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3분기 기준 최대 매출에도 미 관세에 영업익 29.2%↓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현대차·기아 양재사옥. 현대차 제공 현대자동차가 역대 3분기 기준 최대 매출액을 달성했음에도 미국 자동차 관세 영향으로 영업이익이 29.2% 급감했다. 3개월 동안 부담한 관세 손실만 무려 1조8000억원에 이른다. 만약 한미 관세협상이 타결되지 않았다면 현대차는 수조원의 손실을 추가로 감당할 뻔했다. 현대차는 한국 수출 자동차에 대한 자동차 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추기로 합의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곧바로 "어려운 협상 과정을 거쳐 타결에 이르기까지 헌신적으로 노력한 정부에 감사드린다"고 사의를 표했다. 현대차는 30일 3분기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에서 "관세와 인센티브 증가로 자동차 부문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1조원가량 줄어들었다"고 밝혔다. 현대차는 올 3분기 매출액 46조7214억원, 영업이익 2조5373억원을 거뒀다. 매출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8.8% 늘었으나 영업이익은 29.2% 감소했다. 미국 관세에 따른 비용은 1조8210억원으로 2분기(약 8200억원)의 2배...
기사 본문
연간 4조 비용절감 기대 25% 관세로 3분기 1.8조 손실 환율·원자재값 부담 겹쳤지만 11월 품목관세 인하 확정되며 현대차 2.4조·기아 2조씩 절감 북미 판매량 늘수록 효과 커져 車부품사·타이어3사 수혜전망 현대자동차의 올해 3분기 수익성 악화는 연말 개선될 가능성이 크다. 관세 리스크가 연말부터 본격적으로 해소될 전망이기 때문이다. 한·미 정상회의를 계기로 양국 간 관세 협상이 극적으로 타결되면서 이르면 11월부터 품목 관세는 15%로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증권업계 등에서는 이번 관세 협상 타결 영향으로 현대차·기아가 연간 3조~4조원가량의 영업손실 완화 효과를 얻을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다올투자증권은 관세 협상 타결과 관련해 현대차와 기아가 연간 각각 2조4000억원과 2조원가량의 영업손실을 줄여 총 4조4000억원을 아낄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호조세를 띠고 있는 현대차·기아의 북미 판매량이 늘어날수록 관세 절감 효과는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 관계자...
기사 본문
매출 46조7214억·영업익 2조5372억 달성 글로벌 판매량 2.6% 증가…103만8353대 ◆…현대자동차 CI. 현대자동차가 올 3분기 47조원에 육박하는 매출을 거두며 역대 3분기 최대치를 달성했다. 다만 미국 발 관세, 인센티브, 기말 환율 부담 등이 겹치며 수익성이 다소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30일 공시에 따르면 현대자동차는 3분기 연결기준 매출 46조7214억원, 영업이익 2조5372억원, 당기순이익 2조5481억원으로 잠정 집계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8.8% 증가한 반면 영업이익은 29.1%, 당기순이익은 20.5% 줄었다. 전분기 비교 시에는 매출이 3.2%, 영업이익이 29.6%, 당기순이익이 21.6% 감소했다. 영업이익률은 전년 동기 대비 2.9%p 하락한 5.4%를 기록했다. 부문별로는 자동차 매출이 36조7145억원(비중 78.58%), 차량 할부금융, 결제대행업무 등이 포함된 금융 매출이 7조189억원(15.39%), 철도차량 제작, 특장제품 생산,...
기사 본문
3분기 2.5조 벌어…4년새 최저 4분기 15% 적용땐 수익성 개선 40여종 신차 앞세워 북미 공략 현대자동차가 미국 시장 판매 호조에 힘입어 올해 3분기 최대 매출을 기록하고도 관세 때문에 이익이 큰 폭으로 감소했다. 다만 한·미 관세협상 타결로 자동차 수출 관세가 일본, 유럽 등 경쟁국과 같은 15%로 낮아짐에 따라 4분기부터는 수익성이 개선될 전망이다. 현대차는 차값이 비싼 하이브리드카와 프리미엄 브랜드 제네시스 판매를 늘려 북미 사업에 고삐를 죈다는 전략이다. 팰리세이드 현대차는 3분기 영업이익이 1년 전보다 29.2% 감소한 2조5373억원을 기록했다고 30일 발표했다. 세타2 GDI 엔진 리콜 품질 비용 1조3602억원을 반영한 2022년 3분기(1조5518억원) 후 가장 적은 이익이다. 현대차는 25%에 달하는 미국 관세 비용으로 3분기에만 1조8210억원의 비용을 썼다. 앞선 2분기 영업이익 감소분(8282억원)에 비해 두 배 이상 많아졌다. 2분기까지는 관세 부과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