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NK금융 “회장 선임, 금감원 모범관행 따라 공정하게 진행”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사외이사 전원 구성·외부 검증 절차 강화 경영승계 절차 과정서 공정성·독립성 확보 “지역금융 이끌 최적 CEO 추천에 노력할 것” BNK금융그룹 전경. BNK금융그룹 제공 BNK금융그룹이 차기 회장 선임 절차를 둘러싼 외부 관심이 커지는 가운데 금융감독원 모범관행에 따라 공정하고 투명하게 경영승계 절차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BNK금융 임원후보추천위원회(이하 임추위)는 30일 “현재 진행 중인 경영승계 절차는 2023년 12월 발표된 금융감독원의 ‘지배구조 모범관행 가이드’에 따라 공정하고 투명하게 운영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날 BNK금융은 임추위 간담회와 함께 3분기 결산 관련 정기 이사회를 열고 경영승계 추진 상황을 논의했다. 임추위는 이사회 운영의 독립성 강화를 위해 올해 1월 이사회 사무국을 신설해 운영 중이며 위원 전원을 사외이사로 구성했다고 설명했다. 또 내부 후보뿐 아니라 10여명의 외부 후보를 전문 추천기관(서치펌)을 통해 객관적이고 체계적으로 추천·검증하고 있다고...
기사 본문
절차 완비...전원 사외이사로 구성된 임원추천위원회 독립성 강조 정무위 국감서 나온 논란 해명...이찬진 금감원장 "특이한 면 많아" 지적하기도 부산 남구 BNK금융그룹. BNK금융지주 제공 [파이낸셜뉴스] BNK금융지주 임원후보추천위원회가 최근 차기 회장 선임 경영승계 절차와 관련해 "금융감독원의 지배구조 모범관행 가이드에 따라 공정하고 투명하게 운영되고 있다"고 30일 밝혔다. BNK금융지주 임추위는 이사회 운영의 독립성을 강화하기 위해 지난해 1월 이사회 사무국을 신설했다. 임추위 위원도 전원 사외이사로 구성했다. 임추위는 차기 BNK금융지주 회장 후보와 관련해 현직 내부 후보군 외에도 외부 후보 10여명을 추천기관(서치펌) 2곳을 통해 객관적이고 체계적으로 추천·검증·관리 중이라고 밝혔다. 임추위는 또 "롱리스트 확정과 숏리스트 압축 과정에 충분한 검증을 위해 여러 차례 평가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라며 "후보자들 모두 사전 상시 후보군으로 추천된 인물로, 일반적인 채용 형식의...
기사 본문
BNK금융 임원후보추천위원회는 최근 차기회장 선임 경영승계 절차 이슈 관련해 “현재 진행 중인 경영승계 절차는 ‘23년 12월 발표된 금융감독원의 지배구조 모범관행 가이드에 따라 공정하고 투명하게 운영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BNK금융은 오늘(30일) 임추위 간담회와 함께 3분기 결산 관련 정기 이사회도 개최했습니다. BNK금융 임추위는 이사회 운영의 독립성 강화를 위해 ‘24년 1월부터 이사회 사무국을 신설해 운영하고 있으며, 임추위 위원도 전원 사외이사로 구성되어 있다고 밝혔습니다. 임추위는 현직 내부 후보군 외에도 10여명의 외부 후보를 추천기관(서치펌)을 통해 객관적이고 체계적으로 추천·검증·관리중이라고도 전했습니다. 외부 추천기관은 규모, 주요 성과, 금융·경제 분야 이해도, 평판 등을 기준으로 엄정한 심사를 거쳐 임추위에서 2곳을 선정했습니다. 이후 추천 후보별 브리핑을 거쳐 지역경제 및 지역금융 이해도, 리더십, 소통능력, 경력, 책무구조도 적합성, 제재이력 등 다양...
기사 본문
BNK금융지주 부산은행 본점 /사진 제공=BNK금융 BNK금융지주 임원후보추천위원회(임추위)는 최근 논란을 빚은 차기 회장 선임 절차와 관련해 금융감독원의 '지배구조 모범관행'을 핵심 기준으로 삼아 공정하게 운영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30일 BNK금융은 정기 이사회를 열고 임추위 간담회를 진행하며 "지난해 12월 발표된 금감원의 가이드라인을 충실히 이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임추위는 절차의 독립성과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한 장치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1월부터 이사회 사무국을 신설해 독립적인 운영을 지원하고 있으며, 임추위 위원 전원을 사외이사로 구성했다. 특히 내부 후보군 외에도 외부 전문기관(서치펌) 두 곳을 통해 추천받은 10여명의 외부 후보군에 대한 사전 검증 절차를 이미 완료했다고 밝혔다. 임추위는 서치펌 선정부터 후보 추천까지 △주요 성과 △금융 이해도 △평판 등 엄격한 기준을 적용했으며, 추천된 후보들을 대상으로 △지역 경제 및 금융 이해도 △리더십 △소통 능력 △경력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