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민노총 산하 택배노조 "0~5시 심야배송 제한해야" 전국택배노조 "쿠팡의 심야배송, 노동자 죽음으로 몰아" "맞벌이 부부 어쩌라고"… 소비자 '발칵'
기사 본문
노동권과 생활권, 정치의 한복판에서 충돌하다 “속도를 멈출 것인가, 구조를 바꿀 것인가” (왼쪽부터)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장혜영 전 정의당 의원, 윤종오 진보당 의원. 새벽은 누군가에게 하루의 시작이지만, 또 다른 누군가에게는 끝나지 않은 노동입니다. 편리함의 이름으로 불리던 ‘새벽배송’이 이제, 우리 사회의 가장 격렬한 전장으로 떠올랐습니다. 택배노조는 “자정부터 오전 5시까지 배송을 제한하자”고 제안했습니다. 노동자의 죽음을 멈추기 위해서입니다. 그러자 맞은편에서는 “2,000만 국민의 일상을 멈추자는 말이냐”고 반발했습니다. 논쟁은 단순히 배송 시점이 아니라, 시간을 누가 점유하고, 누가 잃는가의 문제로 번졌습니다. ■ 한동훈 “2천만 명의 생활, 정치의 실험대 삼지 말라” 논쟁의 불씨는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가 먼저 지폈습니다. 지난 28일 자신의 SNS에 “민노총과 민주당 정권의 새벽배송 전면 금지는 2,000만 국민의 일상생활을 망가뜨릴 것”이라며, “맞벌이 부부...
기사 본문
택배노조 새벽배송 금지 제안 소비자단체들 일제히 비난 이용자 64% "없어지면 불편" 자영업자들도 우려 목소리 "물류 막히면 소상공인 피해" 쿠팡 노조도 반대 입장문 내 "일자리 잃고 물류대란 올 것" 만 2세 자녀를 키우고 있는 직장인 A씨는 '새벽배송'이 없어질지 모른다는 소문에 신경이 곤두섰다. 맞벌이인 그는 평일엔 장을 볼 여유가 없어 온라인 쇼핑에 의지해왔다. A씨는 "기저귀, 물티슈, 간식거리 등 육아에 당장 필요한 물품이 떨어져도 밤중에 주문하면 되니 육아와 일을 병행하는 이들에게 새벽배송은 너무 소중하다"고 말했다. 이어 "장시간 노동·야간 과로가 문제라면 인력을 더 늘리는 방법이 있다"며 "이에 따라 멤버십 이용료가 인상되더라도 기꺼이 지불할 용의가 있다"고 덧붙였다. 최근 민주노총 산하 전국택배노동조합(택배노조)이 자정부터 오전 5시까지 배송 금지를 여당과 정부에 제안했다는 소식에 소비자와 새벽배송 노동자가 동시에 반발하고 나섰다. 소비자단체들은 택배노조의 제안을 ...
기사 본문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와 장혜영 전 정의당 의원이 민노총의 새벽배송 금지 주문을 두고 온라인에서 설전을 벌였다. (출처=뉴스1)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노총)이 제안한 ‘새벽배송 금지’ 논의를 두고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와 장혜영 전 정의당 의원이 정면으로 맞붙었다. 한 전 대표는 “국민의 일상을 망가뜨릴 정책”이라 비판했고, 장 전 의원은 “조악한 갈라치기”라고 응수했다. ● “민노총이 아니라 국민이 두려운 존재여야 한다” 한 전 대표는 29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민노총과 민주당 정권이 ‘택배 사회적 대화 기구’에서 새벽배송 전면 금지를 논의했다”며 “이는 국민의 일상생활을 망가뜨릴 것”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한 대표는 “새벽배송이 금지되면 늦게 퇴근하는 맞벌이 부부와 새벽 장보기에 의존하는 약 2000만 명의 국민, 생산자와 소상공인, 배송 기사 모두 피해를 입는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민주당 정권이 두려워해야 할 것은 민노총이 아니라 시장과 국민이다” “노동환경 개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