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감, '14억 인구' 중국시장 간다…17년만에 검역협상 타결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한중, 한국산 감 생과실 중국수출 검역 양해각서 체결 (경주=연합뉴스) 김도훈 기자 =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과 다이빙 주한중국대사가 1일 경북 국립경주박물관에서 이재명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참석한 가운데 '한국산 감 생과실의 중국 수출 식물 검역 요건'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있다. 2025.11.1 superdoo82@yna.co.kr (서울=연합뉴스) 김윤구 기자 = 농림축산식품부는 한국산 감을 수출하기 위한 중국과의 검역 협상이 타결됐다고 2일 밝혔다. 이재명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전날 첫 정상회담에서 이런 내용이 담긴 양해각서(MMOU)를 맺었다. 이는 지난 2008년 중국에 한국산 감 수출을 요청한 지 17년 만에 이룬 성과다. 농식품부는 14억명의 인구가 있는 중국 진출의 교두보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그간 농림축산검역본부는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중국이 우려하는 병해충에 대한 관리 방안을 마련해 협상을 이끌어왔다. 그 결과...
기사 본문
2008년 검역협상 개시 이후 한중 정상회담서 최종 타결 이재명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일 경북 국립경주박물관에서 '한국산 감 생과실의 중국 수출 식물 검역 요건'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산 '감'이 14억 인구의 중국 시장으로 향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한국산 감 수출을 위한 중국과의 검역 협상이 한중 정상회담에서 17년 만에 최종 타결됐다고 2일 밝혔다. 이재명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전날 첫 정상회담에서 한국산 감 수출과 관련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는 지난 2008년 우리 정부가 중국에 수출을 요청한 지 17년 만에 이뤄진 성과다. 농식품부는 "세계 최대 소비 시장인 중국으로의 진출 교두보를 확보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평가했다. 그간 농림축산검역본부는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중국이 우려하는 병해충에 대한 관리 방안을 마련, 협상을 이끌어왔다. 양국은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검역 요건에 최종 합의, 한국산 감의 중국 수출이 가능...
기사 본문
양국, 양해각서 체결… 검역 요건 갖춰지면 수출 본격화될 듯 현지 시장 규모 고려할 때 국내 감산업의 획기적 발전 기대돼 우리나라 감이 중국 소비자의 입맛을 사로잡을 기회가 마련됐다. 14억 인구가 사는 곳이라는 점에서 한국의 노력 여하에 따라 국내 감산업이 획기적으로 발전할 수 있다는 예측이 나온다. 국산 감. 2일 농림축산식품부는 한국산 감 수출을 위한 중국과의 검역 협상이 지난 1일 한-중 정상회담에서 최종 타결됐다고 밝혔다. 이날 이재명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이는 2008년 우리나라가 중국에 한국산 감 수출을 요청한 지 17년 만이다. 그동안 중국은 병해충이 묻어 올 수 있다는 이유를 들어 한국산 감의 수입을 꺼렸다. 하지만 실제로는 최첨단 기술을 접목한 한국의 농업 기술로 키운 감이 중국 시장에 진출하면 자국 농가의 피해가 생길 수 있다는 우려가 더 컸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농림축산검역본부는 먼저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중국이 걱정하는 병...
기사 본문
한중 정상회담에서 중국 수출 최종 타결 농가 교육·제도 정비 등 후속조치 추진 농식품부 “국산 농산물 수출 확대 기대” [헤럴드경제=양영경 기자] 한국산 감의 중국 수출을 위해 2008년부터 진행됐던 검역협상이 최종 타결됐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1일 진행된 한·중 정상회담을 계기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과 다이빙 주한중국대사가 1일 경북 국립경주박물관에서 이재명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참석한 가운데 ‘한국산 감 생과실의 중국 수출 식물 검역 요건’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있다. [연합[ 이번 성과는 2008년 중국에 한국산 감 수출을 공식 요청한 지 17년 만에 이룬 것으로, 14억 인구를 보유한 거대 시장인 중국에 진출할 수 있는 교두보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농식품부는 설명했다. 농식품부는 “그동안 농림축산검역본부는 과학적 근거를 토대로 중국 측이 우려한 병해충 관리 방안을 제시하며 협상을 주도해 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