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생활 침해·기반시설 마비…불법드론 위협 막는 'AI 보안'

2025년 11월 03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24개
수집 시간: 2025-11-03 06:08:56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디지털데일리 2025-11-02 12:28:11 oid: 138, aid: 0002208430
기사 본문

에스원 안티드론 솔루션. [ⓒ 에스원] [디지털데일리 최민지기자] 사회 안전부터 배송·농업 등에서 드론이 필수 도구로 자리잡은 가운데 보안 위협도 함께 불거지고 있다. 2020년 부산의 한 고층 아파트에서 집 내부를 불법 촬영하는 드론이 적발되는가 하면, 원전 주변에서 지난 5년간 26건 불법 드론 비행이 포착되는 등 피해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원전과 같은 국가 핵심시설은 드론을 통한 기술 유출이나 테러 공격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 사회 주요 기반시설인 공항과 항만도 드론 위협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2020년 9월 국내 한 공항에서는 불법 드론 2대가 비행금지구역에 침입해 항공기 5대가 회항했으며, 2021년과 2023년에도 유사한 드론 침입 사례가 발생해 항공기 운항 차질을 빚기도 했다. 2024년 6월 부산항 인근에서 외국인 유학생이 드론을 활용해 정박된 군함을 무단 촬영하다 적발됐다. 불법 드론을 방지하기 위한 대응 체계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일부 시설에서는 단순 영...

전체 기사 읽기

서울신문 2025-11-03 05:03:39 oid: 081, aid: 0003587344
기사 본문

탐지→ 추적→ 즉시 무력화 체계 구축 에스원이 공항, 항만, 원전 등 주요 국가 시설을 위협하는 불법 드론 침입에 대응하는 통합 보안 시스템 ‘안티드론 솔루션’을 출시했다고 2일 밝혔다. 이 솔루션은 40여년간 쌓아온 에스원의 보안 노하우에 인공지능(AI)과 첨단 센서 기술을 결합했다. 불법 드론을 실시간으로 탐지, 추적, 그리고 즉시 무력화까지 실행할 수 있는 새로운 차원의 통합 보안 체계를 구축한 것이다. 기존 인력 기반의 감시 체계나 정확도가 낮았던 레이더 단독 탐지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에스원은 무선주파수(RF) 스캐너를 추가했다. RF 스캐너가 드론과 조종기 사이의 통신 신호를 포착해 침입을 감지하면 레이더가 드론의 위치, 속도, 방향을 실시간으로 정밀하게 추적한다. 여기에 드론 탐지 AI 영상 분석 기술이 비행 패턴과 형체를 정확하게 분석해 추적의 정확도를 극대화했다. 이 솔루션의 가장 강력한 기능은 주파수 간섭 기술을 이용한 즉각적인 무력화 조치다. 관제사의 개입...

전체 기사 읽기

한국경제 2025-11-02 09:01:19 oid: 015, aid: 0005205615
기사 본문

에스원 안티드론의 특징. 에스원 제공 드론과 무인기를 통한 공격에 대응하는 '안티드론'이 보안 시장의 새로운 먹거리로 떠오르고 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안티드론 역량의 중요성이 커진 가운데 국내 보안업계 1위 에스원도 시장 확보에 나섰다. 2일 에스원에 따르면 에스원은 최근 안티드론 솔루션을 선보이고 마케팅을 강화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프레시던스 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안티드론 시장은 2021년 약 1조 9400억원에서 2030년 17조 4700억원으로 9배 이상 성장할 전망이다. 에스원의 안티드론 솔루션은 △'RF 스캐너·레이더'를 활용한 불법 침입 감지와 실시간 추적 △'드론 탐지 인공지능(AI) 영상 분석 기술'을 활용한 비행 패턴·형체 분석 △'주파수 간섭 기술'을 활용한 불법 드론 실시간 무력화 조치 등을 제공한다. 기존의 인력 기반 감시 체계로는 불법 드론을 신속하게 탐지하기 어렵다. 광범위한 영역을 감시하려면 관제사가 다수의 모니터 화면을 일일이 확인해야 해...

전체 기사 읽기

헤럴드경제 2025-11-02 09:01:06 oid: 016, aid: 0002551181
기사 본문

에스원, 인력 기반 감시체계 한계 보완 불법침입 감지·실시간 추적…즉각 대응도 드론의 활용범위가 군사·산업분야를 넘어 일상 속으로 깊숙이 자리잡고 있다. 그에 발맞춰 사생활 침해, 산업기밀 유출, 테러 위협 등 위험성도 커지는 추세다. 상황이 이렇지만 불법 드론을 방지하기 위한 대응 체계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국가기관을 비롯한 일부 시설을 제외하면 단순 영상 녹화용 CCTV 화면을 관제사가 눈으로 확인해 대응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이같은 인력 기반 감시 체계로는 다수의 모니터 화면을 24시간 내내 실시간으로 감시하기 어렵다. 멀리 있는 비행기나 조류를 드론으로 오인식하는 경우도 잦다. 드론을 탐지하더라도 즉각 제압할 수 있는 수단도 없다. 이런 드론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AI 기반 안티드론 솔루션이 공공·민간 기관에서 주목받고 있다. 안티드론 솔루션은 드론 침입을 실시간으로 탐지하고 즉시 무력화하는 통합 보안체계다. 국토교통부는 2026년까지 주요 공항과 항만에, 국방부는 군...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