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값 온스당 4천 달러선 '멈칫'...미중 무역휴전에 관망세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미중 정상회담에도 양국 간 무역 갈등이 충분히 봉합되지 못했다는 평가가 나오면서 국제 금값도 관망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미 동부시간 31일 오후 4시 22분쯤 금 현물은 전장보다 0.7% 내린 온스당 3천997.79달러에 거래됐습니다. 올해 들어서만 60% 가까이 상승한 금값은 지난달 20일 이후 하락하며 조정 국면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다만 최근 미중 무역협상 낙관론에 기댄 하방 압력은 크게 줄어든 분위기입니다. 지난달 22일 시카고파생상품거래소그룹(CME) 산하 금속선물거래소 코멕스(COMEX)에서 12월 인도분 금 선물은 전장보다 5.7% 하락하며 최근 12년간 최대 낙폭을 기록한 바 있습니다. 최근 금값의 하방 압력은 상당 부분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의장의 기준금리 인하 신중론에 기인한 것으로 보입니다. 파월 의장은 전날 12월 금리 인하설에 대해 "기정사실이 아니다"는 매파적 입장을 취했습니다. 금은 이자수익이 없는 안전자산이기 때...
기사 본문
하방·상승 압력 공존하며 조정국면 지속 미중 정상회담, 중국 영향력 부각되며 불확실성 커졌단 우려도 금값 / 사진=연합뉴스 미중 정상회담에도 양국 간 무역 갈등이 충분히 봉합되지 못했다는 평가가 나오면서 국제 금값도 관망세를 보이고 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미 동부시간 31일 오후 4시 22분쯤 금 현물은 전날보다 0.7% 내린 온스당 3,977.79달러에 거래됐습니다. 올해 들어 60% 가까이 상승한 금값은 지난달 20일 이후 하락하며 조정 국면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다만 최근 미중 무역협상 낙관론이 대두되면서 하방 압력은 크게 줄어든 분위기입니다. 지난달 22일 시카고파생상품거래소그룹(CME) 산하 금속선물거래소 코멕스(COMEX)에서 12월 인도분 금 선물은 전장보다 5.7% 하락하며 최근 12년간 최대 낙폭을 기록한 바 있습니다. 최근 금값의 하방 압력은 상당 부분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의장의 기준 금리 인하 신중론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파월 ...
기사 본문
미중 정상회담에도 양국 간 무역 갈등이 충분히 봉합되지 못했다는 평가가 나오면서 국제 금값도 관망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미 동부시간 31일 오후 4시 22분쯤 금 현물은 전장보다 0.7% 내린 온스당 3천997.79달러에 거래됐습니다. 올해 들어서만 60% 가까이 상승한 금값은 지난달 20일 이후 하락하며 조정 국면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다만 최근 미중 무역협상 낙관론에 기댄 하방 압력은 크게 줄어든 분위기입니다. 지난달 22일 시카고파생상품거래소그룹(CME) 산하 금속선물거래소 코멕스(COMEX)에서 12월 인도분 금 선물은 전장보다 5.7% 하락하며 최근 12년간 최대 낙폭을 기록한 바 있습니다. 최근 금값의 하방 압력은 상당 부분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의장의 기준금리 인하 신중론에 기인한 것으로 보입니다. 파월 의장은 전날 12월 금리 인하설에 대해 "기정사실이 아니다"는 매파적 입장을 취했습니다. 금은 이자수익이 없는 안전자산이기 때...
기사 본문
시진핑 '다자주의 옹호' 발언에 상승 압박 美기준금리 인하 기대감 줄며 소폭 하락 금값(CG) [연합뉴스TV 제공] (서울=연합뉴스) 민경락 기자 = 미중 정상회담에도 양국 간 무역 갈등이 충분히 봉합되지 못했다는 평가가 나오면서 국제 금값도 관망세를 보이고 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미 동부시간 31일 오후 4시 22분께 금 현물은 전장보다 0.7% 내린 온스당 3천997.79달러에 거래됐다. 올해 들어서만 60% 가까이 상승한 금값은 지난달 20일 이후 하락하며 조정 국면이 계속되고 있다. 다만 최근 미중 무역협상 낙관론에 기댄 하방 압력은 크게 줄어든 분위기다. 지난 달 22일 시카고파생상품거래소그룹(CME) 산하 금속선물거래소 코멕스(COMEX)에서 12월 인도분 금 선물은 전장보다 5.7% 하락하며 최근 12년 간 최대 낙폭을 기록한 바 있다. 최근 금값의 하방 압력은 상당 부분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의장의 기준금리 인하 신중론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