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英서 러브콜"...'7조' AI 데이터센터, 그럴만하네 [르포]
관련 기사 목록 12개
기사 본문
10월 29일 SK AI 데이터센터 완공은 2027년...1년여 남아 투자비 7조원, 대부분 AWS가 열 회수해 활용하는 SK 기술도 미국, 영국 기업과 사업 구상 돌입 지난달 29일 SK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울산 현장에서 작업자들이 일을 하고 있다. SK그룹 제공 SK그룹과 아마존 웹 서비스(AWS)가 함께 짓는 AI 데이터센터 조감도. SK그룹 제공 [파이낸셜뉴스 울산=권준호 기자] 지난달 29일 SK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울산 현장. 오전 10시가 조금 넘은 이른 시간, 작업장은 이미 사람들로 북적였다. 공사장 중앙에는 포크레인이 움직이며 땅을 평평하게 하고 있었고 한편에는 바닥재로 보이는 제품이 가득 쌓여 있었다. 2027년 완공까지 1년여 남아 구체적인 건물 뼈대를 볼 수 없는 점은 아쉬웠지만, SK가 아마존 웹 서비스(AWS)와 협업한다는 사실은 실감나게 다가왔다. 김재석 SK브로드밴드 AI DC 기술 본부장은 "올해 12월 타워크레인이 들어오면 빠르게 건물 ...
기사 본문
100㎿급, GPU 6만장 수용 규모의국내 최대 AI DC 축구장 11개 달하는 부지서 지상 5층 건물 탄생 예정 SK에코플랜트·SK텔레콤·SK브로드밴드·SK가스 등ICT분야·에너지 계열사 대거 참여…"AI 강국 여정 선도" 2027년 가동 예정인 'SK AI 데이터센터 울산' 조감도 ⓒSK그룹 [데일리안 울산 = 고수정 기자] 지난 10월 29일 찾은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 내 2만평(약 6만6000㎡) 규모의 부지. 축구장 11개 크기에 달하는 이곳에는 향후 국내 최대 규모의 'SK AI 데이터센터 울산'이 들어설 예정이다. 지난 8월 첫 삽을 떠 현재 공정률은 한 자릿수에 불과하지만, 수십명의 인부가 투입된 이 공사가 마무리 되면 지상 5층 규모, 100㎿급, 그래픽처리장치(GPU) 약 6만장을 수용할 수 있는 국내 최대 규모의 AI 데이터센터를 만날 수 있다. 이날 현장에서는 인부 54명과 굴삭기 5대, 덤프트럭 3대가 투입돼 건물 하중을 지탱하기 위한 기초 말뚝(파일) 시공을 ...
기사 본문
[르포] 7조원 투입한 100MW 규모 AI 인프라… 냉각·전력 시스템 고도화 SK AI 데이터센터 울산 예상 조감도. /사진=SK그룹 한국이 3대 AI 강국 도약에 속도를 높이면서 SK그룹의 'AI 데이터센터 울산'이 주목받는다. SK는 국내 최초로 100MW 규모의 하이퍼스케일급 AI 데이터센터를 구축하고 아시아·태평양 AI 거점 육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주요 계열사의 역량을 총결집해 규모와 효율을 모두 충족하는 AI 핵심 인프라로 성장시킬 계획이다. ━ 8월 첫 삽 뜬 'AI 데이터센터 울산'… 자체 기술로 냉각·전력 효율 극대화 ━ SK에코플랜트가 시공 중인 SK AI DC 울산 현장에서 기초공사가 진행 중인 모습. /사진=SK에코플랜트 지난 8월 SK텔레콤과 SK에코플랜트는 AWS(아마존 웹 서비스), 울산시와 함께 SK AI 데이터센터 울산 기공식을 개최했다. 지난 6월에는 최태원 SK 회장이 참석한 가운데 SK-AWS 울산 AI 데이터센터 건립 계약'을 체결했다. 사...
기사 본문
SK·아마존 합작 울산 데이터센터 공사현장 기초공사 한창, 2027년 완공 예정 “부지 1GW급으로 키울 것…이미 확보” 다른 글로벌 기업들과도 협의 진행 중 SK엔무브 ‘액침냉각’ 적용하는 최초의 데이터센터, 전력은 SK가스가 공급 SK 울산 AI 데이터센터 현장에서 기초공사가 진행 중이다. [SK제공] [헤럴드경제(울산)=박혜원 기자] “저희 그룹사가 울산에 보유하고 있는 부지가 많습니다. 지금은 100메가와트(㎽)로 시작하지만, 언제든지 확장이 가능합니다.” 지난달 29일 찾은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 아마존웹서비스(AWS)와 SK가 7조원을 투자해 짓고 있는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부지에서 만난 김진석 SK브로드밴드 기술본부장은 이같이 말했다. SK AI 데이터센터가 생산할 100㎽ 전력은 3만 가구가 24시간 사용할 수 있는 규모다. SK는 여기에서 나아가 데이터센터 부지를 1기가와트(GW)급으로 키운다는 계획이다. 아마존 이어 글로벌 기업들 러브콜 계속 이날 현장에선 굴착...
기사 본문
AWS와 '7조원' AI DC 조성…반도체·통신·에너지 역량 총집결 (울산=연합뉴스) 강태우 기자 = SK가 울산에서 대한민국 인공지능(AI) 생태계 확장을 위한 초석을 놓고 있다. 세계 최대 클라우드 업체 아마존웹서비스(AWS)와 함께 짓는 AI 데이터센터(AI DC)를 축으로, 그룹 계열사의 역량을 모아 반도체부터 건설, 연료·전력, 네트워크까지 잇는 'AI 밸류체인'을 가동한다. SK AI DC 울산 현장에서 기초공사 중인 모습 [SK그룹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SK는 지난달 29일 울산 미포산업단지 내 'SK AI DC 울산' 건설 현장에서 취재진에 사업 진행 상황과 전략 등을 설명했다. SK AI DC 울산은 SK와 AWS가 손잡고 약 7조원(약 49억달러) 규모로 조성하는 AI 전용 데이터센터다. 지난 8월 말 기공식을 열고 2027년 가동을 목표로 본격적인 건설에 들어갔다. 이날 현장에는 50여명의 작업자와 중장비 5대가 분주하게 움직이며 기초공사에 한창이었다. ...
기사 본문
SK에코플랜트가 시공 중인 SK AI DC 울산 현장에서 기초공사가 진행중인 모습. SK #SK그룹이 아마존웹서비스(AWS)와 함께 만드는 'SK AI 데이터센터 울산' 공사가 본궤도에 올랐다. 국내 최대 규모로 지어지는 시설로 역대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를 능가하는 최고의 수준의 성능과 효율이 예상된다. SK그룹은 SK텔레콤, SK에코플랜트, SK가스 등 주요 계열사 역량을 총동원하고 있다. ◇기초 공사 마무리, 12월부터 본격 속도…SK에코플랜트 시공 능력 집중 지난 달 29일 방문한 SK AI 데이터센터 울산 건축 현장은 5대의 굴착기와 근로자들이 쉴 새 없이 움직이며 막바지 터파기 공사에 분주했다. 이미 터파기 공사가 마무리된 공간에서는 기초 골조작업이 한창이었다. 현장 관계자는 “오는 12월에 타워크레인이 투입되면 공사가 본격적으로 속도가 날 것”이라고 했다. 2027년 준공을 목표로 하는 100㎿ 규모 하이퍼스케일급 SK AI 데이터센터 울산은 AI 컴퓨팅 특화 구조 ...
기사 본문
미포산단 한복판 SK AI DC 공사 '분주' "내달 타워크레인 설치…2027년 가동" AI 시대 KET, '에너지 거점' 부상 [울산=뉴시스]이지용 기자 = 거대한 굴착기들이 쉴 새 없이 움직이며 땅을 파고 있다. 이들 굴착기 바로 옆에는 아파트 2층 높이에 흙더미들을 잔뜩 쌓았다. 덤프트럭들이 이 흙을 한가득 실어 공사현장 밖으로 분주하게 실어 날랐다. 중장비들 사이에선 작업자들이 근무에 몰두하고 있었다. 건물 뼈대가 되는 굵은 강철 기둥들을 세심하게 연결했다. 축구장 11개 크기…SK AI DC 건설 '한창' 지난달 29일 오전 방문한 울산 미포국가산업단지에서는 SK그룹과 글로벌 클라우드그룹 아마존웹서비스(AWS)가 합작해 짓는 'SK AI 데이터센터(AI DC) 울산' 건설 작업이 쉴 새 없이 이뤄졌다. 흰 연기가 피어오르는 미포산단 공장들 사이를 지나자마자 축구장 11개 크기에 해당하는 2만 평 부지가 나타났다. 아직 허허벌판이지만, 중장비 작동 소음, 작업자들 논의 목소리...
기사 본문
SK·AWS 합작 AI 데이터센터 울산, 2027년 목표 터파기 한창 LNG 데우고 남은 '찬 바닷물', 데이터센터 냉매 재활용 검토 SK AI 데이터센터 울산 구축 현장에서 SK에코플랜트가 기초 공사를 하고 있다.(SK그룹 제공) (울산=뉴스1) 최동현 기자 "11월 터파기 공사를 마치면 12월부터 건물이 쭉쭉 올라갈 겁니다." 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 내 SK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구축 현장. 굴삭기 5대가 퍼 올린 흙을 덤프트럭 3대가 쉴 새 없이 실어 나르는 모습을 바라보던 김인호 SK에코플랜트 공사팀장이 한 말이다. 국내 최초이자 최대 규모로 조성되는 'AI 데이터센터 울산' 공사장은 찬 바람이 불기 시작한 10월 말에도 인부들의 구슬땀으로 후끈했다. <뉴스1>이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경주 정상회의에 맞춰 지난달 29일 찾은 SK AI 데이터센터(AIDC) 울산 현장은 이른 아침부터 부지를 평평하게 다지는 터파기와 지반에 튼튼한 기초 말뚝을 박아 넣는 파...
기사 본문
■SK 울산 AI 데이터센터 건설 현장 가보니 터파기 막바지···기초 골조 작업 들어가 5480평 부지에 10MW급 DC 들어서 향후 1GW로 확충···6만평 부지 확보 고효율 하이브리드 냉각 시스템 갖춰 전력원 삼원화···안정적 전력 공급 SK이노·SKMU·KET 등과 시너지 기대 지난달 29일 SK에코플랜트가 시공 중인 SK AI 데이터센터 울산 현장에서 기초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사진 제공=SK [서울경제] 지난달 29일 찾은 울산 미포산업단지 내 SK(034730)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부지. 안전모를 쓴 작업자들과 굴착기 여러 대가 건물이 들어설 지반을 다지는 터파기 작업에 한창이었다. 4560평에 달하는 부지의 몇몇 구역에서는 촘촘히 박힌 파일 옆으로 상부 구조물을 지탱하기 위한 기초 콘크리트 골조 작업도 이미 진행되고 있었다. 작업 현장을 한 눈에 담고 나니 부지에 들어설 국내 최대 울산 SK AI 데이터센터의 모습이 그려지는 듯 했다. 데이터센터 구축 공사를 이...
기사 본문
AWS, 경기 고양에 세번째 AIDC 실사, SK·오픈AI 서남권 집중 투자 엔비디아 26만장 도입에 컴퓨팅 파워 G3…AI 서부벨트 주목 'SK AI 데이터센터 울산' 기공식 세리머니 (울산=연합뉴스) 김용태 기자 = 29일 울산시 남구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건설 현장에서 열린 'SK AI 데이터센터 울산' 기공식에서 버튼 세리머니 후 폭죽이 터지고 있다. 2025.8.29 yongtae@yna.co.kr (서울=연합뉴스) 조성미 오지은 기자 =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엔비디아, 아마존웹서비스(AWS) 등 글로벌 인공지능(AI) 거물 기업들과 협력이 구체화하면서 국내에 AI 데이터센터가 대거 들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한동안 전력 관련 규제, 대지 수급 어려움 등을 이유로 대규모(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가 한국을 외면하고 싱가포르, 일본, 말레이시아 등을 선택하던 현상이 해소되면서 부족한 국내 AI 컴퓨팅 인프라가 충족되는 대전환의 계기가 될지 ...
기사 본문
지난달 29일 울산 미포국가산업단지 내 SK AI 데이터센터 시공 현장에서 SK에코플랜트가 기초공사를 하고 있는 모습이다. [SK에코플랜트] 지난달 29일, 울산 미포 국가산업단지 ‘SK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DC)’ 건설 현장. 축구장 11개 크기(6만6000㎡)의 부지에서 굴삭기 다섯 대가 끊임없이 흙을 퍼 올리고 50여명의 기술자들이 분주히 움직이고 있었다. 지반에 기초 말뚝을 박아 넣는 파일 공사를 마무리 짓고 건물의 기초를 구축하기 위해 흙을 파내는 터파기 작업이 한창이었다. 터파기 작업이 끝난 구역에선 기초 콘크리트 타설을 준비 중이었다. 현장 시공 관계자는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이 AI 데이터센터 구축에 뛰어들고 있는 만큼 무엇보다 신경 쓰고 있는 것이 속도”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골조 구조 공사에는 SK하이닉스 청주 공장을 지을 때 사용했던 ‘PSRC’ 공법을 적용하려고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PSRC(Pre-Fabricated Steel Reinforced...
기사 본문
울산 AI데이터센터 가보니 SK에코는 설계·시공 담당 SKT·SKB는 네트워크 구축 SK가스 에너지·엔무브 냉각 SK가 아마존웹서비스(AWS)와 협력해 울산에 건설 중인 AI 데이터센터 조감도. SK그룹 제공 지난달 29일 찾은 울산 미포산업단지에선 굴착기들이 쉴 새 없이 흙을 파내고 있었다. 다른 곳에선 근로자들이 지반에 말뚝을 박는 파일을 박고 있었다. 이런 지반 공사가 마무리되면 다음달부터 타워크레인이 투입돼 본격적으로 건물이 올라선다. 축구장 11개 크기인 약 6만6000㎡ 규모 부지에 들어설 SK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의 첫 출발의 모습이다. ‘AI는 속도 싸움’이라는 말은 공사 현장에도 적용되고 있었다. 한 층을 파는 데 최소 3개월이 걸리는 지하를 없애고 지상 5층으로만 짓기로 SK에코플랜트가 결단한 배경이다. 이동규 SK에코플랜트 현장소장은 “2027년이면 국내 최초, 최대 규모의 AI 데이터센터가 이곳에서 가동을 시작할 것”이라고 했다. SK그룹은 지난 8월 미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