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 엔비디아와 4조 투자 AI 팩토리 구축 추진

2025년 11월 02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29개
수집 시간: 2025-11-02 10:15:21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전자신문 2025-10-31 22:11:10 oid: 030, aid: 0003365589
기사 본문

서울 양재동 현대차그룹 본사. 현대차그룹이 소프트웨어 중심 차량(SDV) 개발뿐 아니라 첨단 제조와 로보틱스 혁신을 위해 30억 달러(약 4조3000억원)를 투자해 엔비디아와 인공지능(AI) 팩토리 구축을 추진한다. 현대차그룹은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엔비디아 AI칩 엔비디아 블랙웰 기반 AI 팩토리 도입을 위한 협력을 강화한다고 31일 밝혔다. AI 팩토리는 첨단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사람 개입 없이 완전 자동화로 운영되는 공장이다. 스마트 팩토리보다 진화된 공장을 의미한다. 현대차는 엔비디아와 협력으로 자율주행차, 로보틱스 개발, 스마트 팩토리 고도화에 박차를 가한다. 현대차는 엔비디아와 소프트웨어 플랫폼과 인프라를 도입하겠고 밝힌 바 있다. 엔비디아와 피지컬 AI 기술 개발·양산이라는 새로운 협력 단계로 나아갈 예정이다. 피지컬 AI를 활용해 자율주행과 로보틱스를 개발하고 신개념 AI팩토리를 전 세계 확산할 수 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

전체 기사 읽기

서울경제 2025-11-01 09:01:19 oid: 011, aid: 0004550581
기사 본문

◆ 젠슨 황, 李 예방서 깜짝선물 공개 정부·삼성·SK·현대차 각 5만장 네이버클라우드에도 6만장 도입 14조 규모···단일 국가론 이례적 인프라 넘어 운용기술 협력도 병행 이재명 대통령이 31일 APEC 정상회의장인 경주화백컨벤션센터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를 접견하고 있다. 연합뉴 [서울경제] 정부와 기업이 세계 최대 인공지능(AI) 칩 기업인 엔비디아와 협력해 한국을 아시아태평양의 ‘AI 수도’로 육성한다. 엔비디아는 그래픽처리장치(GPU) 26만 장을 정부와 기업들에 공급해 AI 인프라 구축을 돕고 AI 기술 공동 연구와 인재 양성 등에서도 협력하기로 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31일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를 경북 경주의 화백컨벤션센터에서 만나 “용산 전자상가를 가는 마음으로 대한민국 전역을 다녀 (투자해)달라”고 했다. 황CEO가 엔비디아 창업 초기인 1990년대에 용산 전자상가에 직접 방문해 마케팅을 했던 것처럼 대한민국 곳곳의 투자를 요청한 셈이다. 황...

전체 기사 읽기

중앙SUNDAY 2025-11-01 01:47:11 oid: 353, aid: 0000053526
기사 본문

━ 엔비디아·한국기업 기술 협력 이재명 대통령이 31일 오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장인 경상북도 경주 화백컨벤션센터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 등 국내외 기업 대표들과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젠슨 황 엔비디아 CEO, 이 대통령,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전민규 기자 31일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밝힌 한국 인공지능(AI) 인프라 구축 계획에서 다른 나라와의 차별점은 ‘반도체·자동차 AI 팩토리’다. 세계를 돌며 ‘소버린(주권) AI’를 외쳐 온 황 CEO는 각 나라의 AI 데이터센터와 AI 수퍼컴퓨터 구축, AI 스타트업 지원 등을 밝혀왔다. 그런데 삼성전자·현대자동차에 각 5만 장씩 최신 블랙웰 그래픽처리장치(GPU)를 공급한다는 계획은 이례적이다. 통신·인터넷·데이터센터 사업을 하지 않는 제조 기업이 GPU를 대량 확보하는 것이어서다. SK...

전체 기사 읽기

중앙SUNDAY 2025-11-01 01:54:18 oid: 353, aid: 0000053529
기사 본문

━ 엔비디아·한국기업 기술 협력 전 세계 인공지능(AI) 반도체 시장의 90%를 장악한 엔비디아가 한국 정부와 삼성·SK·현대차·네이버에 자사의 최신 AI칩 26만 장을 공급하기로 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31일 “지금이 한국에 특히 기회가 될 수 있는 시기”라며 “한국은 소프트웨어, 제조업, AI 역량이 있어 막대한 영향과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황 CEO는 이날 경주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APEC CEO 서밋 특별세션에서 “세계적으로 3가지 기본 핵심 기술을 가진 나라가 몇이나 되나”라며 이처럼 짚었다. 그러면서 그는 “소프트웨어와 제조 역량을 결합하면 로보틱스의 활용 기회가 많아지고 이게 피지컬AI의 차세대 모델”이라며 “전체 공장이 디지털화되고 있고 수퍼컴퓨터가 구축되고 있다. 기술 기업과 손잡고 로보틱한 공장을 만들려고 한다”고 소개했다. 그는 “공장 전체가 로봇으로 구동되고 로봇이 인간과 함께 구동하는 것, 로봇이 로봇을 조작하고 물건을 생산하...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