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00달러 붕괴!” 미중 정상회담에도 금값 추락… '12년 만의 최대 폭락' 공포 확산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금값. 미중 정상회담이 기대와 달리 무역 갈등을 완전히 봉합하지 못하면서, 올해 폭등세를 이어가던 국제 금값이 급속한 냉각기를 맞고 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10월 31일(현지시간) 오후 4시 22분 기준, 금 현물 가격은 전장보다 0.7% 하락한 온스당 3,997.79달러를 기록했다. 불과 몇 주 전까지만 해도 4,000달러 선을 지키던 금값이 결국 '심리적 마지노선'을 내준 셈이다. 올해 들어 무려 60% 가까이 폭등했던 금값은 지난달 20일 이후 하락세로 돌아서며 조정 국면에 접어들었다. 특히 지난달 22일 시카고상품거래소그룹(CME) 산하 코멕스(COMEX)에서 거래된 12월 인도분 금 선물은 하루 만에 5.7% 급락, 최근 12년 만의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급락세의 배경에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의 '매파적 발언'이 있다고 진단한다. 파월 의장은 최근 “12월 금리 인하는 기정사실이 아니다”라며 시장의 기대를 일축했다. 금리는 금값과 ...
기사 본문
국제 금값이 관망세를 보이고 있다. 미중 정상회담에도 양국 간 무역 갈등이 충분히 봉합되지 못했다는 평가 때문으로 풀이된다. 사진은 7일 서울 종로구 한 주얼리에 놓인 골드바. 2025.9.7 [사진=연합뉴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미 동부시간 31일 오후 4시 22분께 금 현물은 전장보다 0.7% 떨어진 온스당 3997.79달러에 거래됐다. 금값은 올해 들어서만 60% 가까이 상승했으나, 지난달 20일 이후 하락하며 조정 국면을 이어가고 있다. 최근 금값의 하방 압력은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의장의 기준금리 인하 신중론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파월 의장은 전날 12월 금리 인하설에 대해 "기정사실이 아니다"는 입장을 취했다. 안전자산인 금은 기준금리가 내려갈 경우 상대적으로 달러보다 투자 매력이 커져 가격이 상승할 수 있다. 그러나 연준이 시장의 추가 금리 인하 기대감에 찬물을 끼얹으면서 금값의 하방 압력이 커지게 된 것. 반면 미중 정상회담에도 완전히 가시지...
기사 본문
시진핑 '다자주의 옹호' 발언에 상승 압박 美기준금리 인하 기대감 줄며 소폭 하락 금값(CG) [연합뉴스TV 제공] (서울=연합뉴스) 민경락 기자 = 미중 정상회담에도 양국 간 무역 갈등이 충분히 봉합되지 못했다는 평가가 나오면서 국제 금값도 관망세를 보이고 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미 동부시간 31일 오후 4시 22분께 금 현물은 전장보다 0.7% 내린 온스당 3천997.79달러에 거래됐다. 올해 들어서만 60% 가까이 상승한 금값은 지난달 20일 이후 하락하며 조정 국면이 계속되고 있다. 다만 최근 미중 무역협상 낙관론에 기댄 하방 압력은 크게 줄어든 분위기다. 지난 달 22일 시카고파생상품거래소그룹(CME) 산하 금속선물거래소 코멕스(COMEX)에서 12월 인도분 금 선물은 전장보다 5.7% 하락하며 최근 12년 간 최대 낙폭을 기록한 바 있다. 최근 금값의 하방 압력은 상당 부분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의장의 기준금리 인하 신중론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기사 본문
미중 정상회담에도 양국 간 무역 갈등이 충분히 봉합되지 못했다는 평가가 나오면서 국제 금값도 관망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미 동부시간 31일 오후 4시 22분쯤 금 현물은 전장보다 0.7% 내린 온스당 3천997.79달러에 거래됐습니다. 올해 들어서만 60% 가까이 상승한 금값은 지난달 20일 이후 하락하며 조정 국면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다만 최근 미중 무역협상 낙관론에 기댄 하방 압력은 크게 줄어든 분위기입니다. 지난달 22일 시카고파생상품거래소그룹(CME) 산하 금속선물거래소 코멕스(COMEX)에서 12월 인도분 금 선물은 전장보다 5.7% 하락하며 최근 12년간 최대 낙폭을 기록한 바 있습니다. 최근 금값의 하방 압력은 상당 부분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의장의 기준금리 인하 신중론에 기인한 것으로 보입니다. 파월 의장은 전날 12월 금리 인하설에 대해 "기정사실이 아니다"는 매파적 입장을 취했습니다. 금은 이자수익이 없는 안전자산이기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