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기사 목록 12개
기사 본문
제조·건설업 고용 부진 지속 구직자당 일자리 수는 0.44 실업급여 지급액이 지난달까지 8개월째 1조원대를 유지하며 역대 최장 기간을 기록했다. 고용노동부가 15일 발표한 '2025년 9월 고용행정 통계로 본 노동시장 동향'을 보면 지난달 고용보험 상시 가입자는 1564만1000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19만1000명(1.2%) 증가했다. 상시 가입자는 지난 4월(18만4000명)부터 8월(18만2000명)까지 18만명대 증가를 유지하다가 지난달 증가 폭을 키운 모습이다. 산업별로 보면 서비스업(21만9000명) 고용보험 가입자는 증가세를 이어갔지만 제조업(-1만1000명)과 건설업(-1만8000명)은 감소 흐름을 지속했다. 제조업은 2020년 12월(-2만1000명) 이후 54개월 만인 지난 7월(-1000명) 감소 전환한 뒤 8월(-5000명)에 이어 지난달까지 마이너스 흐름을 이어갔다. 건설업은 26개월째 감소했지만 감소 폭은 다소 줄었다. 구직급여(실업급여) 신규 신청자는 8만9...
기사 본문
비자발적 실직자 많아지며 역대 최장기간 지급액 1조원 상회 구인 줄고 구직 늘어 구직자 1인당 일자리 21년 만에 최소 실업급여 신청 [연합뉴스 자료사진] (세종=연합뉴스) 옥성구 기자 = 구직급여(실업급여)가 역대 처음으로 8개월 연속 1조원 넘게 지급된 것으로 나타났다. 비자발적으로 일자리를 잃은 사람이 많아진 것으로, 올해 누적 구직급여 지급액은 10조원에 육박했다. 고용시장 침체가 계속되며 구직자 1인당 일자리 수는 9월 기준 21년 만에 가장 적다. 15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고용행정 통계로 본 노동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구직급여 지급액은 1조673억원으로 1년 전보다 10.9%(1천48억원) 늘었다. 구직급여는 올해 2월부터 지난달까지 8개월 연속 월 1조원 넘게 지급됐다. 이는 역대 최장기간으로, 이보다 앞서 2021년 2월부터 8월까지 구직급여가 7개월 연속 1조원 넘게 지급된 적 있었다. 올해 누적 지급액은 9조6천303억원이다. 천경기 노동부 미래고용분석과...
기사 본문
노동부, ‘고용행정 통계로 본 노동시장 동향’ 발표 구인 줄고 구직 늘어 구직자 1인당 일자리 21년 만에 최소 지난달 30일 서울 서초구 aT센터에서 열린 ‘2025 관광 일자리 페스타’에서 구직자들이 채용공고를 확인하고 있다.[연합] [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구직급여(실업급여)가 역대 처음으로 8개월 연속 1조원 넘게 지급된 것으로 나타났다. 비자발적으로 일자리를 잃은 사람이 늘어난 영향으로, 올해 누적 구직급여 지급액은 10조원에 육박했다. 고용시장 침체가 계속되며 구직자 1인당 일자리 수는 9월 기준 21년 만에 가장 적다. 15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고용행정 통계로 본 노동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구직급여 지급액은 1조673억원으로 1년 전보다 10.9%(1048억원) 늘었다. 구직급여는 올해 2월부터 지난달까지 8개월 연속 월 1조원 넘게 지급됐다. 이는 역대 최장기간으로, 이보다 앞서 2021년 2월부터 8월까지 구직급여가 7개월 연속 1조원 넘게 지급된 적 있었...
기사 본문
고용노동부, 9월 고용행정 통계로 본 노동시장 동향 발표 구인배수, 2004년 이후 역대 9월 중 최저…"점차 완화 중" 제조업 고용보험 가입자, 1.1만↓…건설업도 26개월째 감소 실업급여 신규 신청은 8천명 늘어…전체 지급액 1조673억 [구미=뉴시스] 이무열 기자 = 지난 9월 16일 경북 구미시 박정희체육관에서 열린 2025 춘하추동 취업 한마당에서 구직자들이 채용정보 게시대를 살펴보고 있다.2025.09.16. lmy@newsis.com [서울=뉴시스] 고홍주 기자 = 지난달 구직자 1인당 일자리 수(구인배수)가 0.44개로 집계됐다. 제조업과 건설업을 중심으로 고용이 부진하면서 노동시장도 영향을 받는 모양새다. 고용노동부가 15일 발표한 '2025년 9월 고용행정 통계로 본 노동시장 동향'에 따르면 9월 말 기준 고용보험 상시가입자 수는 1564만1000명이다. 지난해 9월과 비교해 19만1000명(1.2%) 증가했다. 고용보험 상시 가입자 수는 지난 2023년 3월 15...
기사 본문
서울 마포구 고용노동부 서울서부지청에서 구직자가 실업급여 신청서를 작성하고 있다. 뉴스1 구직급여(실업급여) 지급액이 사상 처음으로 8개월 연속 1조원을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급여 수준과 가입자 수가 꾸준히 증가하면서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볼 수 있지만, 고용 상황이 악화되며 비자발적으로 일자리를 잃은 근로자가 늘어난 영향도 적지 않았다는 분석이다. 정근영 디자이너 15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고용행정 통계로 본 노동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구직급여 지급액은 1조673억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10.9%(1048억원) 증가했다. 올해 누적 지급액은 9조6303억원에 달한다. 구직급여는 올해 2월부터 8개월 연속 월 지급액 1조원을 초과했으며, 이는 역대 최장 기록이다. 앞서 2021년 2월부터 8월까지 7개월 연속 1조원을 넘긴 적이 있었다. 지난달 구직급여 신규 신청자는 8만9000명으로, 1년 전보다 8000명(10.0%) 늘었다. 같은 기간 구직급여를 받은 사람은 62만50...
기사 본문
통계로 본 노동시장 동향 발표 역대 최장… 1인당 일자리는 0.44개 건설·제조업 고용보험 가입자 감소 구직급여(실업급여) 지급액이 8개월 연속 1조원을 넘어서며 1995년 제도 도입 이후 최장 기록을 세웠다. 경기 둔화와 고용 한파가 이어지면서 비자발적 실직자가 좀처럼 줄지 않고 있다. 고용노동부가 15일 발표한 ‘고용행정 통계로 본 노동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 9월 지급된 실업급여는 1조 673억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10.9%(1048억원) 증가했다. 같은 달 신규 신청자는 8만 9000명으로, 1년 전보다 10.0%(8000명) 늘었다. 실업급여 지급액은 지난 2월(1조 728억원) 이후 8개월째 1조원대를 유지하고 있다. 코로나19 충격이 컸던 2021년 2~8월(7개월 연속)을 넘어선 것으로, 현 상황이 코로나 때보다 더 악화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구인·구직 불균형도 깊어졌다. 지난달 ‘고용24’에 등록된 신규 구직자는 37만 8000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10.8%(3...
기사 본문
9월 노동시장 동향 실업급여 8개월 연속 1조원 넘게 지급 앞으로도 매달 1조 이상 나갈듯 구인배수 0.44..2004년 후 최저 (사진=연합뉴스) [세종=이데일리 서대웅 기자] 비자발적 실업자에게 지급되는 구직급여(실업급여)가 처음으로 8개월 연속 1조원 넘게 지급됐다. 고용보험 가입자가 늘어나고 구직급여액도 오르는 만큼 앞으로도 매달 1조원 이상 나갈 전망이다. 구직자 1인당 일자리 수는 0.44개로 9월 기준으론 2004년 이후 최저치를 나타냈다. 고용노동부가 15일 발표한 ‘2025년 9월 노동시장 동향’을 보면, 지난달 구직급여 지급액은 1조 673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월 대비 10.9%(1048억원) 늘어난 규모다. 구직급여는 지난 2월(1조 728억원), 3월(1조 510억원), 4월(1조 1571억원), 5월( 1조 1108억원), 6월(1조 516억원), 7월(1조 1121억원), 8월(1조 329억원) 이어 9월까지 8개월 연속 1조원 넘게 지급됐다. 구직급여...
기사 본문
비자발적 실직자 많아져 역대 최장기간 지급액 1조원 상회 구직자 1인당 일자리 21년 만에 최소 지난 9월 16일 서울 강서구 코엑스 마곡에서 열린 ‘제8회 항공산업 잡 페어(취업 박람회)’를 찾은 구직자가 채용공고 게시대를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일자리 수가 크게 줄면서 구직급여(실업급여)가 사상 처음으로 8개월 연속 1조원 넘게 지급된 것으로 나타났다. 비자발적으로 일자리를 잃은 사람이 많아졌다는 의미로, 올해 누적 구직급여 지급액은 10조원에 육박하고 있다. 구직자 1인당 일자리 수는 9월 기준 21년 만에 가장 적다. 15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고용행정 통계로 본 노동시장 동향’ 자료에 따르면 지난 9월 구직급여 지급액은 1조673억원이었다. 1년 전과 비교하면 10.9%(1048억원) 늘어난 것이다. 구직급여는 올해 2월부터 지난달까지 8개월 연속 월 1조원 넘게 지급됐다. 이는 역대 최장 기간이다. 이전 기록은 지난 2021년 2월부터 8월까지 구직급여가 7개월 연...
기사 본문
구직급여(실업급여)가 역대 처음으로 8개월 연속 1조원 넘게 지급된 것으로 나타났다. 구직급여 수급자가 늘어난 것은 비자발적으로 일자리를 잃은 사람이 많아진 것으로, 올해 누적 구직급여 지급액은 10조원에 육박했다. 고용시장 침체가 계속되며 구직자 1인당 일자리 수는 0.44로 9월 기준 21년 만에 가장 낮았다. [자료:고용노동부] 15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고용행정 통계로 본 노동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구직급여 지급액은 1조673억원으로 1년 전보다 10.9%(1048억원) 늘었다. 구직급여는 올해 2월부터 지난달까지 8개월 연속 월 1조원 넘게 지급됐다. 이는 역대 최장기간으로, 이보다 앞서 코로나19 팬데믹 영향을 받았던 2021년 2월부터 8월까지 구직급여가 7개월 연속 1조원 넘게 지급된 적 있었다. 이에 대해 천경기 노동부 미래고용분석과장은 “피보험자가 늘고 구직급여 지급액 단가가 계속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10월부터는 구직급여 지급액...
기사 본문
노동부, '9월 고용행정 통계로 본 노동시장 동향' 발표 연령별로는 60세 이상 가입자 18만 5천 명 증가하며 고용 증가 주도 29세 이하, 40대는 각각 9만명, 2만 5천 명 감소 고용노동부 제공 지난 9월에도 제조업과 건설업의 고용 부진이 이어졌으나, 서비스업의 호조세와 고령층의 노동시장 진입 확대로 고용보험 가입자는 완만한 증가세를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가 15일 발표한 '2025년 9월 고용행정 통계로 본 노동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고용보험 상시가입자는 1564만 1천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19만 1천명(1.2%) 증가했다. 이는 6개월 연속 18만 명 이상 증가폭을 기록한 수치다. 제조업과 건설업은 전월에 이어 고용보험 가입자 수가 줄었다. 제조업은 3개월 연속 1만 명 이상 감소하며 1만 1천 명 줄었고, 건설업 역시 1만 7900명 감소하며 26개월째 감소세를 이어갔다. 이에 반해 서비스업은 21만 9천 명 증가해 전체 고용 증가를 견인했다. 서비...
기사 본문
9월 고용보험 상시가입 1.2%↑ 서비스업, 전체 증가분보다 많아 외국인 제외한 제조·건설업 각각 24개월·26개월째 감소 올해 고용지표가 제조업·건설업 중심으로 악화가 지속되면서 1조원대 구직급여(실업급여) 지급 기간도 장기화하고 있다. 올해 9월 기준 1조원대 실업급여 지급은 8개월째로, 역대 최장 기간을 기록했다. 고용노동부가 15일 발표한 고용행정 통계로 본 노동시장 동향에 따르면 올해 9월 실업급여 지급자는 62만5000명, 지급액은 1조673억원이다. 전년 동월 대비 각각 2만4000여명(4%), 1048억원(10.9%)이 증가했다. 실업급여 지급액은 올해 2월부터 1조원 이상을 매월 기록하고 있다. 실업급여 정책이 도입된 이후 최장 기간이다. 특히 올해 추석이 10월(지난해 9월)에 있었던 만큼, 9월엔 고용센터 근무일수 4일 증가에 따른 기저효과도 존재했다는 분석이다. 따라서 장기간 연휴가 있었던 올해 10월 실업급여 지급인원과 지급액은 전년 동월보다 낮아질 수 있다는...
기사 본문
구직 1명당 일자리 0.44개 최저 실업급여 신규 신청자 10% 급증 노인일자리 대기도 22만명 최대 경기 불황과 노동시장 악화로 구직 경쟁이 심해지면서 구직자 한 명당 일자리 수를 나타내는 구인배수가 역대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실업급여 지급액은 9개월 연속 1조원을 넘어섰다. 고용시장 한파가 장기화하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15일 고용노동부의 ‘2025년 9월 고용행정 통계로 본 노동시장 동향’에 따르면 9월 구인배수는 0.44로 지난달 0.50에서 소폭 하락했다. 구직자는 10명인데 기업들이 제공하는 일자리는 4개에 그친다는 의미다. 9월 기준으로는 2004년 9월(0.43) 이후 21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고용서비스 통합 플랫폼 ‘고용24’를 이용한 신규 구인 인원은 16만5000명으로 1년 전보다 6000명(-3.5%) 감소했다. 제조업 일자리가 7000개 줄어든 게 전체 구인 인원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같은 기간 신규 구직 인원은 37만8000명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