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5 대책 약발이 먹혔나…서울 아파트 매수심리 하락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이재명 정부의 세번째 부동산 대책인 10·15 대책 이후 서울 아파트 매수심리가 하락했다. 최근 9주간 이어오던 상승세가 꺾였다.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곳까지 광범위하게 토지거래허가구역 및 규제지역으로 지정되자 매수자들도 관망 분위기로 돌아선 것으로 파악된다. 서울 송파구 잠실동 일대 아파트 전경 [연합뉴스] 2일 한국부동산원의 주간 아파트 수급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넷째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103.2를 기록했다. 직전 주 대비 2.2p 내린 수치다. 매매수급지수는 100을 기준으로 수치가 200에 가까울수록 매수세가 우위인 시장, 0에 가까울수록 매도세가 우위인 시장을 뜻한다. 매매수급지수는 지난 6·27 대책 이후로 한풀 꺾였다 8월 셋째주부터 8주 연속 상승해왔다. 그러나 10·15 대책으로 서울 전역이 토지거래허가구역과 규제지역으로 묶이자 9주만에 하락했다. 수치는 여전히 100 이상으로 매수세가 우위이지만 초강력규제로 매수대기자들의 심리가 얼어붙은 것으로 보인...
기사 본문
서울 마포구 일대 아파트단지. 김명진 기자 littleprince@hani.co.kr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곳을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은 ‘10·15 부동산 대책’ 여파로 그간 상승세를 이어온 아파트 매수 심리가 2개월여 만에 꺾인 것으로 나타났다. 2일 한국부동산원의 주간 아파트 수급동향을 보면, 10월 넷째 주(10월27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직전 주(105.4) 대비 2.2포인트 내린 103.2로, 8월18일(99.1) 이후 처음 하락 전환했다. 매매수급지수는 100을 넘을수록 시장에서 집을 사려는 수요가 많고(매수우위), 100보다 낮을수록 집을 팔려는 공급이 많은(공급우위) 상황임을 뜻한다. 6월까지 가파르게 오르던 서울 매매수급지수는 고강도 대출규제를 담은 6·27 대책 시행 이후 꺾여 한때 100 아래로 떨어졌다가 9월과 10월 두 달에 걸쳐 반등했다. 그러다 10·15 대책의 규제지역 확대 시행(16일)에 이어 토허...
기사 본문
[앵커] 이재명 정부의 세번째 부동산 대책인 10·15 대책 이후 서울 아파트 매수심리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집을 매수하고자 하는 심리가 꺾인 건 두 달 만인데요. 보도국 연결해서 자세히 들어보겠습니다. 곽준영기자 [기자] 뜨겁던 내 집 마련 열기가 10·15 부동산 대책 발표 후 크게 얼어붙었습니다. 10월 넷째 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직전 주 대비 2.2포인트 내린 103.2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지난 8월 18일 99.1을 기록한 이후 9주 만에 처음 하락 전환한 건데요. 앞서 6월까지 치솟던 서울 매매수급지수는 6·27 대책 시행 이후 꺾여 한때 100 아래로 떨어졌다가 9월과 10월 반등을 이어갔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주택 매수 심리는 규제지역 확대와 토허구역 지정까지 '삼중규제'가 적용되자 위축됐습니다. 지역별로는 강북권에서 매수심리가 더 움츠러들었습니다. 강북권역 매매수급지수는 101.6으로 직전 주 대비 3.2포인트 하락해 104.7로 1.3포인트...
기사 본문
서울 아파트 매수심리 9주 만의 첫 하락 서울 강북권 3.2p 하락 vs 강남권 1.3p 하락 [앵커] 서울과 경기 12개 지역을 규제지역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은 '10·15대책' 시행 후 그간 상승세를 이어온 서울의 아파트 매수 심리가 9주 만에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강남권보다는 강북권 매수심리가 더 위축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취재기자를 연결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류환홍 기자! 서울 강북권 매수심리가 강남권보다 더 위축된 이유는 뭘까요? [기자] 강북권이 강남권에 비해 대출 의존도가 상대적으로 큰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부동산원의 주간 아파트 수급동향을 보면 지난주인 10월 넷째 주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가 전주의 105.4에서 103.2로 2.2포인트 하락했습니다. 지난 8월 18일의 99.1 이후 9주 만의 첫 하락이었습니다. 특히 강북권 매매수급지수가 104.8에서 101.6으로 3.2포인트 하락했고 강남권은 106.0에서 104.7로 ...
기사 본문
서울 아파트 매수심리 9주 만에 첫 하락 서울 강북권 3.2p 하락 vs 강남권 1.3p 하락 "강북권 대출 의존도가 강남보다 더 높기 때문" [앵커] 서울과 경기 12개 지역을 규제지역으로 묶은 '10·15대책' 시행 후 그간 상승세를 이어온 서울의 아파트 매수 심리가 9주 만에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강남권보다는 강북권 매수심리가 더 위축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류환홍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한국부동산원 주간 아파트 수급동향을 보면 지난주인 10월 넷째 주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가 한 주 전 105.4에서 103.2로 2.2포인트 하락했습니다. 지난 8월 18일의 99.1 이후 9주 만의 첫 하락이었습니다. 특히 강북권 매매수급지수가 104.8에서 101.6으로 3.2포인트나 하락했는데 강남권은 106.0에서 104.7로 1.3포인트만 낮아졌습니다. 강북권은 대출의존도가 높은 실수요 비중이 강남보다 크기 때문에 규제 영향이 크게 나타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함...
기사 본문
부동산원 매매수급지수…대출 의존도 높은 실수요 비중이 강남보다 커 (서울=연합뉴스) 임기창 기자 =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을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은 10·15 부동산 대책이 시행되자 그간 상승세를 이어온 해당 지역의 아파트 매수 심리가 2개월여 만에 꺾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2일 한국부동산원의 주간 아파트 수급동향에 따르면 10월 넷째 주(10월27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직전 주(105.4) 대비 2.2포인트 내린 103.2로, 8월18일(99.1) 이후 처음 하락 전환했다. 매매수급지수는 수요와 공급 비중을 점수화한 수치다. 100을 기준으로 0에 가까울수록 시장에서 집을 팔려는 공급이 우위, 200에 가까울수록 집을 매수하려는 수요가 우위임을 뜻한다. 6월까지 가파르게 오르던 서울 매매수급지수는 고강도 대출규제를 담은 6·27 대책 시행 이후 꺾여 한때 100 아래로 떨어졌다가 9월과 10월 두 달...
기사 본문
9주 만에 하락 전환 서울 한 중개업소에 붙은 매매 안내문. /사진=연합뉴스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을 '3중 규제'(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토지거래허가구역)로 묶은 10·1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이 시행된 뒤 그동안 강세를 이어온 아파트 매수 심리가 2개월여 만에 꺾인 것으로 나타났다. 2일 한국부동산원의 주간 아파트 수급 동향에 따르면 10월 넷째주(10월27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 수급 지수는 직전 주(105.4) 대비 2.2포인트 내린 103.2로 나타났다. 지난 8월18일(99.1) 후 처음 하락 전환했다. 매매 수급 지수는 매도와 매수 수요 비중을 점수화한 수치다. 100을 기준으로 0에 가까울수록 시장에서 집을 팔려는 사람이 많다('매도 수요' 우위)는 의미이고, 200에 가까울수록 집을 사려는 사람이 많다('매수 수요' 우위)는 뜻이다. 지난 6월까지 가파르게 오르던 서울 매매 수급 지수는 고강도 대출 규제를 담은 '6·27 부동산 대책' 시행 후 꺾여 한...
기사 본문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을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은 10·15 부동산 대책이 시행되자 그간 상승세를 이어온 해당 지역의 아파트 매수 심리가 2개월여 만에 꺾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일 한국부동산원의 주간 아파트 수급동향에 따르면 10월 넷째 주(10월 27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직전 주(105.4) 대비 2.2포인트 내린 103.2로, 8월 18일(99.1) 이후 처음 하락 전환했습니다. 매매수급지수는 수요와 공급 비중을 점수화한 수치입니다. 100을 기준으로 0에 가까울수록 시장에서 집을 팔려는 공급이 우위, 200에 가까울수록 집을 매수하려는 수요가 우위임을 뜻합니다. 6월까지 가파르게 오르던 서울 매매수급지수는 고강도 대출규제를 담은 6·27 대책 시행 이후 꺾여 한때 100 아래로 떨어졌다가 9월과 10월 두 달에 걸쳐 반등했습니다. 그러다 10·15 대책의 규제지역 확대 시행(16일)에 이어 토허구역 지정(2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