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수출 595.7억달러, 역대 10월 최대…대미 16.2%↓, 2년 9개월만에 최저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경기도 평택항 부근에 수출용 차들이 세워져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수출이 긴 추석 연휴로 인한 조업일수 감소에도 반도체 호황으로 전년 동월보다 4%가량 증가했다. ‘슈퍼 사이클’을 맞은 최대 수출품 반도체 수출액은 역대 10월 중 최대치를 기록하면서 전체 수출의 26%이상을 차지했다. 반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정책 여파에 대(對)미국 수출은 16%이상 감소했다. 특히 2023년 1월이후 2년 9개월만에 가장 적은 수준으로 꺽였다. 우리의 1위 수출국인 대중국 수출도 5%가량 줄었다. 1일 산업통상부에 따르면 10월 수출액은 595억7000만달러(통관 잠정치)로 작년 동월 대비 3.6% 증가했다. 역대 10월 중 최대 수치다. 이로써 월간 수출은 지난 6월부터 5개월 연속으로 ‘수출 플러스’ 흐름을 이어갔다. 10월 주요 수출 품목 중에서는 반도체 수출이 작년보다 25.4% 증가한 157억3000만달러로 역대 10월 중 최대치를 경신했다. 전체 수출의 ...
기사 본문
산업부 10월 수출입동향 발표…10월 역대 최대 수출실적 달성 조업일수 2일 줄었지만…일평균 수출 14% 상승 29.8억弗 기록 반도체수출 역대 10월 중 최대치 기록…선박수출 세자리 증가 자동차, 관세에 5개월 만에 마이너스 전환…철강 감소세 지속 미 관세 부과 여파로 對美 수출 87.1억弗…3개월 연속 감소세 산업장관 "한미, 관세 협상 세부사항 합의…새로운 성장기회" [평택=뉴시스] 김종택 기자 = 30일 경기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 자동차 전용부두에 선적을 기다리는 수출용 차량이 세워져 있다. 2025.10.30. jtk@newsis.com [세종=뉴시스]김동현 손차민 기자 = 추석 연휴로 조업일이 줄었지만 일평균 수출이 29억8000만 달러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면서 지난달 수출은 역대 10월 중 가장 높은 실적을 거뒀다. 10월 누계 수출은 5793억5000만 달러로 전년대비 2.29% 증가했다. 수출 호조를 이끈 건 반도체다. 고대역폭메모리(HBM)와 더블데이터레이트(DD...
기사 본문
조업일수 감소했지만 반도체, 선박 호조로 전체 수출 증가 대미 수출 감소 최대 원인 '자동차 관세' 25%→15% 길 열려 한미 양국이 2차 정상회담을 계기로 관세협상을 타결하면서 한국산 수입차에 대한 미국 관세가 현행 25%에서 일본·유럽연합(EU)와 동등한 수준인 15%로 낮아지게 됐다. 미국이 수입차에 25% 관세를 부과한 4월 3일 이후 7개월 만이며, 한미 관세 협상 후속 협의에 나선 지 92일 만이다. 사진은 30일 경기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에 수출용 차량이 세워져 있는 모습. 2025.10.30/뉴스1 ⓒ News1 김영운 기자 (세종=뉴스1) 김승준 나혜윤 이정현 기자 = 올해 10월 수출이 긴 추석 연휴로 인한 조업일수 감소에도 반도체, 조선업 호조에 힘입어 역대 10월 중 최고 실적을 올렸다. 미국발 관세 영향에 대(對)미 수출은 16.2% 줄었는데, 지난달 29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를 계기로 열린 한미 정상회담에서 양국 관세 협상이 극적 타결됨에 따라...
기사 본문
산업부 10월 수출입동향 발표…10월 역대 최대 수출실적 달성 반도체수출 역대 10월 중 최대치 기록…선박수출 세자리 증가 미 관세 부과 여파로 대미 수출 87.1억弗…3개월 연속 감소세 [평택=뉴시스] 김종택 기자 = 30일 경기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 자동차 전용부두에 선적을 기다리는 수출용 차량이 세워져 있다. 한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양국간 관세협상이 타결됨에 따라 미국은 우리나라에 대한 상호관세를 15%로 유지하고 자동차 및 부품 관세도 현행 25%에서 15%로 인하하기로 했다. 2025.10.30. jtk@newsis.com [세종=뉴시스]김동현 손차민 기자 = 추석 연휴로 인한 조업일 축소에도 불구하고 일평균 수출은 29억8000만 달러로 역대 최대치를 경신하면서 지난달 수출이 역대 10월 중 최대실적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반도체의 경우 고대역폭메모리(HBM)와 더블데이터레이트(DDR)5 등 고부가 메모리 반도체 수요가 견조한 모습을 보여주며 8개월 연속 플러스와 역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