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원, 불법 드론 잡는 '안티드론 솔루션' 공개

2025년 11월 02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11개
수집 시간: 2025-11-02 10:16:33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뉴시스 2025-11-02 09:00:00 oid: 003, aid: 0013575144
기사 본문

RF·AI·주파수 간섭 기술로 탐지부터 무력화 공항·항만·원전 등 주요 시설 불법 침입 대응 AI 영상 분석으로 조류·항공기와 자동 구분 야간·악천후 상황에서도 실시간 추적 가능 [서울=뉴시스] [서울=뉴시스]이인준 기자 = 에스원은 2일 불법 촬영·기밀 유출·시설 침입 등 드론에 의한 보안 위협이 사회 문제로 떠오르는 가운데, 안티(Anti) 드론 솔루션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에스원의 이 솔루션은 ▲'RF 스캐너·레이더'를 활용한 불법 침입 감지와 실시간 추적 ▲'드론 탐지 AI 영상 분석 기술'을 활용한 비행 패턴·형체 분석 ▲'주파수 간섭 기술'을 활용한 불법 드론 실시간 무력화 조치 등을 제공한다. RF 스캐너는 드론과 조종기 간 통신 신호를 포착할 수 있어, 드론의 위치·속도·방향을 추적해 관제사 개입 없이도 빠르고 정확한 초기 대응이 가능하다. 또 AI 알고리즘이 비행 패턴과 형체를 분석해 비행기나 조류를 실제 드론과 자동으로 구분한다. 고배율 광학 줌을 탑재한 EO(El...

전체 기사 읽기

헤럴드경제 2025-11-02 09:01:06 oid: 016, aid: 0002551181
기사 본문

에스원, 인력 기반 감시체계 한계 보완 불법침입 감지·실시간 추적…즉각 대응도 드론의 활용범위가 군사·산업분야를 넘어 일상 속으로 깊숙이 자리잡고 있다. 그에 발맞춰 사생활 침해, 산업기밀 유출, 테러 위협 등 위험성도 커지는 추세다. 상황이 이렇지만 불법 드론을 방지하기 위한 대응 체계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국가기관을 비롯한 일부 시설을 제외하면 단순 영상 녹화용 CCTV 화면을 관제사가 눈으로 확인해 대응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이같은 인력 기반 감시 체계로는 다수의 모니터 화면을 24시간 내내 실시간으로 감시하기 어렵다. 멀리 있는 비행기나 조류를 드론으로 오인식하는 경우도 잦다. 드론을 탐지하더라도 즉각 제압할 수 있는 수단도 없다. 이런 드론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AI 기반 안티드론 솔루션이 공공·민간 기관에서 주목받고 있다. 안티드론 솔루션은 드론 침입을 실시간으로 탐지하고 즉시 무력화하는 통합 보안체계다. 국토교통부는 2026년까지 주요 공항과 항만에, 국방부는 군...

전체 기사 읽기

아시아경제 2025-11-02 09:00:00 oid: 277, aid: 0005673127
기사 본문

RF 스캐너·레이더 활용해 자동 탐지, 즉각 대응 지원 AI 영상 분석 기술로 원거리 드론 정밀 식별 가능 주파수 간섭 기술로 현장 출동 없이 불법 드론 무력화 드론이 우리 생활 곳곳에서 사용되면서 인공지능(AI) 기반 '안티드론 솔루션'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드론이 일상에 편리함을 가져왔지만 동시에 보안 위협도 함께 불거져서다. 고층 아파트 집 내부를 불법 촬영하는 드론이 적발되는가 하면, 원자력발전소 주변에서 불법 드론 비행이 포착되기도 했다. 안티드론 솔루션은 이런 드론의 침입을 실시간으로 탐지하고 즉시 무력화하는 통합 보안체계다. 공공·민간 기관에서 주목받는 안티드론 솔루션 공급 기업으로는 에스원이 꼽힌다. 2일 에스원은 안티드론 수요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에스원 안티드론 솔루션은 'RF(무선주파수) 스캐너·레이더'를 활용한 불법 침입 감지와 실시간 추적, '드론 탐지 AI 영상 분석 기술'을 활용한 비행 패턴·형체 분석, '주파수 간섭 기술'을 활용한...

전체 기사 읽기

이데일리 2025-11-02 09:01:23 oid: 018, aid: 0006153932
기사 본문

공항·항만·원전 등 주요 시설, 드론 침입 위협 커져 안티드론 시장 '21년 1.9조→'30년 17.5조 성장 국토부ㆍ국방부 등도 안티드론 시스템 구축 박차 에스원, RF 스캐너·AI 영상분석·주파수 간섭 결합한 ‘안티드론 솔루션’ 제시 [이데일리 김영환 기자] 지난 2020년 국내 한 공항에서 비행금지구역에 드론 2대가 침입해 항공기 5대가 회항했다. 2024년 6월에는 부산항 인근에서 외국인 유학생이 드론을 이용해 군함을 무단 촬영하다 적발되기도 했다. 원자력발전소 주변에서는 최근 5년간 26건의 불법 비행이 포착됐다. 국가 핵심시설에 대한 기술 유출나 테러 위협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제기되는 상황이다. 드론이 일상생활 속으로 빠르게 확산하면서 드론 보안 위협도 증가하고 있지만 대응 체계는 여전히 미흡하다는 지적이다. 일부 시설은 단순 폐쇄회로(CC)TV 관제에 의존하고 있어 불법 드론 탐지나 실시간 대응이 어렵다. 이에 따라 최근 공공·민간을 막론하고 인공지능(AI) 기반 ‘안티...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