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중’ 규제에 서울 아파트값 둔화…풍선효과 상승세 커진 동탄·구리

2025년 10월 31일 수집된 기사: 3개 전체 기사: 30개
수집 시간: 2025-10-31 01:17:48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11개

중앙일보 2025-10-30 14:00:00 oid: 025, aid: 0003479103
기사 본문

28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도심 아파트 모습. 연합뉴스 10·15 부동산 대책 이후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가 크게 둔화했다. 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토지거래허가구역 등 ‘삼중’ 규제로 거래가 얼어붙으면서다. 30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0월 넷째 주(27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보다 0.23% 올라 지난주 상승폭(0.50%) 대비 절반 수준으로 둔화했다. 한 달 전인 9월 29일 상승폭(0.27%) 수준이다. 서울 아파트값은 지난 6·27 대책 이후 7~8월에는 상승세가 꺾였다가 9월부터 급등하기 시작했다. 추가 규제에 대한 선 매수세가 ‘한강벨트’로 쏠리면서다. 10·15 대책이 발표되고 토지거래허가제가 시행(20일)되기 직전까지 매수세가 몰리면서 지난주 아파트값 상승폭은 0.50%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하지만 서울 전역과 경기 12곳이 규제지역으로 지정되며 대출이 크게 줄고, 토허제로 실거주 목적이 아닌 거래가 차단되면서...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0-30 14:00:08 oid: 001, aid: 0015712347
기사 본문

0.50%→0.27%…한강벨트·분당·과천 오름폭 큰폭 축소 화성·구리 등 일부 지역은 상승폭 확대…"풍선효과 크진 않을 것"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임기창 기자 =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을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한 10·15 부동산 대책 영향이 본격적으로 나타나면서 해당 지역 아파트 가격 상승폭이 일단 둔화세로 돌아섰다. 무주택자와 처분조건부 1주택자의 주택담보인정비율(LTV) 한도를 70%에서 40%로 낮추는 등 강화된 대출규제에 더해, 주택 구입 시 2년 실거주 의무를 부여하는 토허구역 지정으로 갭투자(전세 낀 주택 구입)까지 차단되면서 거래 전반이 위축되고 시장이 관망세로 돌아선 결과로 풀이된다. [한국부동산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30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0월 넷째 주(10월27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직전 주 대비 0.23% 올랐다. 이번 조사 ...

전체 기사 읽기

시사저널 2025-10-30 15:00:09 oid: 586, aid: 0000114865
기사 본문

[이주희 디지털팀 기자 hee_423@naver.com]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 오름폭 0.50%→0.27% 화성·구리 등 일부 경기 지역은 상승폭 확대 지난 27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의 모습 ⓒ연합뉴스 10·15 부동산 대책 영향이 본격적으로 나타나면서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 등 규제 영향권 지역 아파트 가격 상승폭이 둔화세로 돌아섰다. 30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0월 넷째 주(10월27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직전 주 대비 0.23% 올랐다. 상승폭은 전주(0.50%) 대비 0.27%포인트 축소됐다. 직전 주 서울 아파트 상승률은 1주 단위 기준으로는 한국부동산원이 주간 통계를 공표하기 시작한 2013년 1월 이후 최고 기록이다. 이번 조사 결과에는 10·15 대책 발표 이후 규제지역 적용(16일)에 이어 토허구역 지정(20일)까지 이른바 '삼중 규제'가 모두 적용된 이후 상황이 반영됐다. 서울 전...

전체 기사 읽기

중앙일보 2025-10-31 00:01:02 oid: 025, aid: 0003479294
기사 본문

10·15 부동산 대책 이후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가 크게 둔화했다. 30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0월 넷째 주(27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보다 0.23% 올라 지난주 상승폭(0.50%) 대비 절반 수준으로 둔화했다. 한 달 전인 9월 29일 상승폭(0.27%) 수준이다. 서울 전역과 경기 12곳이 규제지역으로 지정되며 대출이 크게 줄고, 토허제로 실거주 목적이 아닌 거래가 차단되면서 규제 효과가 이번주부터 나타나는 모습이다. 자치구별로 보면 지난주 1.25%까지 치솟았던 서울 성동구가 0.37%로 상승 폭이 크게 떨어졌고, 광진구(1.29%→0.20%), 강동구(1.12%→0.42%), 양천구(0.96%→0.38%), 송파구(0.93% →0.48%), 마포구(0.92%→0.32%) 등도 상승세가 낮아졌다. 경기 분당·과천도 상승폭이 축소됐다. 부동산원은 “매수 문의와 거래가 감소하는 등 전반적으로 시장을 관망하는 분위기”라고 설명했...

전체 기사 읽기

아시아경제 2025-10-30 14:00:00 oid: 277, aid: 0005672116
기사 본문

10·15 대책 이후 사실상 첫 통계…상승폭 급감 서울, 여전히 높은 상승률, 25개 자치구 모두 상승 전셋값 상승폭은 오히려 소폭 늘어 전문가 "가격 조정기 아닌 기간 조정기 돌입" 서울 전역과 경기 주요지역을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구역, 20일부터)으로 확대 지정한 후 서울 집값 상승 폭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토허구역 추가 지정 등을 담은 10·15 부동산 대책 시행 전 '막차 수요'가 몰리며 역대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던 지난주와는 다른 분위기다. 그러나 상승률은 아직도 높은 수준이어서, 하락 반전의 전초전이라기보다는 '숨 고르기 장세'에 진입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10월 4주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한국부동산원. 30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0월 4주(27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07% 상승해 지난주 0.12% 대비 상승 폭이 축소됐다. 수도권은 0.25%에서 0.14%로, 서울은 0.50%에서 0.23%로 상승...

전체 기사 읽기

머니투데이 2025-10-30 14:00:00 oid: 008, aid: 0005270868
기사 본문

(서울=뉴스1) 김성진 기자 = KB부동산 조사 기준으로 이달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10·15 부동산 대책 발표 이전까지 기준으로 올해 들어 최고 상승률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KB부동산이 발표한 10월 주택가격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월 대비 1.46% 오르며 17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상승 폭은 전월(0.82%)과 비교해 0.64%포인트 커졌고, 상승률은 올해 최고치다. 사진은 27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모습. 2025.10.27/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서울=뉴스1) 김성진 기자 정부가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을 규제지역 및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는 10·15 부동산 대책을 시행한 지 보름이 지났다. 고강도 규제로 거래와 매물이 모두 감소한 가운데, 규제 직전 역대급 상승률을 기록했던 서울 아파트값은 상승폭이 ...

전체 기사 읽기

이코노미스트 2025-10-30 18:03:12 oid: 243, aid: 0000087246
기사 본문

0.50%→0.27%…한강벨트·분당·과천 오름폭 축소 화성·구리 등 일부 지역은 상승폭 확대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한강변 아파트 및 주택단지들.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이승훈 기자]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아파트 가격 상승폭이 둔화세로 돌아섰다.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을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한 10·15 부동산 대책 영향이 본격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전까지 상승세가 뜨거웠던 한강벨트 권역을 중심으로 다수 지역의 상승세가 큰 폭으로 축소되는 양상이 포착됐다. 30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0월 넷째 주(10월27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직전 주 대비 0.23% 올랐다. 이번 조사 결과에는 10·15 대책 발표 이후 규제지역 적용(16일)에 이어 토허구역 지정(20일)까지 이른바 ‘삼중 규제’가 모두 적용된 이후 상황이 반영됐다. 무주택자와 처분조건부 1주택자의 ...

전체 기사 읽기

한겨레 2025-10-30 17:14:21 oid: 028, aid: 0002773731
기사 본문

한국부동산원 주간 아파트값 동향 광진구 1.29%→0.20%, 성동구 1.25%→0.37% 서울 송파구 잠실일대 아파트 단지.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을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은 ‘10·15 부동산 대책’ 영향이 본격적으로 나타나면서 서울·경기 아파트 가격 상승폭이 일제히 둔화했다. 대출 규제에 더해 아파트 매수자의 실거주 의무를 부여한 토허구역 지정으로 갭투자(전세 낀 주택 구입)까지 차단되면서 수요가 차단되고 시장이 관망세로 돌아선 결과로 풀이된다. 30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주간 아파트값 동향’을 보면, 10월 넷째 주(10월27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직전 주 대비 0.23% 올랐다. 이번 조사는 10·15 대책 발표 이후 규제지역 적용(16일)에 이어 토허구역 지정(20일)까지 이른바 ‘삼중 규제’가 모두 적용된 이후 상황이 반영된 첫 지표다. 서울 평균 상승폭(0.23%)은...

전체 기사 읽기

동아일보 2025-10-31 03:05:35 oid: 020, aid: 0003671102
기사 본문

20일이후 거래 131건 그쳐 매물도 줄어 ‘거래 절벽’ 현실로 규제 제외 구리-화성은 소폭 상승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및 주택 단지. 2025.10.28 뉴스1 10월 넷째 주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 폭이 지난주 대비 절반 수준으로 줄어들며 서울 집값 상승세가 한풀 꺾였다. 서울 전역과 경기 12개 지역을 규제지역(투기과열지구, 조정대상지역)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한 10·15 부동산 대책의 영향이 본격화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2년간 실거주 의무를 부여한 토지거래허가제가 20일부터 시행되면서 거래가 위축되고, 시장이 관망세로 돌아선 것으로 보인다. 30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10월 넷째 주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가격은 전주(0.5%) 대비 0.23% 상승했다. 서울 아파트 가격은 9·7 공급대책이 발표된 이후 9월 둘째 주부터 매주 상승 폭이 확대되다 이번 주 처음으로 축소됐다. 지역별로는 성동구(1.25%→0.37%), 광진구(1.29%→0...

전체 기사 읽기

경향신문 2025-10-30 14:00:52 oid: 032, aid: 0003405532
기사 본문

정부가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 전체의 아파트를 토지거래허가구역 등으로 지정하겠다고 발표한 지난 15일 서울 도심. 문재원 기자 10·15 대책에 따라 규제지역으로 지정된 서울 전역의 아파트값 상승 폭이 전주 대비 절반 수준으로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 12개 규제지역에서도 대체로 오름세가 둔화한 가운데, 규제를 적용받지 않는 일부 지역에선 ‘풍선효과’가 나타나기도 했다. 한국부동산원이 30일 발표한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자료에 따르면 10월 넷째주(27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는 전주 대비 0.23% 올랐다. 10·15 대책 발표 직전인 9월 마지막주부터 이달 둘째주까지 주당 평균 0.27%의 상승폭을 보이던 서울 아파트값은 대책 발표 직후인 10월 셋째주 ‘막차’ 수요가 몰려 0.50%의 상승폭을 기록했다가 규제 효과가 본격적으로 반영된 넷째주부터 오름폭이 절반 가까이 둔화한 것이다. 특히 서울 자치구 가운데 규제 직전 가장 큰 상승폭을 보이던 성동구(1.25...

전체 기사 읽기

이데일리 2025-10-30 14:01:11 oid: 018, aid: 0006151168
기사 본문

“10·15대책 약발 일단은 통했다”…서울아파트 상승률 ‘반토막’ 한국부동산원, 10월 넷째 주 주간 아파트 동향 서울 아파트 역대 최고 전주 0.50% → 0.23% 올라 풍선효과 지역들 일제히 상승폭 절반 이상 축소 1% 훌쩍 넘었던 과천·분당도 상승률 반토막 나며 일단 진화 [이데일리 박지애 기자] 10·15 부동산 규제로 토지거래허가제(토허제) 등 서울 전역이 규제지역으로 묶이면서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폭이 대폭 축소했다. 토허제로 묶이기 직전 마지막 불꽃을 태우며 역대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던 대부분의 지역들이 대부분 상승률이 절반 이상 축소하며 진화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서울 용산구의 한 공인중개사에 아파트 매물 시세표가 붙어 있다.(사진=이데일리 방인권 기자) 30일 한국부동산원이 발간한 10월 넷째 주(10월 27일 기준) 서울 아파트값은 전주 대비 0.23% 올랐다. 직전 주인 10월 셋째 주 0.50% 오르며 부동산원이 2013년부터 통계를 작성, 공표한 이후 가장 ...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