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도심 아파트. [연합뉴스 제공] 서울 전 지역을 토지거래허가구역 및 규제지역으로 묶는 10·15 대책에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이 반토막 났다. 30일 한국부동산원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10월 넷 째주(27일 기준)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은 전주(0.50%) 대비 0.27%포인트 하락한 0.23%를 기록했다. 부동산원은 “일부 재건축 추진 단지 중심으로 상승했으나 매수문의와 거래가 감소하는 등 전반적으로 시장을 관망하는 분위기가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자치구별로 보면, 광진구가 0.20%로 전주(1.29%) 대비 상승률이 1.09%포인트 축소됐다. 이어 성동구(1.25%→0.37%), 중구(0.93%→0.30%), 마포구(0.92%→0.32%), 양천구(0.96%→0.38%) 순으로 상승폭이 대폭 줄었다. 강남 3구의 경우, 송파구가 전주(0.93%) 대비 0.45%포인트 하락한 0.48%의 상승률을 보였고 서초구(0.22%→0.18%), 강남구(0...
기사 본문
0.50%→0.27%…한강벨트·분당·과천 오름폭 큰폭 축소 화성·구리 등 일부 지역은 상승폭 확대…"풍선효과 크진 않을 것"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임기창 기자 =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을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한 10·15 부동산 대책 영향이 본격적으로 나타나면서 해당 지역 아파트 가격 상승폭이 일단 둔화세로 돌아섰다. 무주택자와 처분조건부 1주택자의 주택담보인정비율(LTV) 한도를 70%에서 40%로 낮추는 등 강화된 대출규제에 더해, 주택 구입 시 2년 실거주 의무를 부여하는 토허구역 지정으로 갭투자(전세 낀 주택 구입)까지 차단되면서 거래 전반이 위축되고 시장이 관망세로 돌아선 결과로 풀이된다. [한국부동산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30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0월 넷째 주(10월27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직전 주 대비 0.23% 올랐다. 이번 조사 ...
기사 본문
28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도심 아파트 모습. 연합뉴스 10·15 부동산 대책 이후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가 크게 둔화했다. 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토지거래허가구역 등 ‘삼중’ 규제로 거래가 얼어붙으면서다. 30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0월 넷째 주(27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보다 0.23% 올라 지난주 상승폭(0.50%) 대비 절반 수준으로 둔화했다. 한 달 전인 9월 29일 상승폭(0.27%) 수준이다. 서울 아파트값은 지난 6·27 대책 이후 7~8월에는 상승세가 꺾였다가 9월부터 급등하기 시작했다. 추가 규제에 대한 선 매수세가 ‘한강벨트’로 쏠리면서다. 10·15 대책이 발표되고 토지거래허가제가 시행(20일)되기 직전까지 매수세가 몰리면서 지난주 아파트값 상승폭은 0.50%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하지만 서울 전역과 경기 12곳이 규제지역으로 지정되며 대출이 크게 줄고, 토허제로 실거주 목적이 아닌 거래가 차단되면서...
기사 본문
[이주희 디지털팀 기자 hee_423@naver.com]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 오름폭 0.50%→0.27% 화성·구리 등 일부 경기 지역은 상승폭 확대 지난 27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의 모습 ⓒ연합뉴스 10·15 부동산 대책 영향이 본격적으로 나타나면서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 등 규제 영향권 지역 아파트 가격 상승폭이 둔화세로 돌아섰다. 30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0월 넷째 주(10월27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직전 주 대비 0.23% 올랐다. 상승폭은 전주(0.50%) 대비 0.27%포인트 축소됐다. 직전 주 서울 아파트 상승률은 1주 단위 기준으로는 한국부동산원이 주간 통계를 공표하기 시작한 2013년 1월 이후 최고 기록이다. 이번 조사 결과에는 10·15 대책 발표 이후 규제지역 적용(16일)에 이어 토허구역 지정(20일)까지 이른바 '삼중 규제'가 모두 적용된 이후 상황이 반영됐다. 서울 전...
기사 본문
■부동산원 10월 넷째 주 가격동향 서울 오름폭 절반 줄어 0.23% 분당구 0.82% 올라 상승률 1위 과천·하남 0.5%대 오름세 유지 비규제 화성시 보합→상승 안양구리 등은 오름폭 커져 [서울경제]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을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은 10·15 부동산 대책으로 수도권 아파트 가격 상승세가 한풀 꺾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전히 가파른 오름세에도 불구하고 역대 가장 가파른 상승 폭을 보인 전주(서울 0.5%)보다 완만해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서울 강남과 인접한 경기도 하남시와 구리시 등의 아파트 가격은 높은 상승세를 보였다. 30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0월 넷째 주(10월 27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가격은 0.23% 뛰었다. 통계 집계 이후 가장 가파른 상승 폭을 기록했던 전주(0.50%)보다 상승 폭이 절반으로 줄었다. 하지만 여전히 25개 자치구 모두 아파트 가격이 상승세를 보였다. ...
기사 본문
서울 상승률 0.23%로 ‘뚝’ 성동·마포 등 큰폭으로 꺾여 전셋값 치솟는 등 역효과도 서울 노원구 아파트 전경 [매경DB] 정부의 고강도 수요억제책에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이 한 주 만에 반 토막 났다. 이전까지 상승세가 가팔랐던 한강벨트 권역을 중심으로 다수 지역의 상승세가 크게 둔화된 것이다. 반면 이번에 규제지역으로 묶이지 않은 경기도 구리시, 화성시 일대에 매매가격이 오르고 수도권 전역에 전세 매물이 감소하며 전세가격은 상승폭이 확대됐다. 30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10월 넷째주(27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는 전주 대비 0.23%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전역이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이기 전인 지난주(0.50%)와 비교해 상승폭이 대폭 줄어든 것이다. 서울에서는 성동구(1.25%→0.37%), 마포구(0.92%→0.32%), 광진구(1.29%→0.20%), 강동구(1.12%→0.42%) 등 최근 집값 상승을 주도했던 한강벨트의...
기사 본문
10·15 대책 이후 사실상 첫 통계…상승폭 급감 서울, 여전히 높은 상승률, 25개 자치구 모두 상승 전셋값 상승폭은 오히려 소폭 늘어 전문가 "가격 조정기 아닌 기간 조정기 돌입" 서울 전역과 경기 주요지역을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구역, 20일부터)으로 확대 지정한 후 서울 집값 상승 폭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토허구역 추가 지정 등을 담은 10·15 부동산 대책 시행 전 '막차 수요'가 몰리며 역대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던 지난주와는 다른 분위기다. 그러나 상승률은 아직도 높은 수준이어서, 하락 반전의 전초전이라기보다는 '숨 고르기 장세'에 진입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10월 4주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한국부동산원. 30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0월 4주(27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07% 상승해 지난주 0.12% 대비 상승 폭이 축소됐다. 수도권은 0.25%에서 0.14%로, 서울은 0.50%에서 0.23%로 상승...
기사 본문
(서울=뉴스1) 김성진 기자 = KB부동산 조사 기준으로 이달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10·15 부동산 대책 발표 이전까지 기준으로 올해 들어 최고 상승률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KB부동산이 발표한 10월 주택가격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월 대비 1.46% 오르며 17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상승 폭은 전월(0.82%)과 비교해 0.64%포인트 커졌고, 상승률은 올해 최고치다. 사진은 27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모습. 2025.10.27/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서울=뉴스1) 김성진 기자 정부가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을 규제지역 및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는 10·15 부동산 대책을 시행한 지 보름이 지났다. 고강도 규제로 거래와 매물이 모두 감소한 가운데, 규제 직전 역대급 상승률을 기록했던 서울 아파트값은 상승폭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