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산업진흥원, 제20회 국제로봇콘테스트 성료

2025년 11월 02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9개
수집 시간: 2025-11-02 16:58:16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8개

지디넷코리아 2025-11-02 15:23:14 oid: 092, aid: 0002396522
기사 본문

강릉서 700팀 1300명 참가 산업통상부가 주최하고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이 주관하는 '제20회 국제로봇콘테스트'가 1일 강릉 올림픽파크에서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올해로 20주년을 맞은 국제로봇콘테스트는 지자체 순회 개최 방식의 첫 번째 대회로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국민참여형 로봇축제'로 자리매김했다. 이번 대회는 초·중·고등학생부터 대학·일반부까지 참여하는 12개 세부대회, 41개 종목으로 구성되어 전국 각지에서 1천300여명의 참가자가 경쟁을 벌였다. 제20회 국제로봇콘테스트 시상식 무대 (사진=한국로봇산업진흥원) 특히 유튜브 채널 과학드림 김정훈 대표와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손웅희 수석고문이 함께한 로봇 토크콘서트, 초등학생 대상 '로봇드림캠프'가 부대행사로 운영되어 관람객들의 관심을 받았다. 이번 대회에서는 대통령상 4점, 국무총리상 3점, 산업통상부 장관상 15점 등 총 130점의 상이 수여됐다. 지능로봇대회 휴머노이드 지능형 부문에서 '로봇플레이' 팀이, 인공지능로봇챌린지 협동...

전체 기사 읽기

지디넷코리아 2025-11-02 15:37:10 oid: 092, aid: 0002396524
기사 본문

산업연구원 "韓 로봇산업, 수요·융합·협력 3대 전략 시급" 중국이 피지컬 AI 시대를 맞아 로봇산업을 국가 제조 경쟁력의 핵심 인프라로 육성하고 있다. 단순한 생산량 확대를 넘어 기술혁신, 독자적 생태계 구축, 글로벌화 전략을 통해 세계 로봇 시장 중심으로 부상했다. 산업연구원은 2일 '피지컬 AI시대, 중국 로봇산업의 성장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중국은 세계 최대 로봇 생산국이자 소비국"이라며 "로봇산업을 전기·전자·자동차 등 주요 제조업 자동화 핵심축으로 활용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중국 산업용 로봇 신규 설치대수는 29만5천 대로 전년 대비 7% 증가했으며, 전 세계 설치량의 54%를 차지했다. 유니트리 휴머노이드 G1 (사진=유니트리) 특히 유니트리와 유비테크 등 스타트업이 주도하는 휴머노이드 로봇 상용화 속도가 세계에서 가장 빠르다. 서비스 로봇 분야 역시 가격 경쟁력과 기술력을 기반으로 글로벌 시장을 장악 중이다. 산업연구원...

전체 기사 읽기

경향신문 2025-11-02 09:00:00 oid: 032, aid: 0003405995
기사 본문

‘2025 미래혁신기술박람회’의 현대차 부스. 권재현 선임기자 지난달 25일 대구 북구 엑스코에서 나흘간의 일정으로 치러진 ‘2025 미래혁신기술박람회’(FIX 2025)의 열쇳말은 ‘자동차 산업의 미래’와 ‘휴머노이드 로봇의 잠재력’, 이렇게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둘을 관통하는 건 역시나 ‘인공지능’(AI)이었다. 생성형 AI를 거쳐 피지컬 AI로 나아가는 첨단 기술이 미래 모빌리티, 나아가 인류의 삶을 송두리째 바꿔놓으리라는 데 참석자들은 이견이 없었다. 미국과 중국이 저만치 앞서 달려가는 중이다. 양국의 기술 패권 경쟁은 이미 시작됐고, 머지않은 미래에 정부 지원, 부품 공급망을 비롯한 강력한 독자 생태계를 등에 업은 중국이 미국마저 따라잡으리라는 예견 아니 경고가 행사장 곳곳에 흘러넘쳤다. ■약진하는 중국 파급력 “폭발적” 고태봉 iM증권 리서치본부장은 ‘산업 동향’ 콘퍼런스에서 “무한경쟁을 뚫고 살아남은 전기차, 배터리, 로봇 기업들을 중국 정부가 2015년 수립한 ...

전체 기사 읽기

전자신문 2025-11-02 14:13:12 oid: 030, aid: 0003365794
기사 본문

산업통상부가 주최하고 한국로봇산업진흥원(KIRIA·원장 직무대행 류지호)이 주관하는 '제20회 국제로봇콘테스트'가 1일 강릉 올림픽파크에서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올해로 20주년을 맞은 국제로봇콘테스트는 지자체 순회 개최 방식의 첫 번째 대회로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국민참여형 로봇축제'로 자리매김했다는 평가다. 이번 대회는 초·중·고등학생부터 대학·일반부까지 참여하는 12개 세부대회, 41개 종목으로 구성되어 전국 각지에서 1300여명의 참가자가 참여하여 열띤 경쟁을 펼쳤다. 대통령상 4점, 국무총리상 3점, 산업통상부 장관상15점 등 총 130점의 상이 수여됐다. '제20회 국제로봇콘테스트' 대회 모습 지능로봇대회 '휴머노이드 지능형' 부문에서 '로봇플레이'팀, 인공지능로봇챌린지 '협동로봇챌린지' 부문에서 '배승근(대구반도체고)', '발전소 지능형 로봇챌린지'에서 '수소화합물 감지로봇'팀, '산업용로봇 미션 챌린지'에서 'MarsArmyTiger'팀이 각각 1위를 수상, 대통령상의...

전체 기사 읽기

데일리안 2025-11-02 13:00:07 oid: 119, aid: 0003019822
기사 본문

강릉서 개최 700팀 1300명 참가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은 산업통상부가 주최하고 로봇산업진흥원이 주관하는 '제20회 국제로봇콘테스트'가 1일 강릉 올림픽파크에서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로봇산업진흥원 [데일리안 = 임은석 기자]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은 산업통상부가 주최하고 로봇산업진흥원이 주관하는 '제20회 국제로봇콘테스트'가 1일 강릉 올림픽파크에서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고 2일 밝혔다. 올해로 20주년을 맞은 국제로봇콘테스트는 지방자치단체 순회 개최 방식의 첫 번째 대회로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국민참여형 로봇축제'로 자리매김했다. 이번 대회는 초·중·고등학생부터 대학·일반부까지 참여하는 12개 세부대회, 41개 종목으로 구성돼 전국 각지에서 1300여명의 참가자가 참여해 열띤 경쟁을 펼쳤다. 특히 유튜브 채널 과학드림의 김정훈 대표와 손웅의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수석고문이 함께한 로봇 토크콘서트, 초등학생 대상 '로봇드림캠프'가 부대행사로 운영돼 관람객들의 관심을 받았다. 이번 대회에서는 대...

전체 기사 읽기

이데일리 2025-11-02 11:02:14 oid: 018, aid: 0006154010
기사 본문

작년 中 산업용 신규 로봇 29.5만대…전 세계 54% 차지 “韓 제도적 기반 및 실증환경 마련해 수요시장 창출해야” [이데일리 정두리 기자] 중국이 세계 최대 로봇 생산·소비국으로 부상하며 AI 기반 자율주행 및 로보틱스(피지컬 AI) 시대의 핵심 산업을 빠르게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제조업에서 강점을 보유한 우리나라에게도 상당한 도전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데일리 김정훈 기자] 2일 산업연구원(KIET)이 발표한 ‘피지컬 AI 시대, 중국 로봇산업의 성장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은 이미 세계 최대의 로봇 생산국이자 소비국으로 자리매김해 제조 경쟁력의 핵심 인프라 역할을 하고 있다. 국제로봇연맹(IFR) 통계에 따르면, 2024년 중국 산업용 로봇 신규 설치 대수는 29만 5000대로 전년 동기보다 7% 증가했다. 이는 전 세계 신규 설치량의 54%로, 중국산 로봇만 17만대가 설치됐다. 유니트리(Unitree), 유비테크(UBTECH), 로봇에라...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1-02 11:00:01 oid: 001, aid: 0015718950
기사 본문

산업연 보고서…"한국, 산업·생태계 차원 전방위 지원해야" 유니트리 휴머노이드 로봇 G1 [촬영 신현우] (세종=연합뉴스) 차대운 기자 = 인공지능(AI)과 결합한 중국 로봇 산업이 세계적인 수준으로 발전할 수 있던 것은 수요, 정책 지원, 독자적 공급망 구축의 삼박자가 맞아떨어진 결과라는 분석이 나왔다. 산업연구원은 2일 '피지컬 AI 시대, 중국 로봇 산업의 성장과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중국 로봇 산업 발전 전략을 분석하고 한국 로봇 산업의 대응 방향을 제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산업용 로봇 시장은 빠르게 성장해 전 세계 시장 점유율의 약 3분의 1을 차지하면서 세계 최대 산업용 로봇 응용 시장으로 자리매김했다. 국제로봇연맹(IFR) 통계에 따르면 2024년 중국 산업용 로봇 신규 설치 대수는 29만5천대로 전년 대비 7% 증가했다. 전 세계 신규 설치량의 약 54%다. 휴머노이드 로봇에서도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른 상용화 단계에 진입했다. 유니트리(Unitree) 유비테크...

전체 기사 읽기

매일신문 2025-11-02 16:04:15 oid: 088, aid: 0000978758
기사 본문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달 24일 대구 엑스코에서 열린 '미래혁신기술박람회(FIX 2025)'를 방문해 글러브를 낀 휴머노이드 로봇을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인공지능(AI)과 결합한 중국 로봇 산업이 세계적인 수준으로 발전할 수 있던 것은 수요와 정책 지원, 독자적 공급망 구축 등 조건이 맞아떨어진 결과라는 분석이 나왔다. 산업연구원은 2일 '피지컬 AI 시대, 중국 로봇 산업의 성장과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중국 로봇 산업 발전 전략을 분석하고 한국 로봇 산업의 대응 방향을 제시했다. 현재 중국 산업용 로봇 시장은 빠르게 성장해 전 세계 시장 점유율의 약 3분의 1을 차지하면서 세계 최대 산업용 로봇 응용 시장으로 자리매김했다. 국제로봇연맹(IFR) 통계에 따르면 2024년 중국 산업용 로봇 신규 설치 대수는 29만5천대로 전년 대비 7% 증가했다. 전 세계 신규 설치량의 약 54%다. 휴머노이드 로봇에서도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른 상용화 단계에 진입했다. 유니트리(Unitree) 유...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