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훈 장관 "새벽배송 전면금지 신중 검토해야…지속적 야간노동 규제 필요성엔 공감" [李정부 첫 국감]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소비자 등 여러 조건 같이 고려해야" 조지연 의원 "각 이해단체들과 충분히 협의해야"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이 지난 15일 서울 여의도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에서 열린 노동부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 출석해 인사말을 하기 위해 대기하고 있다. 뉴시스 [파이낸셜뉴스]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이 일부 노동계에서 제안한 새벽배송 전면금지과 관련해 "신중하게 검토해야 한다고 본다"며 "고용노동부 입장을 빠르게 정해서 말씀드리겠다"고 말했다. 다만 지속적 야간노동 규제 필요성에 대해선 "공감한다"고 짚기도 했다. 김 장관은 30일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에서 열린 고용노동부 대상 종합감사에서 새벽배송 전면금지에 대한 고용노동부의 공식 입장을 묻는 조지연 국민의힘 의원의 질의에 "소비자 입장도 고려해야 하고, 여러 가지 조건도 같이 고려해야 한다"며 이처럼 답했다. 앞서 민주노총 전국택배노동조합(택배노조)는 최근 택배 사회적대화 기구에서 택배 근로자 건강권 보호 등을 이유로 자정(0시)부...
기사 본문
장보기·육아·신선식품 배송 '생활 밀착형' 서비스…쿠팡·소비자 단체 반발 우도에서 어린 아이를 키우며 살고 있는 이유라씨는 "쿠팡의 배송이 없으면 산간오지에서는 숨을 쉴 수 없는 지경"이라며 "쿠팡의 선진 물류시스템덕에 육아 난이도가 확 내려간다는 맘카페 회원들이 많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 국내 출산율이 증가폭을 보이는 것에 쿠팡 덕도 분명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장성혁 기자 "아이 밤잠 재우고 나서야 쇼핑할 틈이 나는데, 새벽배송 없으면 도대체 어쩌라는 건가요." 택배노동자의 야간 근무로 인한 과로 문제를 해결하겠다며 '심야배송 전면 제한' 방안을 꺼내든 민주노총 산하 택배노조의 주장에 일반 소비자들과 현장 배송 기사들과 국민들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특히 쿠팡이 직영체계로 운영하는 새벽배송 시스템이 전면 중단될 경우 워킹맘, 맞벌이 부부, 1인 가구, 지방 소비자 등 실질적인 이용층의 삶에 큰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지적이 쏟아지고 있다. 심야시간(자정~오전 5시) 배송을 ...
기사 본문
쿠팡친구 배송기사들 “새벽배송 끊기면 일자리 모두 잃어” 고용노동부 장관도 “신중 검토 필요” ⓒ데일리안 AI 삽화 이미지 [데일리안 = 최승근 기자] 민주노총 택배노조가 과로 방지 대책으로 ‘새벽배송 금지’ 방안을 추진하는 가운데, 워킹맘과 맞벌이 부부 등 우리나라 소비자 10명 중 9명은 새벽배송을 선호한다는 소비자단체 설문결과가 나왔다. 소비자의 98.9%는 새벽배송을 계속 이용할 것이며, 만약 중단되거나 축소되면 불편을 느끼지 않는다는 소비자는 10명 중 1명에 불과했다. 새벽배송을 전국 2000만 소비자가 이용하는 만큼, 새벽배송이 국민 일상생활의 ‘핵심 인프라’이자 일상의 일부가 된 필수재라는 것이다. 이 같은 조사결과가 나오면서 주요 소비자단체와 택배기사들이 소속된 쿠팡노조 등 단체들의 반발세가 커지고 있다. 30일 사단법인 ‘소비자와 함께’와 ‘한국소비자단체연합’은 소비자 1000명을 대상으로 새벽배송 중단에 관련해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새벽배송을 한 번이...
기사 본문
소비자단체 반대 성명, 쿠팡 택배 노조도 공식 반대 입장 경기 부천시 한 물류센터에 주요 배송업체 차량이 주차돼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민주노총이 지난 22일 범정부 사회적 대화기구에서 제안한 '새벽배송 서비스 전면 금지' 방안이 뒤늦게 알려지면서 논란이 확산하고 있다. 소비자단체에선 반대 성명이 잇따라 발표됐고, 민주노총에 가입하지 않은 택배 근로자들도 반발하고 나섰다. 앞서 민주노총 택배노동조합은 범정부 사회적 대화 기구에서 심야(0시~5시) 배송을 금지하고, 오전 5시 출근과 오후 3시 출근 2개 조로 주간 배송을 편성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이와 관련 시민단체 '소비자와 함께'는 30일 "소비자 권리를 침해하는 시대착오적 새벽배송 금지 논의를 강력히 규탄한다"는 내용의 성명을 발표했다. 이 단체는 "새벽배송은 평일에 장보기 어려운 맞벌이 부부, 워킹맘, 자영업자들에게 단순한 편의 서비스가 아닌 생활 필수 인프라이자 공공재"라며 "정치권은 시대착오적인 새벽배송 금지 논의에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