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강도 '대출 조이기'…지난달 은행권 일반 주담대 7천억대로 '뚝'

2025년 11월 02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31개
수집 시간: 2025-11-02 19:08:36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8개

연합뉴스TV 2025-11-02 10:13:10 oid: 422, aid: 0000797276
기사 본문

은행 창구 [연합뉴스 자료사진] 정부의 대출 규제 강화와 주택 거래 위축이 겹치면서 지난달 은행권에서 주택구입 목적의 일반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증가 폭이 7천억원 수준에 그쳤습니다. 오늘(2일) 금융권과 금융당국에 따르면 10월(1∼30일 기준·17영업일) 은행권 주택구입 목적 일반 주담대는 7천억원가량 증가했습니다. 전월 동기간(+1조2천억원)과 비교하면 40% 이상 감소한 것입니다. 말일 대출분이 반영되더라도 8월(+2.9조원)과 9월(+2조원)에 이어 뚜렷한 감소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입니다. 정부가 6·27 대책, 10·15 대책 등으로 고강도 '대출 조이기'에 나선 데다가 은행권도 연말을 맞아 가계대출 총량 관리에 돌입하면서 일반 주담대 증가세가 눈에 띄게 둔화했습니다. 주택 거래 자체도 크게 위축된 상황입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수도권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6월 3만4천호, 7월 2만6천호, 8월 1만5천호 등으로 급감세입니다. 통상 매매 계약과 대출 실행 간 2∼3달의...

전체 기사 읽기

파이낸셜뉴스 2025-11-02 18:12:15 oid: 014, aid: 0005428259
기사 본문

고강도 규제에 7천억 증가 그쳐 가계대출 잔액 3조5천억 늘어 중도금 몰리고 신용대출 는 탓 정부의 부동산 대출규제 강화에 따른 가계대출 관리 기조가 은행권의 주택담보대출 감소세로 이어졌다. 거래가 줄면서 지난달 은행권의 주택구입 목적의 일반 주택담보대출 증가 폭은 7000억원 수준에 그쳤다. 2일 금융권과 금융당국에 따르면 10월(30일 기준·17영업일) 은행권 주택구입 목적의 일반 주담대는 7000억원가량 증가했다. 전월 같은 기간 약 1조2000억원 증가한 것과 비교하면 40% 이상 줄어든 것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부동산 대출규제의 영향도 있지만 기존 가계부채 총량관리에 따라 각 은행이 부여된 주담대 한도를 거의 채운 분위기"라고 전했다. 은행권에서는 말일 대출분이 반영되더라도 지난 8월(+2조9000억원)과 9월(+2조원)에 이어 뚜렷한 감소세로 돌아선 것이라는 분석이다. 주택 거래 자체도 크게 위축된 상황이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수도권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6월 3만40...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1-02 05:45:04 oid: 001, aid: 0015718624
기사 본문

10월 가계대출 2조2천769억↑…주담대 증가폭 1조2천683억, 1년만에 최소 시장금리 상승에 대출금리도 2개월새 0.3%p↑…"연말까지 대출 절벽" 규제 강화에 전월세난 가속 (서울=연합뉴스) 윤동진 기자 = 초강력 주택 수요 억제책으로 평가받는 10·15대책 후 전세 매물이 급감하고, 월세화가 가속하며 전월세값 동반 급등세가 심화되고 있는 26일 서울의 한 부동산에 관련 정보가 부착돼 있다. 2025.10.26 mon@yna.co.kr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한지훈 기자 =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규제로 사실상 갭투자(전세를 낀 주택 매입)가 막히자, 전세 물건이 귀해지면서 관련 대출도 급감하고 있다. 아울러 전세자금대출을 포함한 전체 주택담보대출 역시 증가 속도가 1년만에 최저 수준까지 떨어졌다. 여기에 시장금리 상승으로 은행권의 대출 금리까지 오르면서, 당분간 은행 대출 창구가 계속 더 좁아질 것으로 우려된다. 10월 가계대출 증가폭, 9월의 두배·6월의 3분의 1…신용대출...

전체 기사 읽기

TV조선 2025-11-02 17:47:25 oid: 448, aid: 0000567815
기사 본문

서울 아파트 전경 정부의 부동산 규제 강화로 갭투자가 사실상 차단되면서 전세대출이 크게 줄었다. 시장금리 상승으로 대출금리도 오르며 가계의 자금 조달 여건이 악화되고 있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10월 전체 가계대출 잔액은 766조 3,718억 원으로, 한 달 새 2조 2,769억 원 증가했다. 증가폭은 9월(+1조 1,964억 원)의 약 두 배지만 6월(+6조 7,536억 원)과 비교하면 3분의 1 수준에 그쳤다. 특히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1조 2,683억 원 늘어 작년 10월(+1조 923억 원) 이후 가장 적은 증가 폭을 기록했다. 서울과 수도권 주요 지역이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되고 15억 원 초과 주택의 담보대출 한도가 2억~4억 원으로 축소된 10·15대책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주택담보대출 중 전세자금대출은 5,385억 원 감소했다. 이는 9월(-344억 원)에 이어 두 달 연속 감소세이며 2024년 4월(-6,257...

전체 기사 읽기

헤럴드경제 2025-11-01 07:50:09 oid: 016, aid: 0002550987
기사 본문

지난달 5대 은행서 2.3조 늘어 9월 대비 증가폭 1조 이상 확대 가계대출 상승세, 신용대출이 주도 마이너스통장 중심 1조519억 늘어 주담대 1조2683억↑, 전월과 비슷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이 10월 들어 30일까지 2조2769억원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서울 여의도의 한 은행을 찾은 고객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헤럴드DB] [헤럴드경제=김은희 기자] 지난달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가계대출 잔액이 2조원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9월보다 두 배가량 큰 규모다. 6·27 대책 등의 효과로 가계대출 증가폭이 급감한 지 한 달 만에 다시금 증가폭이 확대됐다. 주택담보대출 실행이 줄이은 데다 자본시장 훈풍에 주식 투자 등을 위한 마이너스통장(신용한도대출) 등 신용대출이 많이 늘어난 영향이다. 1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의 10월 30일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766조3718억원으로 지난 9월 말(765조7559억원) 대비 2조2769억원 증가한...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1-02 05:45:00 oid: 001, aid: 0015718623
기사 본문

증가폭 전달 대비 40% 이상 감소…연말 총량 관리에 대출 조이기 지속 은행권 이어 보험사도 비상…삼성화재[000810] 비대면 주담대 중단 증가폭 전달 대비 40% 이상 감소…연말 총량 관리에 대출 조이기 지속 은행권 이어 보험사도 비상…삼성화재 비대면 주담대 중단 은행 창구 [연합뉴스 자료사진] 2025.10.15 nowwego@yna.co.kr (서울=연합뉴스) 임수정 기자 = 정부의 대출 규제 강화와 주택 거래 위축이 겹치면서 지난달 은행권에서 주택구입 목적의 일반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증가 폭이 7천억원 수준에 그쳤다. 은행권이 연말을 앞두고 대출 총량 관리를 강화하는 가운데 보험사들도 대출 문턱을 점차 높이는 분위기다. 2일 금융권과 금융당국에 따르면 10월(1∼30일 기준·17영업일) 은행권 주택구입 목적 일반 주담대는 7천억원가량 증가했다. 전월 동기간(+1조2천억원)과 비교하면 40% 이상 감소한 것이다. 말일 대출분이 반영되더라도 8월(+2.9조원)과 9월(+2조원...

전체 기사 읽기

데일리안 2025-11-02 11:59:09 oid: 119, aid: 0003019794
기사 본문

전체 가계대출 잔액 766조3718억원 '영끌' 절정이던 6월 대비 3분의 1 수준 전세대출 마이너스 기록…2개월 연속↓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규제로 사실상 갭투자(전세를 낀 주택 매입)가 막히면서 관련 대출이 급감하고 있다. ⓒ연합뉴스 [데일리안 = 박상우 기자]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규제로 사실상 갭투자(전세를 낀 주택 매입)가 막히면서 관련 대출이 급감하고 있다. 전세자금대출을 포함한 전체 주택담보대출은 증가 속도가 1년 만에 최저 수준까지 떨어졌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전체 가계대출 잔액은 766조3718억원으로 이달 2조2769억원 불었다. 9월(+1조1964억원)의 약 2배 수준이지만, 앞서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주택구입)이 절정이던 6월(+6조7536억원)과 비교하면 3분의 1 수준이다. 지난 7월(+4조1386억원)·8월(+3조9251억원)보다도 적다 특히 주담대 증가 폭이 1조2683억원(608조9848억원→61...

전체 기사 읽기

디지털타임스 2025-11-02 09:37:51 oid: 029, aid: 0002990843
기사 본문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규제로 사실상 갭투자(전세를 낀 주택 매입)가 막히면서 관련 대출이 급감하고 있다. 전세자금대출을 포함한 전체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역시 증가 속도가 1년 만에 최저 수준까지 떨어졌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전체 가계대출 잔액은 766조3718억원으로 지난달 2조2769억원이 늘어났다. 9월(+1조1964억원)의 약 2배 수준이지만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주택구입)이 절정이었던 6월(+6조7536억원)과 비교하면 3분의 1 수준이다. 7월(+4조1386억원)·8월(+3조9251억원)보다도 증가 폭이 둔화했다. 지난달 주담대 증가 폭 역시 1조2683억원에 그쳤다. 앞서 급감한 9월(+1조3134억원)보다도 낮은 수준이다. 지난해 10월(+1조923억원) 이후 가장 적다. 서울 전역과 수도권 주요 지역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하고 15억원이 넘는 집의 주담대 한도를 2억~4억원으로 더 줄인 10·15 대책의 영...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