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매수 심리 9주 만에 하락...강북이 더 위축

2025년 11월 03일 수집된 기사: 0개 전체 기사: 30개
수집 시간: 2025-11-03 00:17:06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10개

YTN 2025-11-02 22:57:32 oid: 052, aid: 0002267654
기사 본문

서울 아파트 매수심리 9주 만에 첫 하락 서울 강북권 3.2p 하락 vs 강남권 1.3p 하락 "강북권 대출 의존도가 강남보다 더 높기 때문" [앵커] 서울과 경기 12개 지역을 규제지역으로 묶은 '10·15대책' 시행 후 그간 상승세를 이어온 서울의 아파트 매수 심리가 9주 만에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강남권보다는 강북권 매수심리가 더 위축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류환홍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한국부동산원 주간 아파트 수급동향을 보면 지난주인 10월 넷째 주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가 한 주 전 105.4에서 103.2로 2.2포인트 하락했습니다. 지난 8월 18일의 99.1 이후 9주 만의 첫 하락이었습니다. 특히 강북권 매매수급지수가 104.8에서 101.6으로 3.2포인트나 하락했는데 강남권은 106.0에서 104.7로 1.3포인트만 낮아졌습니다. 강북권은 대출의존도가 높은 실수요 비중이 강남보다 크기 때문에 규제 영향이 크게 나타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함...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1-02 07:01:32 oid: 001, aid: 0015718704
기사 본문

부동산원 매매수급지수…대출 의존도 높은 실수요 비중이 강남보다 커 (서울=연합뉴스) 임기창 기자 =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을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은 10·15 부동산 대책이 시행되자 그간 상승세를 이어온 해당 지역의 아파트 매수 심리가 2개월여 만에 꺾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2일 한국부동산원의 주간 아파트 수급동향에 따르면 10월 넷째 주(10월27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직전 주(105.4) 대비 2.2포인트 내린 103.2로, 8월18일(99.1) 이후 처음 하락 전환했다. 매매수급지수는 수요와 공급 비중을 점수화한 수치다. 100을 기준으로 0에 가까울수록 시장에서 집을 팔려는 공급이 우위, 200에 가까울수록 집을 매수하려는 수요가 우위임을 뜻한다. 6월까지 가파르게 오르던 서울 매매수급지수는 고강도 대출규제를 담은 6·27 대책 시행 이후 꺾여 한때 100 아래로 떨어졌다가 9월과 10월 두 달...

전체 기사 읽기

YTN 2025-11-02 14:59:56 oid: 052, aid: 0002267570
기사 본문

서울 아파트 매수심리 9주 만의 첫 하락 서울 강북권 3.2p 하락 vs 강남권 1.3p 하락 [앵커] 서울과 경기 12개 지역을 규제지역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은 '10·15대책' 시행 후 그간 상승세를 이어온 서울의 아파트 매수 심리가 9주 만에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강남권보다는 강북권 매수심리가 더 위축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취재기자를 연결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류환홍 기자! 서울 강북권 매수심리가 강남권보다 더 위축된 이유는 뭘까요? [기자] 강북권이 강남권에 비해 대출 의존도가 상대적으로 큰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부동산원의 주간 아파트 수급동향을 보면 지난주인 10월 넷째 주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가 전주의 105.4에서 103.2로 2.2포인트 하락했습니다. 지난 8월 18일의 99.1 이후 9주 만의 첫 하락이었습니다. 특히 강북권 매매수급지수가 104.8에서 101.6으로 3.2포인트 하락했고 강남권은 106.0에서 104.7로 ...

전체 기사 읽기

한국경제 2025-11-02 13:29:17 oid: 015, aid: 0005205657
기사 본문

9주 만에 하락 전환 서울 한 중개업소에 붙은 매매 안내문. /사진=연합뉴스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을 '3중 규제'(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토지거래허가구역)로 묶은 10·1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이 시행된 뒤 그동안 강세를 이어온 아파트 매수 심리가 2개월여 만에 꺾인 것으로 나타났다. 2일 한국부동산원의 주간 아파트 수급 동향에 따르면 10월 넷째주(10월27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 수급 지수는 직전 주(105.4) 대비 2.2포인트 내린 103.2로 나타났다. 지난 8월18일(99.1) 후 처음 하락 전환했다. 매매 수급 지수는 매도와 매수 수요 비중을 점수화한 수치다. 100을 기준으로 0에 가까울수록 시장에서 집을 팔려는 사람이 많다('매도 수요' 우위)는 의미이고, 200에 가까울수록 집을 사려는 사람이 많다('매수 수요' 우위)는 뜻이다. 지난 6월까지 가파르게 오르던 서울 매매 수급 지수는 고강도 대출 규제를 담은 '6·27 부동산 대책' 시행 후 꺾여 한...

전체 기사 읽기

SBS 2025-11-02 10:09:25 oid: 055, aid: 0001304711
기사 본문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을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은 10·15 부동산 대책이 시행되자 그간 상승세를 이어온 해당 지역의 아파트 매수 심리가 2개월여 만에 꺾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일 한국부동산원의 주간 아파트 수급동향에 따르면 10월 넷째 주(10월 27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직전 주(105.4) 대비 2.2포인트 내린 103.2로, 8월 18일(99.1) 이후 처음 하락 전환했습니다. 매매수급지수는 수요와 공급 비중을 점수화한 수치입니다. 100을 기준으로 0에 가까울수록 시장에서 집을 팔려는 공급이 우위, 200에 가까울수록 집을 매수하려는 수요가 우위임을 뜻합니다. 6월까지 가파르게 오르던 서울 매매수급지수는 고강도 대출규제를 담은 6·27 대책 시행 이후 꺾여 한때 100 아래로 떨어졌다가 9월과 10월 두 달에 걸쳐 반등했습니다. 그러다 10·15 대책의 규제지역 확대 시행(16일)에 이어 토허구역 지정(20일)...

전체 기사 읽기

시사저널 2025-11-02 13:28:14 oid: 586, aid: 0000115028
기사 본문

[조주연 디지털팀 기자 shscja123@naver.com] 10월 넷째 주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 103.2 강북권, 강남권보다 매수심리 더 위축…"대출 의존도 높은 실수요 비중 커" 10월 넷째 주(10월27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직전 주(105.4) 대비 2.2포인트 내린 103.2로 집계됐다. 사진은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도심 아파트 모습 ⓒ연합뉴스 10·15 부동산 대책의 영향으로 그간 상승세를 이어온 서울 등 규제 지역의 아파트 매수 심리가 2개월여 만에 꺾였다. 2일 한국부동산원의 주간 아파트 수급동향에 따르면, 10월 넷째 주(10월27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직전 주(105.4) 대비 2.2포인트 내린 103.2로 집계됐다. 지난 8월18일(99.1) 이후 처음으로 하락 전환했다. 매매수급지수는 수요와 공급의 비중을 점수화한 수치다. 100을 기준으로 0에 가까울수록 시장에서 집을 팔려는 공급이 더 많은 것이고, 반대로 200에 가까...

전체 기사 읽기

디지털타임스 2025-11-02 11:14:34 oid: 029, aid: 0002990880
기사 본문

서울 25개구 전역과 경기 12개 지역을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은 10·15 대책 시행 후 규제 지역 아파트 매수 심리가 2개월여 만에 꺾였다. 2일 한국부동산원 주간 아파트 수급동향에 따르면 10월 넷째 주(10월 27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직전 주(105.4) 대비 2.2포인트 내린 103.2로, 8월 18일 99.1 이후 처음으로 하락 전환했다. 매매수급지수는 수요와 공급 비중을 점수화한 수치로, 100을 기준으로 0에 가까울수록 시장에서 집을 팔려는 공급이 우위고, 200에 가까울수록 집을 사려는 수요가 우위임을 뜻한다. 지난 6월까지 가파르게 오르던 서울 매매수급지수는 6·27 대책 시행 이후 꺾여 한때 100 아래로 떨어졌다가 9월과 10월 두 달에 걸쳐 반등했다. 그러다 10·15 대책의 규제지역 확대 시행(16일)에 이어 토허구역 지정(20일)까지 '삼중 규제'가 모두 적용된 상황을 처음 반영한 10월 27일 기준 발...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TV 2025-11-02 10:29:10 oid: 422, aid: 0000797284
기사 본문

서울 아파트 단지 [연합뉴스 자료 사진]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을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은 10·15 부동산 대책이 시행되자 그간 상승세를 이어온 해당 지역의 아파트 매수 심리가 2개월여 만에 꺾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2일) 한국부동산원의 주간 아파트 수급동향에 따르면 10월 넷째 주(10월27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직전 주(105.4) 대비 2.2포인트 내린 103.2로, 8월18일(99.1) 이후 처음 하락 전환했습니다. 매매수급지수는 수요와 공급 비중을 점수화한 수치입니다. 100을 기준으로 0에 가까울수록 시장에서 집을 팔려는 공급이 우위, 200에 가까울수록 집을 매수하려는 수요가 우위임을 뜻합니다. 6월까지 가파르게 오르던 서울 매매수급지수는 고강도 대출규제를 담은 6·27 대책 시행 이후 꺾여 한때 100 아래로 떨어졌다가 9월과 10월 두 달에 걸쳐 반등했습니다. 그러다 10·15 대책의 규제지역 확대...

전체 기사 읽기

한국경제TV 2025-11-02 12:59:42 oid: 215, aid: 0001229238
기사 본문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을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은 10·15 부동산 대책이 시행되자, 그간 상승세를 이어온 해당 지역 아파트 매수 심리가 2개월여 만에 꺾인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보다 대출 의존도가 높은 강북권의 위축 폭이 더 컸다. 2일 한국부동산원의 주간 아파트 수급동향에 따르면 10월 넷째 주(10월27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직전 주(105.4) 대비 2.2포인트 내린 103.2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8월18일(99.1) 이후 처음 하락 전환한 것이다. 매매수급지수는 100을 기준으로 수요와 공급의 균형을 수치화한 지표로, 100을 넘으면 매수세 우위, 100 미만이면 매도세 우위를 의미한다. 6월까지 가파르게 오르던 서울 매매수급지수는 고강도 대출규제를 담은 6·27 대책 시행 이후 꺾여 한때 100 아래로 떨어졌다가 9월과 10월 두 달에 걸쳐 반등했다. 그러다 10·15 대책의 규제지역 확대 시행(16일)에 이...

전체 기사 읽기

경향신문 2025-11-02 14:50:00 oid: 032, aid: 0003406059
기사 본문

정부가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을 발표한 지난달 15일 서울 도심. 문재원 기자 10·15 부동산 대책 시행 영향으로 그간 상승세를 이어온 서울 아파트 매수 심리가 2개월여 만에 꺾인 것으로 나타났다. 매수심리 위축은 특히 노·도·강(노원·도봉·강북) 지역이 포함된 서울 동북권에서 두드러졌다. 한국부동산원이 2일 발표한 주간 아파트 수급동향 자료를 보면 10월 넷째주(27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103.2로 전주(105.4) 대비 2.2포인트 내린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8월 넷째주 이후 계속 오르던 매매수급지수가 9주만에 하락 전환한 것이다. 매매수급지수는 아파트 수요와 공급 비중을 점수화한 수치다. 100을 기준으로 0에 가까울수록 집을 팔려는 공급이 우위라는 뜻이고, 200에 가까울수록 집을 사려는 수요가 우위라는 뜻이다. 서울 매매수급지수는 수도권·규제지역 주택매수 때 주택담보대출을 6억원으로 제한한 6·27 대책 시행 이후 꺾여 7~8월 한때 100 아래로 떨어졌다...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