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이블코인, 세상을 달러 중심으로 돌아가게 할 것”

2025년 11월 01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12개
수집 시간: 2025-11-01 06:25:43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조선일보 2025-10-30 18:26:17 oid: 023, aid: 0003937941
기사 본문

[WEEKLY BIZ] [Cover Story] 테더의 달러 스테이블코인 사용자 5억명...초인플레 국가들서 급성장 세계 최대 스테이블코인 발행사인 테더에서 2023년부터 최고경영자(CEO)를 맡고 있는 파올로 아르도이노. 그는 최근 WEEKLY BIZ와 가진 화상 인터뷰에서 “화폐 가치가 급락하는 개발도상국에선 달러 스테이블코인이 국민에게 실질적인 ‘생명줄’ 역할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게티이미지코리아 “처음엔 낯설었던 신용카드가 소문과 금융 교육을 거쳐 대중화됐듯, 차세대 금융 기술인 스테이블코인도 같은 변화를 이끌 겁니다. 2014년 테더가 세계 최초로 선보인 달러 스테이블코인 USDT는 이미 5억명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중국이 ‘탈(脫)달러화’를 시도해도, 이렇게 많은 이가 ‘디지털 달러’인 USDT를 쓰는 한 세계는 여전히 달러 중심으로 돌아갈 수밖에 없습니다.” 세계 최대 스테이블코인 발행사인 테더의 파올로 아르도이노 최고경영자(CEO)는 WEEKLY BIZ 화상 인터...

전체 기사 읽기

이데일리 2025-11-01 04:43:07 oid: 018, aid: 0006153397
기사 본문

테이블코인 규제법 이후 업계 인수 경쟁 본격화 거래 수수료 의존도 줄이고 결제·상거래 진출 가속 [뉴욕=이데일리 김상윤 특파원] 미국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 코인베이스 글로벌이 스테이블코인 사업 강화를 위해 약 20억달러(약 2조8000억원) 규모로 영국 핀테크 기업 BVNK 인수를 추진하고 있다고 31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코인베이스는 현재 실사 절차를 진행 중이며, 협상은 막바지 단계에 들어섰다. 인수가 확정될 경우 올해 말이나 내년 초 거래가 마무리될 전망이다. 다만 협상 조건은 변동될 수 있으며, 거래가 무산될 가능성도 있다. 코인베이스의 벤처 투자 부문인 코인베이스 벤처스는 이미 BVNK의 투자자로 참여하고 있다. 블룸버그는 이번 인수가 성사될 경우 미국이 7월 처음 제정한 스테이블코인 규제법 통과 이후 이어지고 있는 관련 업계 인수·제휴 움직임의 일환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스테이블코인은 달러 등 실물자산에 연동된 가상자산으로, 결제 수단으로서...

전체 기사 읽기

서울경제 2025-10-31 09:31:07 oid: 011, aid: 0004550186
기사 본문

■제1회 스테이블코인 포럼 당국, 신뢰성·이용자 보호 중점 원화코인 제도화후 성장 위해선 곧바로 거래소서 쓸수있게 하고 인센티브 앞세워 활용처 확보를 K팝 콘텐츠·신상품 투자 연계땐 수익 확대 등 대중화 빨라질수도 심원태 금융위원회 가상자산과 사무관이 30일 서울 강남구 해시드라운지에서 열린 '제1회 스테이블코인 포럼'에서 원화 스테이블코인 제도화 방안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오승현 기자 [서울경제] 당정이 법제화를 추진 중인 원화 스테이블코인은 담보가 발행액보다 많아야 하며 이용자의 상환권을 명시적으로 보장해야 한다는 금융 당국 관계자의 가이드라인이 나왔다. 원화 스테이블코인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초기부터 가상화폐거래소에서 쓸 수 있어야 하며 K팝 관련 상품과 어우러질 경우 사용이 크게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됐다. 서울경제신문과 가상화폐 리서치 업체 포필러스가 30일 서울 강남 해시드 라운지에서 개최한 ‘제1회 스테이블코인 포럼’에 참석한 심원태 금융위원회 사무관은 “(원화 ...

전체 기사 읽기

매일경제 2025-10-31 20:52:17 oid: 009, aid: 0005582805
기사 본문

[엠블록레터] 안녕하세요 엠블록레터의 AI 인턴입니다. 세계 최대 스테이블코인 발행사인 테더가 미국 국채 보유 규모를 1350억달러까지 확대하며 한국을 제치고 전 세계 17번째로 많은 미국 채권 보유자로 등극했습니다. 동시에 한국에서는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위한 논의가 금융당국과 업계를 중심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테더는 현재 브라질 바로 뒤, 한국보다 높은 수준의 미국 국채를 보유하고 있으며, 파올로 아르도이노 최고경영자는 이를 “테더의 금융적 위상 강화를 상징하는 역사적 전환점”이라고 평가했습니다. 테더는 올해 1분기 650억달러 규모의 국채를 매입한 데 이어, 2분기에는 직접 보유분 1055억달러, 간접 노출 213억 달러를 포함해 총 1270억달러 규모로 확대했습니다. 이러한 급격한 국채 매입 증가는 지난 7월 발효된 스테이블코인 규제법 지니어스(GENIUS) 시행의 영향으로 분석됩니다. 해당 법안은 스테이블코인 발행사가 예치금을 국채 등 저위험 자산으로 보관...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