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 최혜국 대우에 업계 안도…바이오시밀러는 추이 주시 중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제약바이오업계 "불확실성 제거돼 의미 커…추가적인 산업 경쟁력 강화 위한 전략 필요" (서울=뉴스1) 김지영 디자이너 = 한미 양국은 3500억 달러(약 498조 원) 규모의 대미 투자 펀드 중 2000억 달러를 현금 투자하기로 합의했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29일 오후 경주 APEC 국제미디어센터에서 '한미 정상 오찬 정상 회담' 관련 브리핑을 통해 이같은 내용의 관세 협상 세부 내용 합의안을 발표했다. /사진= 뉴스1 미국이 한국 의약품에 최혜국 대우로 15%의 관세를 적용하기로 하면서 국내 제약바이오업계가 안도하고 있다. 무엇보다 불확실성이 제거됐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는 평가다. 다만 의약품 수출 중 큰 비중을 차지하는 바이오시밀러(생물의약품 복제약) 관세는 별도 언급이 없어 업계는 향후 추이를 주시하는 중이다. 30일 정부에 따르면 전날 한국과 미국은 관세 협상 세부 내용에 합의하면서 한국이 미국에 수출하는 의약품에는 최혜국 대우를 적용, 15%의 관세를 물리기...
기사 본문
바이오시밀러 관세율 등 불분명... 대통령실 “세부 내용 협의 진행중” 이재명 대통령이 29일 경북 경주 힐튼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대통령 주최 정상 특별만찬에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영접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과 미국의 관세 협상이 타결되면서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는 '최악을 피했다'는 분위기이지만 불확실성을 완전히 해소하지는 못했다는 모습이다. 바이오시밀러의 정확한 관세율 등이 구체적으로 밝혀지지 않아 다소 혼란스러운 가운데, 대통령실은 이같은 상황에 대해 "알고 있고, 양국이 세부 내용을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전날 저녁 한·미는 한국의 미국 수출 의약품에 대해 최혜국 대우를 적용하고, 제네릭(복제약) 의약품에 대해서는 관세를 부과하지 않기로 합의했다. 다만, 양국이 정확한 내용을 문건으로 내놓지 않은 상태여서 업계에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세부적으로 보면, 바이오시밀러에 적용되는 최혜국 대우라는 것이 정확히 몇 퍼센트의 관세율을 말하...
기사 본문
기존 적용받던 5~8% 관세 면제 연 수출액 3억弗서 더 늘어날듯 '의약품 15% 관세'에 업계 안도 광주광역시의 한 창고형 약국 매대에 의약품이 진열돼 있다. (사진은 기사와 관계없음) 연합뉴스 [서울경제] 한미 관세 협상에서 한국산 제네릭(복제약)이 무관세 대상 품목으로 정해지면서 연 3억 달러 안팎의 규모로 추산되는 국내 제네릭의 대미 수출에도 청신호가 켜질 것으로 보인다. 기존에 부과되던 5~8%의 관세조차 제네릭은 적용받지 않게 돼 가격 경쟁력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한미 관세협상 타결로 의약품 수출의 불확실성이 사라진 가운데 무관세가 적용되는 제네릭의 대미 수출이 늘어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국내 제약사가 허가를 받은 제네릭 품목은 1000건 이상이다. 대표적 제품으로는 고지혈증 치료제 ‘로수바스타틴’, 고혈압 치료제 ‘암로디핀’, 당뇨 치료제 ‘시타글립틴’ 등이 꼽힌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 따르면 지난해 대...
기사 본문
제네릭 무관세… 최혜국 대우 확보 한국바이오협회가 30일 입장문을 통해 한미 관세 협상 타결에 대한 의견을 밝혔다. 사진은 전날 경북 경주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왼쪽)을 영접하는 이재명 대통령. /사진=뉴시스(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국내 바이오업계가 한국과 미국의 관세 협상 타결에 대해 환영의 뜻을 밝혔다. 한국바이오협회는 30일 입장문을 통해 "한국은 미국과 상호관세 및 품목관세 인하, 대미 투자 확대 등을 골자로 하는 한미 관세 협상을 타결했다"며 "여기에는 국내 의약품에 대한 최혜국 대우와 제네릭(복제약) 의약품에 대해 무관세를 적용한다는 내용이 포함됐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수입 의약품에 대한 100%, 최대 250% 관세 부과를 언급해 국내 바이오업계는 세계 최대 시장이자 우리의 주력 수출시장인 미국을 진출함에 있어 불확실한 통상 환경에 놓여 있었다"며 "이번 관세 협상 타결로 미국으로 의약품을 수출함에 있어 유럽 및 일본 등 경쟁국에 비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