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 "美 관세로 3분기 영업익 1.2조↓…하향 영향은 내년부터"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4분기에도 3분기와 비슷 영향…재고분 이미 25% 관세 납부" 넥스페리아 칩 공급 우려에 "단기적 영향 없어…상황 면밀 모니터링" 기아 양재동 사옥 [기아 제공. DB 및 재판매 금지] (서울=연합뉴스) 임성호 기자 = 기아는 미국이 한국 수출 자동차에 부과한 25%의 자동차 관세로 올해 3분기에만 1조2천억원을 넘는 비용이 발생했다고 봤다. 한미 무역협상 타결에 따라 관세율이 15%로 낮아지는 데 따른 영향은 내년부터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윤병열 기아 기업설명(IR) 팀장은 31일 올해 3분기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에서 "3분기에도 25% 관세가 적용되면서 1조2천340억원의 영업이익이 감소했다"고 밝혔다. 기아는 지난 4월부터 부과된 미국 자동차 관세로 지난 2분기 7천680억원의 영향을 받았는데, 3분기에는 재고가 소진되면서 영향이 약 57% 심화한 것이다. 윤 팀장은 "기아의 3분기 매출 원가율은 관세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4.3%포인트 상승한 81.1%로 나타났다"며...
기사 본문
3분기 매출액 28조6861억원, 분기 최대 기록에도 美 관세 여파 등에 영업익 1조4622억원, 49.2%↓ 서유럽 시장 EV 판매 산업성장 대비 부진 하기도 4분기부터 글로벌 친환경 판매 경쟁력 높아질 것 [이데일리 이윤화 기자] 기아(000270)가 올해 3분기 분기 기준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하고도 미국 고율 관세 여파에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반토막 수준을 기록했다. 미국 25% 관세 부과 영향이 본격화하면서 1조2000억원 이상의 손해를 보며 수익성이 하락한 탓이다. 기아는 올 4분기부터는 유럽 시장 성장 드라이브인 전기차(EV) 판매 경쟁력이 높아지고, 예상보다 견조한 미국 내 산업 수요를 바탕으로 성장하며 수익성 개선을 이뤄낼 것으로 예상했다. 기아 양재 본사 전경. (사진=기아) ◇영업익 전년비 50% 가량 감소…관세로 1.2조 증발 기아는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49.2% 감소한 1조4622억원을 기록했다고 31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
기사 본문
3Q 영업익 1조4622억…전년비 49% 급감 하이브리드 성장세 지속…체질 개선 속도 /그래픽=비즈워치 기아가 3분기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했지만 수익성 방어에는 실패했다. 미국발 25% 관세와 환율, 인센티브 확대가 원가율을 끌어올리며 영업이익이 절반으로 줄었다. 하이브리드와 전기차 중심의 성장세가 이어졌지만 관세 부담을 상쇄하긴 역부족이었다. 기아는 이를 계기로 내부 체질 개선에 속도를 내겠다는 입장이다. 매출 신기록에도 수익성 급락 기아는 31일 3분기 연결 기준 매출 28조6861억원, 영업이익 1조4622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 대비 8.2% 증가해 역대 3분기 기준 최대치를 기록했지만 영업이익은 49.2% 급감했다. 순이익도 1조4225억원으로 37.3% 줄었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가 집계한 시장 컨센서스(매출 27조9825억원·영업이익 2조872억원)와 비교하면 매출은 2.5% 상회했지만 이익은 30%가량 밑돌았다. 영업이익률은 5.1%로 3년 만에 5%대로 ...
기사 본문
영업익 1.4조원 그쳐… 美 25% 관세에 1.23조 감소 기아의 올해 3분기 매출이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으나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약 50%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사진은 기아 양재 사옥 전경. /사진=기아 기아가 글로벌 판매 호조에 힘입어 사상 최대 분기 매출을 기록했음에도 미국 관세로 부진한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미국 등 주요 시장의 무역 장벽 강화로 인한 대규모 관세 비용 실적에 반영되며 영업이익이 지난해 절반 수준으로 감소했다. 기아는 올해 3분기 연결실적 기준 매출액 28조6861억원, 영업이익 1조4622억원을 기록했다고 31일 공시했다. 매출은 전년보다 8.2% 늘었으나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49.2% 감소했다. 기아는 역대 3분기 기준 최대 판매 및 최대 매출액을 기록했음에도 미국 관세 영향 본격화 및 글로벌 인센티브 증가, 기말환율 급등에 따른 충당부채의 평가손 등으로 수익성이 악화했다. 매출원가율은 전년과 비교해 4.3%포인트 상승한 81.1%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