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디스플레이, 3분기 영업이익 4310억원…4년 만의 흑자전환 확실시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실적 턴어라운드 성공 매출액 6조9570억원 3분기 누적 영업이익 3485억원 OLED 중심 사업 체질 개선 강도 높은 원가 혁신 결실 LG디스플레이 파주 사업장 전경. [LG디스플레이 제공] [헤럴드경제=박지영 기자] LG디스플레이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중심의 사업 체질 개선과 강도 높은 원가 혁신 활동으로 실적 턴어라운드에 성공했다. LG디스플레이는 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6조9570억원, 영업이익 4310억원을 기록했다고 30일 발표했다. 올 상반기 누적 영업손실은 826억원을 기록했지만, 이를 뛰어넘는 영업이익을 기록하면서 턴어라운드에 성공한 것이다. EBITDA(상각 전 영업이익)는 1조4239억원로 전분기 대비 35%, 전년 동기 대비 23% 증가했고, EBITDA 이익률도 20.5%를 기록했다. 이로써 3분기까지 누적 매출 18조6092억원, 누적 영업이익 3485억원을 기록했다. 이로써 4년만에 연간 흑자 전환이 확실시된다. LG디스플레이 관계자는 “OLED 제...
기사 본문
LG디스플레이가 OLED 신소재 개발로 원가 혁신을 이루며 시장 확대에 박차를 가한다. LG디스플레이 4세대 OLED. 사진 LG디스플레이 중국의 거센 추격에도 국내 디스플레이 업계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경쟁력을 바탕으로 실적 개선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LG디스플레이는 4년 만에 적자 탈출을 눈앞에 뒀고, 삼성디스플레이는 차세대 생산 라인 구축과 폴더블 기술 고도화로 격차 확대에 나선다. 30일 LG디스플레이는 3분기에 매출 6조9570억원, 영업이익 4310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806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던 영업이익은 흑자로 돌아섰다. 3분기 누적 영업이익은 3485억원으로, 2021년부터 이어진 연간 적자 행진을 끊고 올해 흑자 전환이 확실시된다. 구원투수는 OLED였다. 3분기 전 제품군 중 OLED 매출 비중은 65%로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김성현 LG디스플레이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실적 발표 콘퍼런스콜에서 “그동안 추진해온 OLED 중...
기사 본문
OLED 중심 고강도 원가혁신 결실 경영 효율화와 수익성 개선에 방점 LG디스플레이가 강도 높은 체질개선을 통해 3분기 4000억원대의 영업이익을 달성하고 4년 만에 연간 흑자 전환을 눈앞에 두고 있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제품 중심으로 수익성 위주 포트폴리오를 구축한 것이 유효했던 것으로 분석되는 가운데, 회사는 4분기와 내년에도 OLED 제품 위주로 사업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이와함께 현재 단행하고 있는 인력 효율화 작업 역시 4분기에도 지속한다는 방침이다. LG디스플레이는 실적 발표 콘퍼런스 콜을 통해 3분기 매출 6조9570억원, 영업이익 4310억원을 기록했다고 30일 밝혔다. 지난해 같은기간과 비교해 매출은 2% 늘었고 , 영업이익은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회사는 지난해 3분기 806억원의 영업적자를 기록한 바 있다. 호실적 배경에는 저수익 사업 정리와 함께 고부가가치 사업 위주로 포트폴리오를 재편하고, 인력 효율화를 단행한 것이 주효했다. 김성현 LG디스플레이 최...
기사 본문
전 제품군 OLED 패널 출하 확대 전체 매출 가운데 OLED 비중 65% LGD 파주 사업장 전경.ⓒLG디스플레이 [데일리안 = 임채현 기자] LG디스플레이가 올해 3분기 흑자 전환에 성공하며 OLED 중심 사업 체질 전환의 성과를 확인했다. 고부가 OLED 제품 비중 확대와 원가 효율화가 맞물리며 4년 만의 연간 흑자 달성이 가시권에 들어섰다는 평가다. LG디스플레이는 30일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매출 6조9570억원, 영업이익 4310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 증가했고 영업익은, 전년(806억 적자)과 전 분기(1160억 적자) 대비 흑자 전환했다. 3분기 실적 개선의 핵심은 OLED 제품군 확대다. 전체 매출 중 OLED 비중은 역대 최고치인 65%를 기록했다. 계절적 성수기에 더해 중소형 OLED 신제품 공급이 늘었고, 프리미엄 중심 제품 포트폴리오가 수익성 개선으로 이어졌다. 제품 판매 비중은 ▲모바일·웨어러블 등 소형 제품 39% ▲노트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