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레이첨단소재, 군산 PPS공장 증설

2025년 11월 03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18개
수집 시간: 2025-11-03 04:17:08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8개

파이낸셜뉴스 2025-11-02 18:02:14 oid: 014, aid: 0005428242
기사 본문

고기능소재 시장 확대 김영섭 도레이첨단소재 사장(왼쪽부터)과 큐노 모토히사 도레이첨단소재 회장, 닛카쿠 아키히로 도레이 회장, 김의겸 새만금개발청장,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지사, 신영대 국회의원이 도레이첨단소재 군산공장 증설 준공식 행사에 참석해 기념식수를 하고 있다. 도레이첨단소재 제공 도레이첨단소재가 고기능소재 시장 확대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위상 강화에 나선다. 도레이첨단소재는 지난달 31일 전북특별자치도 새만금산업단지에 위치한 군산공장에 연산 5000t 규모의 PPS(Polyphenylene Sulfide) 2호기의 증설을 완료하고 준공식을 개최했다고 2일 밝혔다. PPS는 내열성, 내화학성, 전기절연성이 우수한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특히 금속을 대체할 수 있는 경량화 소재로서 자동차 부품 외에도 전기·전자기기, 가전제품, 산업용 부품, 주택설비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도 적용이 확대되며, 첨단 산업에 필수적인 고기능 소재이다. 외국계 기업 최초로 새만금에 투자한 ...

전체 기사 읽기

동아일보 2025-11-03 03:04:30 oid: 020, aid: 0003671514
기사 본문

도레이첨단소재는 지난달 31일 전북 새만금산업단지에 있는 군산공장에 연간 5000t 규모의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를 생산할 수 있는 시설을 추가로 지었다고 2일 밝혔다. PPS는 전기차나 반도체, 전자부품 등에서 금속을 대체할 수 있는 고강도의 경량화 플라스틱 소재다. 이번 증설로 도레이첨단소재 군산 공장은 연간 1만3600t 규모의 PPS 생산 능력을 갖추게 됐다. 이는 국내 최대 규모다. 도레이첨단소재는 2016년 외국계 기업 최초로 새만금산업단지에 투자했다. 앞으로 늘어나는 국내 자동차, 전기전자, 건설 수요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됐다. 도레이첨단소재는 PPS 수지의 주원료인 황화수소나트륨도 연간 4800t 규모 생산이 가능하도록 공장을 증설하면서 생산성과 비용 경쟁력을 동시에 강화했다고 설명했다.


더팩트 2025-11-01 17:38:15 oid: 629, aid: 0000439644
기사 본문

총 1만 3800톤 규모 확보해 새만금 첨단소재산업 중심지 부상 자동차·전기전자·산업기계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공급 확대 기대 10월 31일 새만금산단 2공구 내에서 열린 도레이첨단소재 PPS-2호기 준공식에 김관영 도지사를 비롯해 신영대 국회의원, 김의겸 새만금개발청장, 닛카쿠 아키히로 일본 도레이그룹 회장, 큐노 모토히사 도레이첨단소재 회장, 김영섭 대표이사 등이 참석해 기념 세레모니를 하고 있다. /전북도 새만금의 첫 외투기업인 도레이첨단소재가 연간 5000톤 규모의 PPS(폴리페닐렌설파이드) 2호기 생산라인 증설을 마쳤다. 도는 지난달 31일 새만금산단 2공구 내 도레이첨단소재 공장에서 준공식을 열었다. 이날 행사에는 김관영 도지사를 비롯해 신영대 국회의원, 김의겸 새만금개발청장, 닛카쿠 아키히로 일본 도레이그룹 회장, 큐노 모토히사 도레이첨단소재 회장, 김영섭 대표이사 등이 참석했다.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인 PPS는 내열성, 내화학성, 내마모성이 뛰어나 자동차 엔진 부...

전체 기사 읽기

이데일리 2025-11-02 09:46:09 oid: 018, aid: 0006153966
기사 본문

연산 1만3600t 생산능력 확보 “고기능 소재 시장 확대 박차” [이데일리 김은경 기자] 도레이첨단소재는 지난달 31일 전북 새만금산업단지에 위치한 군산공장에 연산 5000톤(t) 규모의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2호기 증설을 완료하고 준공식을 개최했다고 2일 밝혔다. 행사에는 김의겸 새만금개발청장,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 도지사, 신영대 국회의원, 김영민 군산시 부시장 등 시·도 관계자들과 닛카쿠 아키히로 도레이 회장, 김영섭 도레이첨단소재 대표이사 사장 등 120여명이 참석했다. 외국계 기업 최초로 새만금에 투자한 도레이첨단소재는 2016년 세계 최초로 원료부터 수지, 컴파운드에 이르는 일관 생산체제를 구축한 데 이어 이번 증설로 국내 최대 규모인 연산 1만3600t의 PPS 생산 능력을 확보했다. PPS는 내열성·내화학성·전기절연성이 우수한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다. 금속을 대체할 수 있는 경량화 소재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열변형온도 260℃...

전체 기사 읽기

뉴스1 2025-11-02 09:42:39 oid: 421, aid: 0008579671
기사 본문

31일 준공식…국내 최대 규모 연산 1만3600만톤 생산능력 확보 (왼쪽부터) 김영섭 도레이첨단소재 사장, 큐노 모토히사 도레이첨단소재 회장, 닛카쿠 아키히로 도레이 회장, 김의겸 새만금개발청장,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지사, 신영대 국회의원.(도레이첨단소재 제공) (서울=뉴스1) 원태성 기자 = 도레이첨단소재가 지난달 31일 전북특별자치도 새만금산업단지에 위치한 군산공장에 연산 5000톤 규모의 PPS(Polyphenylene Sulfide) 2호기의 증설을 완료하고 준공식을 개최했다고 2일 밝혔다. PPS는 내열성, 내화학성, 전기절연성이 우수한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특히 금속을 대체할 수 있는 경량화 소재로서 자동차 부품 외에도 전기·전자기기, 가전제품, 산업용 부품, 주택설비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도 적용이 확대되며, 첨단 산업에 필수적인 고기능 소재다. 행사에는 김의겸 새만금개발청장,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 도지사, 신영대 국회의원, 김영민 군산시 부시장 등 시·도 관...

전체 기사 읽기

아시아경제 2025-11-02 11:04:21 oid: 277, aid: 0005673168
기사 본문

국내 최대 1만3600t 체제 구축 도레이첨단소재가 전북 새만금산업단지 군산공장에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2호기 증설을 마치고 본격 가동에 들어갔다. PPS는 내열성과 내화학성, 전기절연성이 우수한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금속을 대체할 수 있는 경량화 소재다. 자동차 부품 외에도 전기·전자기기, 가전제품, 산업용 부품, 주택설비 등 다양한 산업 분야로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 사진 왼쪽부터 김영섭 도레이첨단소재 사장, 큐노 모토히사 도레이첨단소재 회장, 닛카쿠 아키히로 도레이 회장, 김의겸 새만금개발청장,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지사, 신영대 국회의원. 도레이첨단소재 제공 도레이첨단소재는 최근 군산공장에서 연산 5000t 규모의 PPS 2호기 준공식을 열었다고 2일 밝혔다. 도레이첨단소재는 외국계 기업으로는 처음 새만금에 투자해 2016년 세계 최초로 원료부터 수지, 컴파운드까지 이어지는 PPS 일관생산체제를 구축했다. 이번 증설로 생산능력은 연간 1만3600t으로 확대돼 국내...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1-02 09:21:53 oid: 001, aid: 0015718807
기사 본문

도레이첨단소재 군산공장 PPS 2호기 준공식 [도레이첨단소재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조성흠 기자 = 도레이첨단소재는 전북특별자치도 새만금산업단지 소재 군산공장에 연산 5천t 규모의 PPS(Polyphenylene Sulfide) 2호기 생산 라인 신설을 완료했다고 2일 밝혔다. PPS는 내열성, 내화학성, 전기절연성이 우수한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금속을 대체할 수 있는 경량화 소재로서 자동차 부품 외에도 전기·전자기기, 가전제품, 산업용 부품, 주택설비 등 다양한 분야로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 외국계 기업 최초로 새만금에 투자한 도레이첨단소재는 2016년 세계 최초로 원료부터 수지, 컴파운드에 이르는 일관 생산 체제를 구축한 데 이어, 이번 증설로 국내 최대 규모인 연산 1만3천600t의 생산 능력을 확보했다. 이를 통해 자동차, 전기전자, 산업용 등 분야에서의 수요 증대에 적극 대응하는 한편, 새로운 용도개발과 최적의 설루션 제공으로 국내외 시장에...

전체 기사 읽기

한국경제 2025-11-02 14:01:12 oid: 015, aid: 0005205663
기사 본문

도레이첨단소재 도레이첨단소재는 전북 새만금산업단지에 연산 5000t 규모의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2호기 시설 증설을 완료했다고 2일 밝혔다. 도레이첨단소재는 고기능성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시장 공략을 위해 국내투자를 늘리고 있다. PPS는 내열성과 내화학성, 전기절연성이 뛰어난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금속 대체 경량화 소재다. 자동차 엔진, 전자기기, 건축용 설비 등에 사용된다. 도레이첨단소재는 이번 증설로 연산 1만3600t의 PPS 생산능력을 확보했다. 국내 최대 수준이다. 도레이첨단소재는 2016년 외국계 기업 최초로 새만금에 투자했다. 당시 원료부터 수지, 컴파운드에 이르는 PPS 일관생산체제를 세계최초로 구축했다. 약 10년만에 1만3600t의 생산능력을 갖추게되면서 늘어나는 국내 자동차, 전기전자, 건설 수요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됐다. 도레이첨단소재는 신규 용도개발도 하고 있다. 특히 해외 신규 수요처 발굴에 집중 투자하고 있다. 해외 수출을 통해 글로벌...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