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中 불안정한 무역 휴전에 뉴욕증시 하락…李대통령, APEC 개막 알린다 [모닝브리핑]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 뉴욕증시, 美·中 불안정한 무역 휴전…하락 마감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하락세로 마감했습니다. 현지시간 30일 다우지수는 전장보다 109.88포인트(0.23%) 밀린 47,522.12에 거래를 마감했습니다. S&P500지수는 전장보다 68.25포인트(0.99%) 떨어진 6,822.34, 나스닥지수는 377.33포인트(1.57%) 떨어진 23,581.14에 장을 마쳤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이날 부산에서 정상회담을 가졌습니다. 이번 회담에서 미국은 중국으로부터 희토류 수출 통제 조치의 1년 유예와 함께 향후 3년간 2500만t의 대두를 구매하겠다는 약속을 받아냈습니다. 중국은 대중(對中) 펜타닐 관세를 57%에서 47%로 10%포인트 낮추는 성과를 얻었습니다. 어느 정도 서로 양보하면서 양국의 무역 긴장은 누그러지는 그림이 연출됐으나 여전히 이번 합의는 불안정한 무역 휴전이라는 시각이 우세합니다. 빅테크 중 메타의 수익성 악화가 예상된 점도 ...
기사 본문
국토부 9월 주택통계…4개 공급지표 전월比 모두 증가 9월 월세 거래량 작년대비 39%↑…전세는 1.9% 줄어 '악성 미분양' 소폭 감소…84.4%가 지방소재 주택 9월 악성미분양 부산 2749가구·경남 3311가구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도심 아파트 모습. 연합뉴스 국토교통부 제공 대출규제 강화 등의 영향으로 '전세의 월세화'가 가속하는 가운데 올해 9월 전국 전월세 거래의 65%를 월세가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 공급지표는 인허가·착공·분양·준공 모두 전월 대비 모두 증가했고,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은 소폭 감소했다. 국토교통부가 31일 발표한 ‘2025년 9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신고일 기준 지난달 비(非)아파트를 포함한 전국 주택 매매거래량(신고일 기준, 전체 주택)은 6만 3365건으로 전월(4만 6252건) 대비 37.0% 증가했다. 수도권 매매거래량은 3만 1298건으로 전월(2만 1673건)과 비교해 44.4% 증가했고, 지방(비수도권)은 ...
기사 본문
28일 서울 송파구 한 부동산에 전·월세 안내문이 붙어있다. 뉴스1 지난 6·27 부동산 대책의 대출 규제 강화로 ‘전세의 월세화’ 현상이 가속화하고 있다. 전세 대출 문턱이 높아지면서 반전세 등 일부를 월세로 충당하는 임차인이 늘고 있다는 의미다. 10·15 대책으로 대출이 더 줄고, 갭 투자(전세 끼고 매매)가 차단되면서 임차인의 주거 부담이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국토교통부가 31일 발표한 9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비(非) 아파트를 포함해 전국 주택 전월세 거래량은 23만745건으로 전월 대비 7.9% 증가했다. 임차 유형을 보면 전세 거래량은 8만75건으로 전월보다 10.3%, 보증부 월세와 반전세 등을 포함한 월세 거래가 15만670건으로 6.7% 늘었다. 9월 전월세 거래에서 월세가 차지하는 비중은 65.3%로 나타났다. 작년 동월 대비로 보면 전세는 1.9% 줄어든 반면 월세는 38.8% 늘어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전세의 월세화’가 심화한 것으로 풀이된다. 1∼9월...
기사 본문
국토부, 9월 주택통계 발표…인허가·착공 등 공급지표 모두↑ 악성 미분양 2.7만호 '소폭' 감소…84.4%가 지방 소재 주택 올해 9월 전국 주택 거래 현황. 국토교통부 제공 지난달 주택 임대차 시장에서 전월세 거래의 65%를 월세가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허가·착공·분양·준공 등 주택 공급지표는 모두 전월 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은 소폭 감소했다. 국토교통부가 31일 발표한 9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신고일 기준 올해 9월 비(非)아파트를 포함한 전국 주택 매매거래량은 6만 3365건으로 전월 대비 37.0% 증가했다. 수도권은 3만 1298건으로 전월과 비교해 44.4%, 지방은 3만 2067건으로 30.5% 각각 늘었다. 서울(1만 995건) 거래량은 50.8% 늘었으며 강북(5797건)은 47.9%, 강남(5198건)은 54.1% 증가했고 강남 4구(서초·강남·송파·강동구)는 1909건으로 30.2% 늘었다. 전국 아파트 거래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