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장벽 넘자”…포스코, 美 대형 철강사 지분인수 조단위 투자검토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이 30일 경북 경주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최고 경영자(CEO) 서밋(Summit) ‘세션 10 : 탄력적이고 친환경적인 글로벌 공급망 구축’에서 연설하고 있다. [연합뉴스] 포스코홀딩스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철강 고율 관세 부담을 극복하기 위해 미국 최대 철강사 중 한 곳인 클리블랜드 클리프스에 조단위 규모의 대형 투자를 단행해 ‘동업자 수준’ 지분을 확보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국내 경쟁 맞수인 현대제철과 ‘오월동주’식 협력을 통해 미국에 제철소를 새로 건설하기로 하는 장기 대응 전략을 마련한 데 이어 미국 메이저 철강사 지분 확보를 통해 곧장 현지 시장에 공급할 물량을 확보해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장벽에 정면 대응하겠다는 구상이다. 클리블랜드 클리프스는 30일(현지시간) 자사 홈페이지에 올린 성명을 통해 지난달 17일 17일(현지시간) 포스코와 전략적 파트너십 양해각서(MOU)를 맺...
기사 본문
[경주 APEC] MOU 체결해 美 50% 관세 벽 돌파 김용범 “관세 팩트시트 마무리 단계” 포스코 포항제철소로 들어가는 도로 2025.7.6/뉴스1 포스코그룹이 미국 2위 철강사 클리블랜드클리프스에 대규모 지분 투자를 추진하며 고율 관세 장벽 돌파에 나섰다. 클리블랜드클리프스는 31일(현지 시간) 지난달 17일 포스코와 전략적 파트너십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MOU에는 포스코홀딩스의 클리블랜드클리프스 지분 투자를 비롯해 양사 간 기술 협력, 공동 사업 개발 등의 내용이 담겼다. 업계는 포스코홀딩스가 내년까지 1조 원 이상을 투자해 클리블랜드클리프스 지분 10% 이상을 확보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번 투자는 관세 장벽에 대한 대응책으로 풀이된다. 6월 트럼프 행정부의 외국산 철강에 대한 50% 고율 관세 부과 이후 대미 철강 수출량은 급감하고 있다. 포스코는 현대제철과 함께 루이지애나 제철소 건설을 추진 중이지만 2029년에야 가동될 예정이다. 반면 클리블랜...
기사 본문
클리블랜드 클리프스와 '전략 파트너십 MOU'…일본제철-US스틸 모델 장인화, 현대제철 공동투자 이어 미 전략투자로 '뉴노멀'된 트럼프 관세 극복 시도 20% 지분 인수 땐 1조7천억원 투입 전망…지분 인수 땐 즉각 현지 물량 확보 가능 연설하는 장인화 포스코 회장 (경주=연합뉴스) 이동해 기자 =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이 30일 경북 경주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최고 경영자(CEO) 서밋(Summit) '세션 10 : 탄력적이고 친환경적인 글로벌 공급망 구축'에서 연설하고 있다. 2025.10.30 [공동취재] eastsea@yna.co.kr (끝) (서울·세종=연합뉴스) 황정우 차대운 기자 = 포스코홀딩스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철강 고율 관세 부담을 극복하기 위해 미국 최대 철강사 중 한 곳인 클리블랜드 클리프스에 조단위 규모의 대형 투자를 단행해 '동업자 수준' 지분을 확보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국내 경쟁...
기사 본문
클리블랜드클리프스와 MOU 포스코그룹이 미국 2위 철강사 클리블랜드클리프스와 손잡는다. 이 회사 지분 10% 이상을 인수하는 방식이다. 일본제철의 US스틸 인수에 대응하는 ‘K스틸 얼라이언스’ 전략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철강 고율 관세(최대 50%)를 ‘미국 내 생산·판매’로 정면 돌파하겠다는 장인화 회장의 승부수다. 클리블랜드클리프스는 포스코홀딩스와 전략적 파트너십(MOU)을 맺었다고 31일 발표했다. 업계에서는 포스코홀딩스가 내년까지 1조원 이상을 투자해 클리블랜드클리프스 지분을 10% 이상 인수할 것으로 예상했다. 최종 계약은 올해 4분기 체결하고 거래는 내년 마무리할 것으로 전망된다. 클리블랜드클리프스는 조강 생산량 기준 미국 2위(연 1727만t) 기업이다. 일본제철이 인수한 US스틸(3위·1575만t)을 앞선다. 미국 내 자동차용 강판 시장 점유율 1위(45%)다. 포스코는 미국에서 고객 기반을 확대하는 동시에 자사 제품이 미국의 무역·원산지 요건을 충족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