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밀양 등 4개 고속도로 예타 통과…영호남·수도권 교통망 강화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김해~밀양 신설, 서대전~회덕·무주~대구·서평택~평택 확장 포함 동서 간 이동시간 단축·물류 효율 개선…균형발전 기대 김해밀양고속도로 사업 위치도.(국토교통부 제공)뉴스1ⓒ news1 (서울=뉴스1) 김동규 기자 = 경남 김해와 밀양을 잇는 신설 고속도로를 비롯해 전국 4개 고속도로 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하거나 신규 대상 사업으로 선정됐다. 국토교통부는 31일 기획재정부 주관 재정사업평가위원회에서 김해~밀양 신설, 서대전~회덕 확장, 무주~대구 신설, 서평택~평택 확장 등 4개 고속도로 사업이 예타를 통과하거나 신규 예타 대상에 포함됐다고 밝혔다. 이번 결정으로 영호남 간 간선교통축 보완과 수도권·충청권 정체 해소, 국가 산업벨트의 물류 효율성 강화가 기대된다. 김해~밀양 고속도로 신설, 영남권 산업벨트 연결 강화 김해~밀양 고속도로는 경남 김해시 진례면에서 밀양시 상남면까지 약 19.8㎞ 구간에 왕복 4차로를 신설하는 사업이다. 현재 김해·밀양 지역은 국도 중심의 교통망으로 ...
기사 본문
무주~대구 고속道 신설·서평택~평택 고속道 확장사업 ‘예타대상 선정’ 국토교통부는 31일 열린 재정사업평가위원회에서 김해~밀양 고속도로 신설사업과 서대전~회덕 고속도로 확장사업이 예타를 통과하고 무주~대구 고속도로 신설사업과 서평택~평택 고속도로 확장사업이 예타대상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김해~밀양 고속도로는 경남 김해시 진례면~밀양시 상남면 구간(19.8km)에 왕복 4차로 고속도로를 신설하는 사업이다. 총사업비는 1조6천139억원이다. 김해~밀양 고속도로가 신설되면 네트워크 효율과 광역 접근성을 높여 경남 내륙 산업벨트의 경쟁력 제고가 기대된다. 특히 부산신항·가덕도신공항 등 국가 핵심 인프라와 연계성이 강화돼 항만·공항 연계 물류수송의 신속성과 신뢰성이 향상될 전망이다. 또 신설노선을 활용하면 김해(정밀·의료기기)·밀양(의료·바이오·재활) 간 산업구조가 고속도로 연결로 융합·집적돼 클러스터 시너지와 일자리 유발 효과가 기대되고 25·58·79호선 등 주변 국도 교통량 분담으로 혼...
기사 본문
김해 진례면~밀양 상남면 19.8km 구간 ‘왕복 4차로’ ‘디지털 마산자유무역지역’·‘울산 도시철도 2호선’ 등 9개 사업 예타 대상사업 선정…“빠른 시일내 예타 착수” 김해~밀양 고속도로 신설 사업 개요 및 위치도. 사업구간은 경남 김해시 진례면∼밀양시 상남면, 사업 규모는 왕복 4차로 신설, 총연장 19.8km, 총사업비는 1조 6139억원(예타결과 기준). 국토부 제공 김해~밀양 고속도로 신설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예타)를 통과했다. 디지털 마산무역자유지역 조성사업과 울산 도시철도 2호선 건설사업은 예타 대상사업에 선정됐다. 기획재정부는 31일 오후 임기근 제2차관 주재로 2025년 제10차 재정사업평가위원회를 열어 예타결과, 대상사업 선정 등을 심의·의결했다. 이날 회의에서 김해~밀양 고속도로 신설, 호남고속도로지선(서대전~회덕) 확장 등 2개 사업이 예타를 통과했다. 타당성을 확보한 사업은 향후 주무부처에서 사업 추진을 위한 절차를 신속히 진행할 예정이다. 우선, 김해~밀양...
기사 본문
김해~밀양 신설해 물류 효율 향상 기대 서대전~회덕 확장…충청권 교통정체 해소 무주~대구·서평택~평택 예타 대상 선정 [이데일리 이다원 기자] 국토교통부는 31일 기획재정부 주관으로 열린 재정사업평가위원회에서 김해~밀양 고속도로 신설사업과 서대전~회덕 고속도로 확장사업 등이 예비타당성조사(예타)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또한 무주~대구 고속도로 신설사업과 서평택~평택 고속도로 확장사업은 예타 대상사업으로 신규 선정됐다. 김해-밀양 고속도로 신설 사업개요 및 위치도. (사진=국토교통부) ‘김해~밀양 고속도로’는 경남 김해시 진례면에서 밀양시 상남면을 잇는 19.8㎞ 구간에 왕복 4차로를 신설하는 사업으로 총 사업비 1조 6139억원 규모다. 앞서 이 사업은 지난 2017년 제1차 고속도로 건설계획에 중점 추진사업으로 반영됐으나, 당시 동남권 신공항 및 부산항 진해신항 계획이 미반영되며 경제성이 부족하다는 판단으로 예타가 철회된 바 있다. 이후 제2차 국가도로망 종합계획과 2022년 제2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