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 조이기’ 직격탄…주담대 증가세 3개월째 둔화

2025년 11월 02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20개
수집 시간: 2025-11-02 12:18:23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15개

디지털타임스 2025-11-02 09:32:22 oid: 029, aid: 0002990841
기사 본문

10월 증가 7000억…전월의 절반 수준 은행 총량관리에 보험사도 대출창구 닫아 [연합뉴스] 주택 거래가 위축되고 대출 규제가 겹치면서 지난달 은행권의 주택담보대출 증가세가 세 달째 둔화했다. 정부의 고강도 규제와 연말 대출 총량 관리에 더해 거래절벽이 심화되면서 지난달 주택구입 목적 대출 증가 폭이 7000억원에 그친 것이다. 보험사들까지 신규 접수를 줄이자 자금이 저축은행 등으로 이동하는 ‘풍선효과’도 나타나고 있다. 2일 금융권과 금융당국에 따르면 지난달(1∼30일 기준·17영업일) 은행권 주택구입 목적 일반 주담대는 약 7000억원 늘었다. 이는 전월 동기간(+1조2000억원)보다 40% 이상 감소한 수준으로, 말일 대출분이 반영되더라도 8월(+2조9000억원), 9월(+2조원)에 이어 둔화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정부의 고강도 대출 규제와 은행권의 연말 총량 관리가 맞물리면서 대출이 급격히 둔화한 영향이다. 수도권 주택 거래도 빠르게 식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수도권 ...

전체 기사 읽기

데일리안 2025-11-02 11:59:09 oid: 119, aid: 0003019794
기사 본문

전체 가계대출 잔액 766조3718억원 '영끌' 절정이던 6월 대비 3분의 1 수준 전세대출 마이너스 기록…2개월 연속↓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규제로 사실상 갭투자(전세를 낀 주택 매입)가 막히면서 관련 대출이 급감하고 있다. ⓒ연합뉴스 [데일리안 = 박상우 기자]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규제로 사실상 갭투자(전세를 낀 주택 매입)가 막히면서 관련 대출이 급감하고 있다. 전세자금대출을 포함한 전체 주택담보대출은 증가 속도가 1년 만에 최저 수준까지 떨어졌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전체 가계대출 잔액은 766조3718억원으로 이달 2조2769억원 불었다. 9월(+1조1964억원)의 약 2배 수준이지만, 앞서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주택구입)이 절정이던 6월(+6조7536억원)과 비교하면 3분의 1 수준이다. 지난 7월(+4조1386억원)·8월(+3조9251억원)보다도 적다 특히 주담대 증가 폭이 1조2683억원(608조9848억원→61...

전체 기사 읽기

헤럴드경제 2025-11-02 11:40:10 oid: 016, aid: 0002551221
기사 본문

은행권 주담대 증가폭 7000억대로 ‘뚝’ 대출 규제 강화와 주택 거래 위축 겹쳐 정부의 대출 규제 강화 등으로 10월 은행권에서 일반 주택담보대출 증가폭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연합] [헤럴드경제=조범자 기자] 정부의 대출 규제 강화와 주택 거래 위축이 겹치면서 지난달 은행권에서 주택구입 목적의 일반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증가 폭이 7000억원 수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금융권과 금융당국에 따르면 10월(1∼30일 기준·17영업일) 은행권 주택구입 목적 일반 주담대는 7000억원가량 증가했다. 전월 동기간(+1조2000억원)과 비교하면 40% 이상 감소한 것이다. 8월(+2.9조원)과 9월(+2조원)에 이은 뚜렷한 감소세가 이어졌다. 정부가 6·27 대책, 10·15 대책 등으로 고강도 ‘대출 조이기’에 나선 데다가 은행권도 연말을 맞아 가계대출 총량 관리에 돌입하면서 일반 주담대 증가세가 눈에 띄게 둔화했다. 주택 ...

전체 기사 읽기

한경비즈니스 2025-11-01 06:01:09 oid: 050, aid: 0000097895
기사 본문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강남아파트(오른쪽) 일대 모습. 사진=김범준 한국경제신문 기자 “사내대출은 추가로 받아도 괜찮을까요?” “혼인신고를 늦추면 청약이 유리하다던데.” “실거주하려는데 전세퇴거자금대출 받을 수 있을지 모르겠어요.” 요즘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이런 글들이 쏟아진다. 정부의 10·15 부동산 대책을 둘러싼 번복과 혼선이 이어지면서 실수요층까지 대출 규제의 영향을 받는 사례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대출 한도가 촘촘히 제한되자 주택 구매자들은 신생아특례와 신용대출 중 어떤 걸 먼저 받을지부터 사내대출 병행이나 금리 갈아타기 전략까지 꼼꼼히 계산하며 내집 마련 방안을 다시 짜고 있다. ◆대출규제서 빠진 ‘사내대출’ 불티 금융권 대출 문턱이 높아지면서 직장인들 사이에서 사내대출 활용 사례가 눈에 띄게 늘고 있다. 5년 전인 2020년 연간 대출액은 8522억원, 2021년에는 9164억원이었고 올해는 8월 기준으로 이미 9059억원이 집행됐다. 이 추세대로라면 역대 최대였던 20...

전체 기사 읽기

이데일리 2025-11-02 13:26:16 oid: 018, aid: 0006154108
기사 본문

삼성화재, 비대면 채널 주담대 신규 접수 전면 중단 10월 은행권 주담대 취급 7000억원 증가 그쳐 저축은행·상호금융 '풍선효과'도 [이데일리 이수빈 기자] 정부의 고강도 부동산 대책으로 은행권에 이어 보험사를 포함한 2금융권도 대출 문턱을 높이고 있다. 삼성화재가 가계대출 총량 관리를 위해 신규 주택담보대출 취급을 중단하는 등 연말 ‘대출 절벽’이 현실화될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서울 시내의 한 은행 입구에 대출 안내문이 붙어있다.(사진=연합뉴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삼성화재는 지난달 30일부터 비대면 채널을 통한 주담대 신규 접수를 전면 중단했다. 접수 재개 시점은 정해지지 않았다. 삼성화재는 앞서 대면 채널에서도 올해 12월 집행분에 대한 대출 신청을 이미 마감하고 내년 실행분에 대한 대출 신청만 받고 있다. 보험사 가운데 올해 주담대 신규 접수를 전면 중단한 것은 삼성화재가 처음이다. 삼성화재 관계자는 “대출 규제로 은행 문턱이 높아지자 일부 수요가 보험사로 몰리면서...

전체 기사 읽기

뉴스1 2025-11-02 13:23:37 oid: 421, aid: 0008579949
기사 본문

대출규제를 비롯해 서울 전역이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확대돼 '실거주 의무' 요건이 적용된 10·15 부동산 정책에 갭투자가 원천 차단되며 전세 매물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27일 서울 중랑구의 한 공인중개사 사무소에 매매 매물 시세표가 붙어있다. 2025.10.27/뉴스1 ⓒ News1 박정호 기자 (서울=뉴스1) 한유주 기자 = 주요 은행의 전세대출이 1년 반 만에 최대 폭으로 급감했다. 정부의 고강도 부동산·대출 규제로 '갭투자'가 막히자 '거래절벽'이 뚜렷해진 결과로 풀이된다. 주택담보대출 역시 1년 만에 증가 폭이 최저치를 기록했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기준 5대 은행(국민·신한·우리·하나·농협)의 전세자금대출은 전월 대비 5385억 원 감소했다. 지난 9월 한 달 만에 344억 원 감소한 이래 2개월 연속 감소세다. 감소 폭도 2024년 4월(6천257억 원) 이후 1년 반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주택담보대출도 증가세가 둔화하며 1년 만에 가장 낮은 ...

전체 기사 읽기

조선일보 2025-11-02 13:25:14 oid: 023, aid: 0003938402
기사 본문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낮추는 정부의 잇따른 부동산 대책으로 갭투자(전세를 낀 주택 매입)가 막히자, 전세 대출이 크게 감소하고 주택담보대출 역시 증가 1년 만에 최저 수준까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의 지난달 기준 전체 가계 대출 잔액은 766조3718억원으로 한 달 사이 약 2조2769억원 불었다. 이 같은 증가 폭은 9월(1조1964억원)보다는 2배 수준으로 많지만, 앞서 ‘영끌’ 투자가 절정이던 올해 6월(6조7536억원)의 증가 폭과 비교하면 3분의 1 수준에 그친다. 특히 주택담보대출 증가 폭은 서울 전역과 수도권 주요 지역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하고 15억원이 넘는 집의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2억∼4억원으로 줄인 영향으로 1조2683억원(608조9848억원→610조2531억원)에 그쳤다. 이는 지난 9월 증가 폭(1조3134억원)보다 낮고, 작년 10월(1조923억원) 이후 가장 적은 수치다. 주택담보대...

전체 기사 읽기

데일리안 2025-11-02 12:17:11 oid: 119, aid: 0003019810
기사 본문

10월 은행권 주택구입 목적 일반 주담대 7000억원 ↑ 수도권 아파트 매매 거래량 급감 …2개월 만에 '반토막' 은행, 연말까지 대출 문턱 높여…2금융권도 창구 닫아 지난 10월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증가 폭이 7000억원대에 머물렀다.ⓒ데일리안 AI 삽화 이미지 [데일리안 = 박상우 기자] 대출 규제 강화와 거래 절벽이 동시에 작용하면서 지난달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증가 폭이 7000억원대에 머물렀다. 연말을 앞두고 은행들이 대출 총량 관리를 강화하는 데다, 보험사들까지 대출 문턱을 높이면서 자금 조달 여건이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2일 금융권과 금융당국에 따르면 10월(1∼30일 기준·17영업일) 은행권 주택구입 목적 일반 주담대는 7000억원가량 증가했다. 이는 전월 동기간(+1조2000억원)과 비교하면 40% 이상 감소한 수치다. 말일 대출분이 반영되더라도 8월(+2조9000억원)과 9월(+2조원)에 이어 둔화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6·27 대책, 10·15 대책...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1-02 05:45:04 oid: 001, aid: 0015718624
기사 본문

10월 가계대출 2조2천769억↑…주담대 증가폭 1조2천683억, 1년만에 최소 시장금리 상승에 대출금리도 2개월새 0.3%p↑…"연말까지 대출 절벽" 규제 강화에 전월세난 가속 (서울=연합뉴스) 윤동진 기자 = 초강력 주택 수요 억제책으로 평가받는 10·15대책 후 전세 매물이 급감하고, 월세화가 가속하며 전월세값 동반 급등세가 심화되고 있는 26일 서울의 한 부동산에 관련 정보가 부착돼 있다. 2025.10.26 mon@yna.co.kr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한지훈 기자 =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규제로 사실상 갭투자(전세를 낀 주택 매입)가 막히자, 전세 물건이 귀해지면서 관련 대출도 급감하고 있다. 아울러 전세자금대출을 포함한 전체 주택담보대출 역시 증가 속도가 1년만에 최저 수준까지 떨어졌다. 여기에 시장금리 상승으로 은행권의 대출 금리까지 오르면서, 당분간 은행 대출 창구가 계속 더 좁아질 것으로 우려된다. 10월 가계대출 증가폭, 9월의 두배·6월의 3분의 1…신용대출...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1-02 05:45:00 oid: 001, aid: 0015718623
기사 본문

증가폭 전달 대비 40% 이상 감소…연말 총량 관리에 대출 조이기 지속 은행권 이어 보험사도 비상…삼성화재[000810] 비대면 주담대 중단 증가폭 전달 대비 40% 이상 감소…연말 총량 관리에 대출 조이기 지속 은행권 이어 보험사도 비상…삼성화재 비대면 주담대 중단 은행 창구 [연합뉴스 자료사진] 2025.10.15 nowwego@yna.co.kr (서울=연합뉴스) 임수정 기자 = 정부의 대출 규제 강화와 주택 거래 위축이 겹치면서 지난달 은행권에서 주택구입 목적의 일반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증가 폭이 7천억원 수준에 그쳤다. 은행권이 연말을 앞두고 대출 총량 관리를 강화하는 가운데 보험사들도 대출 문턱을 점차 높이는 분위기다. 2일 금융권과 금융당국에 따르면 10월(1∼30일 기준·17영업일) 은행권 주택구입 목적 일반 주담대는 7천억원가량 증가했다. 전월 동기간(+1조2천억원)과 비교하면 40% 이상 감소한 것이다. 말일 대출분이 반영되더라도 8월(+2.9조원)과 9월(+2조원...

전체 기사 읽기

헤럴드경제 2025-11-01 07:50:09 oid: 016, aid: 0002550987
기사 본문

지난달 5대 은행서 2.3조 늘어 9월 대비 증가폭 1조 이상 확대 가계대출 상승세, 신용대출이 주도 마이너스통장 중심 1조519억 늘어 주담대 1조2683억↑, 전월과 비슷 5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이 10월 들어 30일까지 2조2769억원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서울 여의도의 한 은행을 찾은 고객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헤럴드DB] [헤럴드경제=김은희 기자] 지난달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가계대출 잔액이 2조원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9월보다 두 배가량 큰 규모다. 6·27 대책 등의 효과로 가계대출 증가폭이 급감한 지 한 달 만에 다시금 증가폭이 확대됐다. 주택담보대출 실행이 줄이은 데다 자본시장 훈풍에 주식 투자 등을 위한 마이너스통장(신용한도대출) 등 신용대출이 많이 늘어난 영향이다. 1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의 10월 30일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766조3718억원으로 지난 9월 말(765조7559억원) 대비 2조2769억원 증가한...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TV 2025-11-02 19:44:09 oid: 422, aid: 0000797445
기사 본문

[앵커] 이재명 정부의 세번째 부동산 대책인 10·15 대책 이후 서울 아파트 매수심리가 하락했습니다. 주택담보대출 상승폭이 줄고, 전세대출도 감소한 반면 신용대출은 증가했는데요. 곽준영기자입니다. [기자] 뜨겁던 내 집 마련 열기가 10·15 부동산 대책 발표 후 크게 얼어붙었습니다. 10월 넷째 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직전 주 대비 2.2포인트 내린 103.2. 지난 8월 18일 99.1을 기록한 이후 9주 만에 처음 하락 전환했습니다. 지역별로는 강북권에서 매수심리가 더 움츠러들었습니다. 이는 대출 의존도가 높고 실수요 비중이 강남보다 상대적으로 더 컸던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됩니다. 반면 강남권역은 강남3구가 이미 규제지역과 토허구역으로 묶였던데다 대출규제 영향이 미미한 현금 보유자가 많기 때문이란 분석입니다. <우병탁/신한프리미어 패스파인더 전문위원> "풍선 효과를 예방해야 된다라고 하는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고 생각할 수도 있기는 하나 어쨌든 그 충격은 ...

전체 기사 읽기

파이낸셜뉴스 2025-11-02 18:12:15 oid: 014, aid: 0005428259
기사 본문

고강도 규제에 7천억 증가 그쳐 가계대출 잔액 3조5천억 늘어 중도금 몰리고 신용대출 는 탓 정부의 부동산 대출규제 강화에 따른 가계대출 관리 기조가 은행권의 주택담보대출 감소세로 이어졌다. 거래가 줄면서 지난달 은행권의 주택구입 목적의 일반 주택담보대출 증가 폭은 7000억원 수준에 그쳤다. 2일 금융권과 금융당국에 따르면 10월(30일 기준·17영업일) 은행권 주택구입 목적의 일반 주담대는 7000억원가량 증가했다. 전월 같은 기간 약 1조2000억원 증가한 것과 비교하면 40% 이상 줄어든 것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부동산 대출규제의 영향도 있지만 기존 가계부채 총량관리에 따라 각 은행이 부여된 주담대 한도를 거의 채운 분위기"라고 전했다. 은행권에서는 말일 대출분이 반영되더라도 지난 8월(+2조9000억원)과 9월(+2조원)에 이어 뚜렷한 감소세로 돌아선 것이라는 분석이다. 주택 거래 자체도 크게 위축된 상황이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수도권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6월 3만40...

전체 기사 읽기

디지털타임스 2025-11-02 09:37:51 oid: 029, aid: 0002990843
기사 본문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규제로 사실상 갭투자(전세를 낀 주택 매입)가 막히면서 관련 대출이 급감하고 있다. 전세자금대출을 포함한 전체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역시 증가 속도가 1년 만에 최저 수준까지 떨어졌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전체 가계대출 잔액은 766조3718억원으로 지난달 2조2769억원이 늘어났다. 9월(+1조1964억원)의 약 2배 수준이지만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주택구입)이 절정이었던 6월(+6조7536억원)과 비교하면 3분의 1 수준이다. 7월(+4조1386억원)·8월(+3조9251억원)보다도 증가 폭이 둔화했다. 지난달 주담대 증가 폭 역시 1조2683억원에 그쳤다. 앞서 급감한 9월(+1조3134억원)보다도 낮은 수준이다. 지난해 10월(+1조923억원) 이후 가장 적다. 서울 전역과 수도권 주요 지역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하고 15억원이 넘는 집의 주담대 한도를 2억~4억원으로 더 줄인 10·15 대책의 영...

전체 기사 읽기

뉴시스 2025-11-01 13:00:00 oid: 003, aid: 0013574522
기사 본문

5대 시중은행 10월 가계대출 2.3조 늘어, 마통 몰리며 반등 코스피 랠리에 투자 대기성 요구불예금은 29조 규모 빠져 [서울=뉴시스] 이영환 기자 = 코스피가 전 거래일(4086.89)보다 20.61포인트(0.50%) 오른 4107.50에 마감한 31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지수가 표시되어 있다.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890.86)보다 9.56포인트(1.07%) 상승한 900.42,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주간거래 종가(1426.5원)보다 2.1원 내린 1424.4원에 주간 거래를 마무리했다. 2025.10.31. 20hwan@newsis.com [서울=뉴시스] 이정필 기자 = 정부의 10·15 부동산 규제로 주택담보대출 한도가 급감하자 자금 조달이 막힌 수요자들이 신용대출로 몰리고 있다. 은행의 예치 자금은 코스피 랠리를 타고 투자 시장으로 급격히 이동하는 모습이다. 1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우리·하나·NH농협 등 5대 시중...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