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담대 금리 6개월 연속 ‘3%대’…전세대출 넉 달 만에 하락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한국은행, 9월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 주담대 3.96% 보합·전세대출 0.02%p↓ “일부 은행 가산금리 내리고, 우대금리 올려” [이데일리 이정윤 기자] 금융권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반년째 3%대를 유지하고 있다. 전세자금대출 금리도 넉 달 만에 하락했다. 정부의 부동산 대책 이후 대출 목표를 채우지 못한 은행들이 가산금리를 낮추고 우대금리를 확대하는데 따른 영향이다. 사진=뉴스1 주담대 ‘숨 고르기’…전세·신용대출 하락 한국은행이 31일 발표한 ‘9월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에 따르면 9월 신규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연 3.96%로 전달과 같은 수준을 보였다.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지난 4월(연 3.98%) 연 4%대에서 연 3%대로 내려왔고 5월(연 3.87%)까지도 소폭 떨어졌다. 그러나 6월(연 3.93%) 반등했고 7월(연 3.96%)에도 상승 흐름을 이어갔으나, 8월과 9월에는 비슷한 수준을 유지한 것이다. 세부적으로 고정형 주담대 금리(3.94%)와 변동형 금리(4.08%) ...
기사 본문
한은 '9월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 시장금리 오르며 예금금리도 상승…0.04%P 올라 주담대는 금리 유지, 신용대출·기업대출은 하락해 은행이 취급하는 예금금리가 1년 만에 올랐다. 지표금리인 은행채 등 시장금리가 상승한 영향이다. 반면 시장금리 상승에도 일부 은행이 지난 8·9월 중 내린 가산금리가 시차를 두고 반영되며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금리는 보합을 기록했다. 서울 시내의 한 시중은행 앞에 주택담보대출 안내 현수막이 걸려 있다. 연합뉴스 한국은행이 31일 발표한 '9월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에 따르면 지난달 예금은행의 저축성수신금리(신규취급액 기준)는 전월 대비 0.03%포인트 오른 2.52%로 집계됐다. 저축성수신금리가 오른 것은 지난해 9월(3.41%) 이후 1년 만이다. 세부적으로는 순수저축성예금 금리가 정기예금 등을 중심으로 0.04%포인트 상승해 연 2.52%로 집계됐다. 시장형금융상품 금리는 양도성예금증서(CD)와 금융채 등을 중심으로 0.02%포인트 올라 2.54%...
기사 본문
주담대 3.96% 제자리…신용대출 5.31%, 0.1%p 하락 9월 은행 평균 예금금리 2.52%, 0.03%p↑…1년만에 반등 (서울=연합뉴스) 서대연 기자. 2025.6.3 dwise@yna.co.kr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기자 = 시장금리 상승 영향으로 지난달 예금금리가 1년 만에 처음으로 전월보다 올랐다.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한국은행이 31일 발표한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 통계에 따르면 예금은행의 9월 저축성 수신(예금) 금리(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2.52%로 8월(2.49%)보다 0.03%p 높았다. 지난해 10월 이후 1년 만의 반등이다. 정기예금 등 순수저축성예금 금리(2.52%)와 금융채·CD(양도성예금증서) 등 시장형 금융상품 금리(2.54%)가 각 0.04%p, 0.02%p 올랐다. 예금은행 가중평균 금리 추이 [한국은행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가계대출 금리(신규취급액 기준)는 연 4.17%로 전월과 같았다. 가계대출 가운데 ...
기사 본문
한은, ‘2025년 9월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 빌표 기업대출 0.04%p↓, 가계대출 전월수준 유지 순수저축성예금 0.04%p↑, 시장형금융상품 0.02%p 올라 신규취급액 기준 예대금리차 0.06%p 축소…잔액 기준 전월수준 지속 ◆…한국은행이 31일 발표한 '2025년 9월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에 의하면 9월중 예금은행의 신규취급액 기준 저축성수신금리는 연 2.52%로 전월대비 0.03%p 상승했다. 대출금리는 연 4.03%로 전월대비 0.03%p 하락했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제공 9월 예금은행의 저축성수신금리는 전월대비 0.03%포인트(p) 오르며 2024년 10월(3.37%) 이후 12개월 만에 상승 전환했다. 대출금리는 전월과 비교해 0.03%p 하락했다. 한국은행이 31일 발표한 '2025년 9월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에 의하면 9월중 예금은행의 신규취급액 기준 저축성수신금리는 연 2.52%로 전월대비 0.03%p 상승했다. 대출금리는 연 4.03%로 전월대비 0.0...
기사 본문
15일 서울 시내 시중은행에 붙어 있는 주택담보대출 상품 현수막. 2025.10.15. 연합뉴스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금리가 3개월 연속 3.96%를 기록하며 3%대에 머물렀다. 반면 예금금리는 1년 만에 상승 전환했다. 시장금리가 올랐지만 은행들이 가산금리를 낮추고 우대금리를 확대하면서 대출 금리의 추가 상승세는 제한된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은행이 31일 발표한 ‘2025년 9월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에 따르면 예금은행의 저축성 수신금리(신규취급 기준)는 연 2.52%로, 전월(2.49%)보다 0.03% 포인트 상승했다. 지난해 10월(3.37%) 이후 12개월 만의 반등이다. 정기예금 등 순수저축성 예금 금리는 2.52%로 0.04% 포인트, 금융채·CD(양도성예금증서) 등 시장형 금융상품 금리는 2.54%로 0.02% 포인트 각각 올랐다. 반면 가계대출 금리는 전월과 같은 연 4.17%를 기록했다. 주담대 금리는 연 3.96%로 7월 이후 3개월 연속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한...
기사 본문
자금 수요 증가 대비해 수신 금리 올려 관세협상 타결로 대출금리 더 오를 수도 주담대 평균 연 4%선 진입 가능성 커져 대출금리가 가계대출을 중심으로 상승하며 역주행을 보이고 있다.ⓒ연합뉴스 [데일리안 = 정지수 기자] 기준금리 인하기에도 시중은행들의 예금금리와 대출금리가 연말을 앞두고 나란히 오르는 기현상을 보이고 있다. 은행들이 연말 자금 수요 증가에 대비해 수신 자금 확보에 나서면서 예금금리가 소폭 반등했고, 대출금리는 이에 연동되는 동시에 정부의 가계대출 조이기로 상승 압력을 받고 있어서다. 31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국내 5대 은행의 1년 만기 정기예금상품의 평균 최고금리는 2.55~2.6%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 달 전보다 약 0.5%포인트(p) 오른 수치다. 이러한 예금금리 상승은 기준금리 인하 기대가 여전한 상황에서도 은행들이 선제적으로 유동성 관리에 나선 결과로 풀이된다. 연말 자금 수요가 늘어나기 전 수신 자금을 미리 ...
기사 본문
한은 ‘9월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 은행 예금금리 2.52%, 대출금리 4.03% 기업대출 금리 내리면서 예대금리차 축소 서울 여의도의 한 은행을 찾은 고객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헤럴드DB] [헤럴드경제=김은희 기자] 예금금리가 1년 만에 상승 전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하가 예상보다 늦어지면서 시장금리가 오른 영향으로 풀이된다. 가계대출 금리는 전월과 같았으나 기업·소상공인 위기대응을 위한 정책금융 확대로 기업대출 금리가 내리면서 예대금리차는 좁혀졌다. 31일 한국은행이 공개한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 통계에 따르면 9월 예금은행의 신규취급액 기준 저축성수신금리는 2.52%로 전월 대비 0.03%포인트 상승했다. 금리 인하기를 맞아 줄곧 내림세를 보였던 예금금리가 오른 것은 2024년 10월 이후 12개월 만이다. 순수저축성예금이 정기예금을 중심으로 0.04%포인트, 시장형금융상품이 CD(양도성예금증서)·금융채 등을 중심으로 0.02%포인트 각각 올랐다. 같...
기사 본문
한은, 2025년 9월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 주택담보대출 금리, 7월부터 3.96% 유지 지표금리 상승에도 銀가산금리 인하 영향 전세·신용대출은 각각 0.02%p·0.10%p↓ 뉴스1 [파이낸셜뉴스]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지난 9월까지 3개월 연속 3.96%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표금리가 상승했지만 은행들이 지난 8~9월에 가산금리를 인하한 결과다. 저축성수신금리의 경우 정기예금을 중심으로 1년 만에 상승 전환했다. 한국은행이 31일 발표한 '2025년 9월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 통계에 따르면 예금은행의 지난달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3.96%로 나타났다. 지난 7월부터 3개월 연속 같은 수준이다. 김민수 한은 금융통계팀장은 “주담대 금리는 은행채 5년물 등 지표금리가 상승했지만 지난 8~9월 중 일부 은행들이 가산금리를 인하하거나 우대금리를 확대한 영향으로 전월 수준을 유지했다”고 설명했다. 전세자금대출 금리는 연 3.76%로 전월보다 0.02%p 하락하며 4개월 만에 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