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슨 황의 '치맥 한입'에 주문 폭주…깐부치킨 1호점 임시휴업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젠슨 황·이재용·정의선 '치맥회동' [연합뉴스 제공] 엔비디아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와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의 ‘깐부회동’ 여파로 깐부치킨 매장 중 주문 폭주를 견디지 못하고 임시 휴업에 들어간 곳이 생겼습니다. 오늘(2일) 식품업계에 따르면 경기 용인시 수지구에 위치한 1호점 ‘깐부치킨 성복점’은 어제(1일)와 오늘(2일) 이틀간 임시 휴업에 들어갔습니다. 성복점은 “예상보다 많은 주문으로 원활한 서비스 제공이 어렵다”며 “1∼2일 잠시 휴업하게 됐다”고 매장에 공지했습니다. 이어 “이용에 불편을 드려 죄송하다”며 “보다 나은 품질과 서비스로 찾아뵙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지난달 30일 서울 강남 깐부치킨 삼성점에서는 황 CEO와 이 회장, 정 회장이 함께 치맥 회동을 가지며 화제를 모았습니다. 황 CEO는 “친구들과 치맥 즐기는 걸 좋아한다”며 “깐부는 완벽한 장소”라고 말했고, 시민들에게 “여기 맛있다, 다들 여기서 드시라”고 추천하기도 했습니...
기사 본문
젠슨 황 엔비디아 CEO(최고경영자)와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의 '깐부치킨 회동'이 연일 화제가 되면서 깐부치킨 1호점이 주문을 감당할 수 없어 휴업하는 데 이르렀다. /사진=양성희 기자 15년 만에 방한한 젠슨 황 엔비디아 CEO(최고경영자)가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과 지난달 30일 오후 서울 강남구 깐부치킨 삼성점에서 치맥(치킨+맥주) 회동을 했다./사진=뉴스1 젠슨 황 엔비디아 CEO(최고경영자)와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의 '깐부치킨 회동'이 연일 화제가 되면서 깐부치킨이 최대 수혜를 누리고 있다. 깐부치킨 1호점은 주문을 감당할 수 없어 임시 휴업하는 데 이르렀다. 1일 깐부치킨에 따르면 1호점이자 본점인 경기 용인시 수지구 '깐부치킨 성복점'은 1일 토요일과 2일 일요일 주말 이틀간 임시 휴업하기로 했다. 성복점은 매장 앞에 안내문을 붙여 "예상보다 많은 주문으로 인해 원활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1...
기사 본문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왼쪽부터)과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30일 저녁 서울 강남구 삼성동 깐부치킨 삼성점에서 '치맥' 회동을 마친 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사진/뉴스1)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와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의 치맥(치킨+맥주) 회동 장소로 화제가 된 '깐부치킨'의 본점이 밀려드는 주문을 감당하지 못해 1~2일 임시 휴업했습니다. 오늘(2일) 오전 본점이자 1호점인 경기 용인시 수지구의 성복점은 매장 앞 공고를 통해 "예상보다 많은 주문으로 인해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2025년 11월1일부터 11월2일까지 잠시 휴업하게 됐다"며 "이용에 불편을 드려 죄송하다. 보다 좋은 품질과 서비스로 찾아뵙겠다"고 전했습니다. 용인 수지구 일대와 화성 동탄 지역 등의 일부 매장도 주문을 감당하기 어려워 전날 배달 앱(애플리케이션)을 일시 닫아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황 CEO와 이 회장, 정 회장은...
기사 본문
“치맥 한 잔에 300억짜리 광고”…엔비디아 젠슨 황의 ‘깐부 회동’, K-브랜드가 웃었다 치킨·소맥·홍삼까지 세계 CEO들의 한 끼가 만든 ‘K-소비문화의 글로벌 마케팅 교과서’ 엔비디아 창업자이자 CEO인 젠슨 황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과 함께 한 ‘치맥 회동’이 산업계를 넘어 유통업계를 뒤흔들고 있다. 단 70분간의 만남이었지만, 등장한 모든 브랜드 깐부치킨, 하이트진로, 정관장이 동시에 ‘광고 효과’를 누리며 ‘K-브랜드 교과서’로 평가받고 있다. ‘깐부 회동’은 한국의 음식, 음주, 건강, 정서, 비즈니스 문화가 융합된 ‘K-라이프스타일 마케팅의 결정판’으로 기록될 것이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1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30일 오후 7시 30분, 서울 강남의 ‘깐부치킨 삼성동점’. 세계 반도체·AI·자동차 산업의 리더 세 사람이 치킨집에서 마주앉았다. 이 회동은 장소 이름을 따 ‘깐부 회동’으로 불리며 SNS를 통해 급속히 확산됐다. 특히 ‘깐부’라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