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역대 3분기 최대 매출⋯관세 여파로 영업이익은 29.2%↓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3분기 매출액 46조7214억원·영업이익 2조5373억원 "적극적인 컨틴전시 플랜 추진으로 관세 영향 본격화에 적극 대응" 현대자동차가 역대 3분기 기준 최대 매출 실적을 올렸음에도 미국 관세 여파로 영업이익은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차는 적극적인 컨틴전시 플랜을 추진하며 관세 영향 본격화에 적극 대응한다는 입장이다. 현대차 울산공장 아이오닉 5 생산라인. [사진=현대자동차] 현대차는 30일 올해 3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을 열어 연결기준 매출액 46조 7214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8.8%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는 역대 3분기 기준 최대 매출액이다. 미국과 유럽 등 주요 시장에서의 판매 호조와 우호적인 환율 효과, 금융 부문 실적 개선 등이 매출 성장을 이끌었다. 영업이익은 2조5373억원으로 같은 기간 29.2% 급감했다. 미국 관세 영향이 본격화된 데 따른 것이다. 영업이익률도 2.9%포인트(p) 하락한 5.4%에 그쳤다. 호세 무뇨스 현대차 대표이사(CEO...
기사 본문
2조5373억 기록… 전년比 29.2%↓ 매출 46.7조 3분기 기준 역대 최대 글로벌 판매 2.6% 늘어 충격 완화 美 관세 타결로 수익성 개선 기대 현대자동차그룹이 미국의 고관세 여파로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조원가량 감소하는 ‘관세 충격’을 맞았다. 현대차는 연결 기준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2조5373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29.2%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30일 공시했다. 매출은 46조7214억원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8.8% 증가했다. 미국·유럽 등에서의 판매 호조와 우호적인 환율 등의 영향으로 3분기 기준 최대 매출을 기록했지만, 미국 시장에서 직면한 관세 부담으로 영업이익이 지난해 같은 기간(3조5809억원)보다 1조436억원 줄었다. 영업이익률도 2022년 3분기 이후 가장 낮은 5.4%로 하락했다. 30일 경기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 자동차 전용부두에 선적을 기다리는 수출용 차량이 세워져 있다. 뉴스1 다만 지난 29일 한·미 정상회담 결...
기사 본문
3분기에만 1조8천212억원 영업익 감소…"협상 타결로 年 관세 7천800억↓" 고수익 차종·주요 시장 판매 선전…경쟁력 강화·기술 혁신으로 지속 성장 현대차 양재사옥 [현대차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서울=연합뉴스) 임성호 기자 = 국내 완성차 선두 기업 현대차가 올해 3분기 미국의 자동차 관세를 오롯이 떠안으면서 작년 동기보다 크게 후퇴한 실적을 냈다. 매출은 분기 최고 기록을 썼지만, 지난 4월부터 부과된 25% 자동차 관세 비용이 3분기부터 처음으로 온전히 반영되면서 작년 동기 대비 영업이익 감소 폭은 전분기보다 더 커졌다. 다만 현대차는 한미 관세협상 타결로 향후 관세라는 모래주머니를 어느 정도 내려놓고 뛸 수 있게 되면서 4분기 이후에는 실적 반등을 이룰 것으로 기대된다. 한 달여 전부터 먼저 15% 관세를 받은 미국 시장 내 최대 경쟁자 일본·유럽 브랜드와 앞으로는 동등한 조건에서 겨룰 수 있게 되면서다. 현대차, 오늘 3분기 실적 발표 (평택=연합뉴스) 홍기원 기...
기사 본문
미국, 한국산 자동차·부품 관세 인하 합의…日·EU와 동등 대우 현대차 실적 개선·GM 생산 유지 기대…상의 "무역 안정 신호" /그래픽=비즈워치 한미 간 자동차 관세 협상이 타결되면서 국내 자동차 업계가 숨통을 틔웠다. 미국이 한국산 자동차와 부품에 부과해온 25%의 고율 관세를 15%로 인하하기로 하면서, 올해 하반기부터 본격화된 '관세 쇼크' 부담이 완화될 전망이다. 실적 꺾였던 현대차…반등 기대감↑ 지난 29일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한미 정상회담 이후 브리핑에서 "미국이 한국에 부과하는 자동차 관세를 25%에서 15%로 인하한다"고 밝혔다. 그는 "한국의 대미 최대 수출 품목인 자동차에 대해 일본·유럽연합(EU)과 동등한 수준의 관세율을 적용받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번 조치는 지난 7월 양국이 합의했으나 세부 조율이 지연돼 발효되지 못했던 협상을 최종 마무리한 것이다. 그동안 한국은 25%의 관세를 그대로 적용받으면서 가격 경쟁력 측면에서 일본·유럽산 대비 불리한 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