKK 지퍼'를 사용해 논란을 키웠다. 함량에 대한 불신은 대기업이 판매하는 기성 브랜드까지 이어졌다. 유명 대기업 브랜드 A사는 '거위털 80%'로 만들었다고 광고한 구스점퍼가 사실 거위털은 30%만 들어간 사실이 알려져 논란이 됐다. 또 다른 대기업 브랜드 B사와 C사 역시 구스다운 ...
기사 본문
소비자원, 패딩 제품 시험 평가…연내 결과 발표 패딩 (서울=연합뉴스) 류효림 기자 = 9일 서울 명동거리의 의류매장에서 시민들이 겨울의류를 살펴보고 있다.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다운 표기를 하려면 제품의 솜털 비율이 75% 이상이어야 한다. 2025.1.9 ryousanta@yna.co.kr (서울=연합뉴스) 신선미 기자 = 패션 플랫폼들이 작년 패션·의류업계에서 불거진 '패딩 충전재 오기재'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모니터링과 페널티를 강화했다. 같은 문제가 되풀이되면 소비자 신뢰를 잃게 되는 만큼 자구책 마련에 나선 것이다. 3일 패션업계에 따르면 지난 2024∼2025년 동절기 일부 의류 브랜드들이 패딩 제품 충전재 혼용률을 허위로 표기해 논란이 일었다. 한 의류 브랜드는 구스다운(거위털) 제품에서 거위털 80%를 충전재로 사용했다고 명기했지만, 실제로는 오리털을 섞어 쓴 것으로 드러나 제품을 전량 회수했다. 앞서 한 패션 플랫폼에서 판매된 덕다운(오리털) 제품의 경우 상품 정보...
기사 본문
[9일 서울 명동거리의 의류매장에서 시민들이 겨울의류를 살펴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패션 플랫폼들이 작년 패션·의류업계에서 불거진 '패딩 충전재 오기재'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모니터링과 페널티를 강화했습니다. 오늘(3일) 패션업계에 따르면 일부 의류 브랜드들은 지난 2024∼2025년 동절기 패딩 제품 충전재 혼용률을 허위로 표기해 논란이 일었습니다. 한 의류 브랜드는 구스다운(거위털) 제품에서 거위털 80%를 충전재로 사용했다고 명기했지만, 실제로는 오리털을 섞어 쓴 것으로 드러나 제품을 전량 회수했습니다. 앞서 한 패션 플랫폼에서 판매된 덕다운(오리털) 제품의 경우 상품 정보에 충전재로 솜털 80%를 사용했다고 기재했으나 실제 사용률은 3%에 불과했습니다. 충전재가 거위 솜털과 깃털로 표기된 구스다운 패딩을 구매했지만, 실제 패딩 속에는 솜이 들어있어 소비자 상담을 진행한 사례도 나왔습니다. 소재 혼용률 문제가 불거지자 플랫폼이 직접 입점 브랜드의 상품 전수 조사에 나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