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매수 심리 2달만에 떨어졌다…'10·15 대책' 여파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강남보다 강북서 매수 심리 위축 커 서울 도심 아파트 모습. 연합뉴스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을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은 10·15 부동산 대책이 시행되자, 상승세를 이어온 아파트 매수 심리가 2개월여 만에 꺾였다. 2일 한국부동산원의 주간 아파트 수급동향에 따르면, 10월 넷째 주(10월27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직전 주(105.4) 대비 2.2포인트 내린 103.2로 나타났다. 이는 8월18일(99.1) 이후 처음으로 하락 전환한 것이다. 매매수급지수는 수요와 공급 비중을 점수화한 수치로, 100을 기준으로 0에 가까울수록 시장에서 집을 팔려는 공급이 우위, 200에 가까울수록 매수 수요가 우위임을 뜻한다. 6월까지 가파르게 오르던 서울 매매수급지수는 고강도 대출규제를 담은 6·27 대책 시행 이후 꺾여 한때 100 아래로 떨어졌다가 9월과 10월 두 달에 걸쳐 반등했다. 그러다 10·15 대책의 규제지역 확대 시행에 이...
기사 본문
[조주연 디지털팀 기자 shscja123@naver.com] 10월 넷째 주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 103.2 강북권, 강남권보다 매수심리 더 위축…"대출 의존도 높은 실수요 비중 커" 10월 넷째 주(10월27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직전 주(105.4) 대비 2.2포인트 내린 103.2로 집계됐다. 사진은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도심 아파트 모습 ⓒ연합뉴스 10·15 부동산 대책의 영향으로 그간 상승세를 이어온 서울 등 규제 지역의 아파트 매수 심리가 2개월여 만에 꺾였다. 2일 한국부동산원의 주간 아파트 수급동향에 따르면, 10월 넷째 주(10월27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직전 주(105.4) 대비 2.2포인트 내린 103.2로 집계됐다. 지난 8월18일(99.1) 이후 처음으로 하락 전환했다. 매매수급지수는 수요와 공급의 비중을 점수화한 수치다. 100을 기준으로 0에 가까울수록 시장에서 집을 팔려는 공급이 더 많은 것이고, 반대로 200에 가까...
기사 본문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을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은 10·15 부동산 대책이 시행되자, 그간 상승세를 이어온 해당 지역 아파트 매수 심리가 2개월여 만에 꺾인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보다 대출 의존도가 높은 강북권의 위축 폭이 더 컸다. 2일 한국부동산원의 주간 아파트 수급동향에 따르면 10월 넷째 주(10월27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직전 주(105.4) 대비 2.2포인트 내린 103.2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8월18일(99.1) 이후 처음 하락 전환한 것이다. 매매수급지수는 100을 기준으로 수요와 공급의 균형을 수치화한 지표로, 100을 넘으면 매수세 우위, 100 미만이면 매도세 우위를 의미한다. 6월까지 가파르게 오르던 서울 매매수급지수는 고강도 대출규제를 담은 6·27 대책 시행 이후 꺾여 한때 100 아래로 떨어졌다가 9월과 10월 두 달에 걸쳐 반등했다. 그러다 10·15 대책의 규제지역 확대 시행(16일)에 이...
기사 본문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을 3중 규제지역으로 묶은 10·15 부동산 대책이 시행되자 그간 상승세를 이어온 해당 지역 아파트 매수심리가 두달여 만에 꺾였습니다. 한국부동산원의 주간 아파트 수급동향에 따르면 10월 넷째주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직전주 대비 2.2포인트 내린 103.2로 9주만에 처음 하락 전환했습니다. 강북권역 매매수급지수는 3.2포인트 하락했지만 강남권역은 1.3포인트 낮아져 매수심리 위축 정도는 강북권이 강남권보다 컸습니다. 매매수급지수는 수요와 공급 비중을 점수화한 수치로 0에 가까울수록 시장에서 집을 팔려는 공급이 우위를 보이고 200에 가까울수록 집을 매수하려는 수요가 우위임을 뜻합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