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확산 이후 청년 일자리 21만 개 줄어…시니어 고용은 반전?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김혜인 디지털팀 기자 haileykim0516@gmail.com] AI 확산 이후 청년층 일자리는 줄고 중장년층 고용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ImageFX 제작 인공지능(AI) 확산 이후 청년층 고용이 크게 줄고 중장년층 고용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AI 도입 초기 단계에서 주니어 고용은 감소하고 시니어 고용은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한은 연구팀 분석 결과, AI 노출도가 높은 3분위와 4분위 업종에서 청년 고용 감소가 집중적으로 나타난 것을 확인했다. 2022년 7월부터 2025년 7월까지 청년층 일자리는 총 21만1000개 감소했고 이 가운데 20만8000개가 AI 노출도가 높은 업종에 속했다. 반면 같은 기간 50대 일자리는 20만9000개 늘었고 이 중 14만6000개가 AI 노출도 상위 업종에서 발생했다. 세부 업종을 보면 챗GPT 출시 이후 컴퓨터 프로그래밍·시스템 통합 및 관리업에서 청년 고용이 11.2% 줄었다. ...
기사 본문
한국은행 'AI 확산과 청년고용 위축' 이슈노트 챗GPT 출시 이후 연령별 고용변화 살펴보니 AI 高노출 업종서 청년 일자리 감소 주도 20대 가장 큰 폭 감소…50대는 오히려 늘어 인공지능(AI) 기술이 국내에 빠르게 도입·확산하면서 20대 청년층이 가장 큰 타격을 받고 있다는 한국은행의 연구 결과가 나왔다. 최근 3년간 청년층 일자리는 AI 기술 노출이 높은 직종에서만 20만개가 사라졌다. 기업이 신규 채용을 줄이고 AI 업무로 대체한 결과로 해석된다. 반면 협력, 조직관리 등 사회적 기술이 요구되는 50대의 경우 AI 노출이 높은 직종에서도 오히려 일자리가 늘어나는 모습을 보였다. 20대 일자리 감소, 대부분 AI 高노출 업종서…50대는 오히려 늘어 30일 한국은행이 내놓은 'BOK 이슈노트: AI 확산과 청년고용 이슈' 보고서에 따르면 챗GPT가 출시된 이후 최근 3년(2002년 7월~2025년 7월) 동안 청년층(15~29세) 일자리는 컴퓨터 프로그래밍 등 AI 기술에 노출...
기사 본문
출판·전문서비스·정보서비스업 등 청년고용 최대 23.8% 급감 AI, ‘주니어 정형 업무’ 대체…시니어, ‘맥락·관리 역량’으로 버텨 한은 “노출도 높더라도 보완도 높은 일자리 사라지지 않을 것” “보완도 높은 직무 중심 재설계, 청년층 대상 AI 협업 교육 필요” ◆…한국은행은 30일 'BOK이슈노트: AI 확산과 청년고용 위축-연공편향(seniority-biased) 기술변화를 중심으로' 보고서를 발표했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제공 AI 확산이 본격화된 지난 3년간 우리나라의 청년 일자리가 21만개 넘게 사라졌다. 감소한 일자리의 98.6%가 인공지능(AI) 노출도가 높은 산업군에서 발생했다. 반면 50대 고용은 20만9000개 증가, 그중 70% 가까이가 오히려 AI 고노출 업종이었다. AI가 단순 업무를 빠르게 대체하면서 '주니어는 줄고 시니어는 늘어나는' 연공편향 현상이 국내 노동시장에서도 뚜렷하게 나타난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은행은 30일 'BOK이슈노트: AI 확산과 청...
기사 본문
한은 "AI 도입 초기 '연공편향 기술변화'…50대 고용은 되레 늘어" "주니어 정형화 업무 AI가 대체…시니어 암묵적 지식은 보완" 서울의 한 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구직자가 일자리 게시판을 보는 모습. 2025.8.18/뉴스1 ⓒ News1 김민지 기자 (세종=뉴스1) 전민 기자 = 인공지능(AI) 확산 이후 지난 3년간 15~29세 청년층 일자리가 21만개 넘게 감소했으며, 이 중 99%에 육박하는 규모가 AI에 많이 노출된 업종에 집중됐다는 분석이 나왔다. 반면 같은 기간 50대 일자리는 AI 고(高)노출 업종을 중심으로 14만 개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AI 도입 초기에 경력이 적은 청년층 고용은 위축되고 시니어 고용은 늘어나는 '연공편향 기술변화'(seniority-biased technological change)가 국내 노동시장에서도 뚜렷하게 관측된다는 진단이다. 한국은행이 30일 발표한 'BOK 이슈노트: AI 확산과 청년고용 위축, 연공편향 기술변화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