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장관 "CPTPP 수산 분야 영향 파악...HMM 청사진 발표할 것"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은 한국의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 CPTPP 가입이 현실화하면 수산 분야에 미칠 영향을 파악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전 장관은 국회 해수부 국정감사에서 지난 9월 경제관계장관에서 가입을 검토하기로 했다며 정부 입장이 정리되는 과정에서 내년에 영향 평가를 계획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우리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민감 품종 등은 파악했고 걱정을 충분히 반영해 준비를 잘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와 함께 국내 최대 해운사인 HMM의 부산 이전 계획에 대해서는 해수부가 부산으로 이전되기 전에 구체적인 계획을 발표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HMM을 포스코에 매각한다는 언론보도와 관련해선 포스코와 접촉은 전혀 없었다며 포스코 내부에서의 움직임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전 장관은 국정감사 인사말에서 국적 선사와 협의해 내년부터 북극항로 시범 운항을 시작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서해 구조물에 대한 실효적 대응과 중국의 불법 어업 대응, 국익 기반의 어업 협상을 ...
기사 본문
"CPTPP 가입 아직 검토 단계…내년에 영향평가 진행 계획" 해진공 사장 "곧 산은과 HMM 매각 논의…글로벌선사로 키우는 방향으로" 의원 질의에 답변하는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서울=연합뉴스) 황광모 기자 =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이 15일 서울 여의도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에서 열린 2025년도 해양수산부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5.10.15 hkmpooh@yna.co.kr (서울=연합뉴스) 전재훈 기자 =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이 15일 "한국의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가입이 현실화하면 수산 분야에 미칠 영향을 파악하겠다"고 밝혔다. 전 장관은 이날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해수부 국정감사에서 "정부가 2021년 CPTPP 가입 로드맵을 발표했을 때 국민의 거센 반발로 가입 의향서도 제출하지 못했다. 당시 정부의 설명자료에 따르면 CPTPP 가입 시 우리 수산물 개방은 99.4%로 전면 개방되는 수준"이라는 진보당 전종...
기사 본문
산하 공공기관 4~6개 부산 이전 계획 올해 안에 국회 보고 CPTPP 가입 시 수산 분야 영향 파악…개방 85∼86% 수준 [서울=뉴시스]조성봉 기자=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이 15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에서 열린 해수부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2025.10.15.suncho21@newsis.com [서울=뉴시스] 박성환 기자 = 해양수산부 국정감사에서 해수부 청사 부산 이전과 북극항로 개척, HMM 매각 등에 대한 질의가 이어졌다.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은 15일 "북극항로 시대에 대비해 해양수도권을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전 장관은 이날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농해수위)의 해수부 국정감사에 출석해 "행정·사법·산업·금융 기능을 집적화하고, 그 첫 단추인 해수부의 부산 이전을 연내 완료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국적선사와 협의해 내년부터 북극항로 시범 운항을 실시하고, 안전운항 기술도 차질없이 개발하겠다"며 "...
기사 본문
[2025 국감] "산은과 HMM 매각 논의 곧 예정" "공공기관 4~6개 부산 이전 검토" "CPTPP 가입시 수산 분야 영향력 파악할 것" "조선·해양플랜트 업무 이전 부처 간 다툴일 아냐" [세종=이데일리 송주오 기자]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은 15일 HMM 본사의 부산 이전과 매각과 관련해 연내 로드맵을 마련해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환태평양경제동반자(CPTPP) 가입시에는 충분히 대책을 강구하겠다고 했다.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이 15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에서 열린 2025년도 해양수산부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전 장관은 이날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국정감사에서 HMM의 부산 이전에 대해 묻는 조경태 국민의힘 질의에 “올해 연말 안에 구체적인 이전 로드맵을 국회에 보고하고 부산 시민과 국민께 공개하는 일정이 있다”며 “HMM은 (공공기관 이전과) 시차는 있겠지만 지배구조나 매각 문제 등과 관련해 시장의 불확실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