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관세 이대로면 현대차 연 8.4조원 부담… 도요타는 6.2조”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업계 최고 수준 전망… 15% 땐 5.3조 “내년 침체 우려 속 관세율 인하 시급” 미국이 한국에 부과한 자동차 수출 관세율이 25뉴로 유지되면 현대자동차그룹의 관세 비용이 연간 8조원을 넘겨 경쟁사들보다 더 많은 부담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내년에는 미국 자동차 시장이 전반적으로 부진할 것으로 보여 조속한 관세율 인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15일 나이스신용평가의 자동차 산업점검에 따르면 대미 자동차 수출 관세율이 현재와 같이 한국은 25뉴, 유럽연합(EU)과 일본은 15뉴로 적용되면 현대차그룹의 관세 비용은 연간 8조 4000억원으로 추산됐다. 이는 경쟁업체인 도요타(6조 2000억원), GM(7조원), 폭스바겐(4조 6000억원)을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나이스신용평가는 이에 따라 현대차그룹의 연간 영업이익률은 기존 9.7뉴에서 6.3뉴로 하락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영업이익률 하락 폭 역시 도요타(9.7→ 8.1뉴), GM(8.0→5.0뉴), 폭스바겐(6.0 →4...
기사 본문
관세율 25% 시 영업이익률은 6.3%…인하하면 7.5% 수출 대기 중인 자동차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홍규빈 기자 = 한국의 대미 자동차 수출 관세율이 25%로 유지될 경우 현대차그룹의 관세 비용이 연간 8조원을 넘길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내년에는 미국 자동차 시장이 전반적으로 부진할 수 있다는 가능성도 있어 조속한 관세율 인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15일 나이스신용평가의 자동차 산업점검에 따르면 대미 자동차 수출 관세율이 한국이 25%, 유럽연합(EU)과 일본은 15%로 적용될 경우 현대차그룹의 관세 비용은 8조4천억원으로 추산됐다. 이는 글로벌 완성차업체(OEM) 톱 4로 함께 꼽히는 도요타(6조2천억원), GM(7조원), 폭스바겐(4조6천억원)을 모두 웃도는 수준이다. 이에 따라 현대차그룹의 연간 영업이익률은 기존 9.7%에서 6.3%로 하락할 것이라고 보고서는 전망했다. 영업이익률 하락 폭 역시 도요타(1.6%포인트·9.7→8.1%), GM(3....
기사 본문
25% 대미 관세 여파로 이익 감소 불가피 APEC 회의 통상 협의 결과에 시선 집중 관세 인하 시 영업이익률 회복 가능성 환율 상승 단기 실적 방어 요인 작용 [서울=뉴시스] 고승민 기자 = 현대차가 지난해 매출액 162조6636억원, 영업이익 15조1269억원을 기록했다고 25일 밝혔다. 매출액은 전년 대비 14.4%, 영업이익은 54.0% 각각 증가했다. 사진은 이날 서울 양재동 현대자동차 빌딩 사기 모습. 2024.01.25. kkssmm99@newsis.com [서울=뉴시스]유희석 기자 = 현대차그룹의 올해 3분기 실적이 25% 대미(對美) 관세로 주춤할 전망이다. 다만 이달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통해 한·미 간 통상 합의가 이뤄지면 이익이 빠르게 회복될 가능성도 나온다. 15일 골드만삭스와 나이스신용평가에 따르면 현대차그룹의 3분기 실적은 매출 증가에도 불구, 영업이익 감소가 불가피할 수 있다. 현대차의 올 3분기 매출은 4조5300억...
기사 본문
한국의 대미 자동차 수출 관세율이 25%로 유지될 경우 현대차그룹의 관세 비용이 연간 8조원을 넘길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내년에는 미국 자동차 시장이 전반적으로 부진할 수 있다는 가능성도 있어 조속한 관세율 인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오늘(15일) 나이스신용평가의 자동차 산업점검에 따르면 대미 자동차 수출 관세율이 한국이 25%, 유럽연합(EU)과 일본은 15%로 적용될 경우 현대차그룹의 관세 비용은 8조4천억원으로 추산됐습니다. 이는 글로벌 완성차업체(OEM) 톱 4로 함께 꼽히는 도요타(6조2천억원), GM(7조원), 폭스바겐(4조6천억원)을 모두 웃도는 수준입니다. 이에 따라 현대차그룹의 연간 영업이익률은 기존 9.7%에서 6.3%로 하락할 것이라고 보고서는 전망했습니다. 영업이익률 하락 폭 역시 도요타(1.6%포인트·9.7→8.1%), GM(3.0%포인트·8.0→5.0%), 폭스바겐(1.2%포인트·6.0→4.8%)보다 큰 수준입니다. GM은 관세 비용과 영업...
기사 본문
나이스 신용 평가 산업 점검 한국 수출 비중 높아 비용도 커 관세 15%로 인하 땐 5.3조 원 "당장 버텨도 실적 부담 예상" 12일 경기 평택시 평택항에 수출용 자동차가 세워져 있다. 평택=연합뉴스 한국 자동차가 25%의 대미 관세를 무는 상황이 계속될 경우 현대차그룹의 관세 비용만 연간 8조 원을 넘길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완성차 업체 간 경쟁이 치열한 미국 시장에서 관세 부담을 가격에 반영하기도 어려운 만큼 높은 관세율이 유지될 경우 수익성 악화는 불가피할 전망이다. 15일 나이스신용평가의 산업점검 보고서에 따르면 대미 자동차 관세율이 25%로 유지될 경우 현대차그룹의 관세 비용은 8조4,000억 원으로 추산됐다. 현대차그룹과 글로벌 시장에서 '톱 4'로 꼽히는 일본 도요타(6조2,000억 원), 미국 제너럴모터스(GM·7조 원), 독일 폭스바겐(4조6,000억 원)을 모두 웃도는 수준이다. 현재 한국의 대미 자동차 관세는 25%다. 앞서 미국과 관세 협상을 타결한 일본,...
기사 본문
나이스 신용평가 점검 보고서 지난 12일 경기 평택시 평택항에 수출용 자동차가 세워져 있다. 연합뉴스 한국의 대미 자동차 수출 관세율이 25%로 유지될 경우 현대차그룹의 관세 비용이 연간 8조원을 웃돌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앞서 미국 정부와 합의한 관세율 15%를 가정한 부담보다 3조원가량 더 큰 금액이다. 생산 현지화에도 한계가 있는 만큼 글로벌 시장에서 수익성을 확보하려면, 관세율 인하 협상 타결에 속도를 내야 한다는 지적이 업계에서 나온다. 15일 나이스신용평가의 ‘자동차 산업점검’ 보고서를 보면, 대미 자동차 수출 관세율이 한국 25%, 유럽연합(EU)과 일본 15%가 적용되는 현 상황에서 현대차그룹이 관세로 인해 추가로 부담해야 할 비용은 8조4천억원으로 추산됐다. 글로벌 완성차업체(OEM) 톱 4사로 꼽히는 토요타 6조2천억원과 지엠(GM) 7조원, 폭스바겐 4조6천억원을 넘어서는 수준이다. 이는 지난해 미국 내 판매실적을 기준으로 현재 발효된 관세율 아래 각 회사가 ...
기사 본문
■ 나이스신용평가 산업점검 영업이익률 9.7%→ 6.3% 협상 늦어지면 경쟁력 상실 미국이 한국에 부과한 25% 자동차 고관세가 유지되면 현대자동차그룹의 연간 관세 비용이 주요 완성차업체 중 가장 많은 8조 원을 넘길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가뜩이나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인 미국의 경우 내년에는 시장 침체를 피할 수 없을 것으로 예상돼 국내 완성차 수출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관세율 조정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5일 나이스신용평가의 자동차 산업점검에 따르면 대미(對美) 자동차 수출 관세율이 현행대로 한국 25%, 일본·유럽연합(EU) 15%로 적용될 경우 현대차그룹의 관세 비용은 연간 8조4000억 원으로 추산됐다. 이는 글로벌 완성차업체 ‘톱4’로 꼽히는 일본 토요타(6조2000억 원), 미국 GM(7조 원), 독일 폭스바겐(4조6000억 원)을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이로 인해 현대차그룹의 연간 영업이익률은 기존 9.7%에서 6.3%로 3.4%포인트 하락할 것...
기사 본문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수출선적부두 옆 야적장에 완성차가 대기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한국의 대미 자동차 수출 관세율이 25%로 유지될 경우, 현대자동차그룹이 감당해야 할 연간 관세 부담이 8조4000억원에 이를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15일 나이스신용평가가 발표한 자동차 산업 점검 보고서는 한국산 자동차에 25%, 일본·EU는 15% 적용받을 경우의 관세 부담을 각각 추산했다. 그 결과 현대차그룹의 연간 관세 비용은 8조4000억원으로 토요타(6조2000억원), GM(7조원), 폭스바겐(4조6000억원)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호근 대덕대학교 자동차학과 교수는 “현지 생산 확대에 따른 인건비 상승과 일부 부품 단가 인상까지 반영하면, 현대차그룹이 부담해야 할 비용은 최대 10조원에 이를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보고서는 또 관세가 유지될 경우 현대차그룹의 연간 영업이익률은 9.7%에서 6.3%로 3.4%포인트(p) 하락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경쟁사인 토요타(1.6%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