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E&A 3Q 영업익 1765억…전년比 13% ↓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매출액은 1조 9956억…전년比 13% ↓ "원가개선으로 시장 전망치 상회…年목표 달성 순항" [이데일리 남궁민관 기자] 삼성E&A는 30일 잠정실적 공시를 통해 연결기준 올해 3분기 매출액 1조 9956억원, 영업이익 1765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년동기대비 매출액은 13.9%, 영업이익은 13.4% 감소한 실적이다. 같은 기간 순이익은 0.6% 감소한 1574억원으로 집계됐다. 삼성E&A 관계자는 “프로젝트 원가개선으로 시장전망치를 상회하는 영업이익을 달성했다”며 “사우디 파딜리 가스 등 대형 화공 플랜트와 국내 산업환경 플랜트 매출이 본격적으로 반영되면서 연간 목표 달성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설명했다. 3분기 수주는 1조 4394억원, 올해 누적으로 4조 878억원을 기록했으며 수주잔고는 18조원을 확보했다. 하반기에는 에너지 전환, LNG 등 미래 신상품 중심의 수주 성과로 포트폴리오 확장을 가속화했다. 삼성E&A는 실적발표 당일 6800억원 규모 미국 와바시 저...
기사 본문
[삼성E&A 기업이미지(CI) (삼성E&A 제공)] 삼성E&A는 올 3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작년 동기 대비 13.4% 감소한 1천765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오늘(30일) 밝혔습니다. 매출은 1조9천956억원으로 13.9%, 순이익은 1천574억원으로 0.6% 각각 줄었습니다. 다만 영업이익은 시장 전망치 1천662억원을 6.2% 상회했습니다. 삼성E&A는 "프로젝트 원가 개선으로 시장 전망치를 웃도는 영업이익을 달성했다"며 "사우디 파딜리 가스 등 대형 화공 플랜트와 국내 산업환경 플랜트 매출이 본격적으로 반영되면서 연간 목표 달성도 가능할 것"이라고 실적 배경을 설명했습니다. 3분기 수주는 1조4천394억원, 올해 누적은 4조878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수주 잔고는 18조원입니다. 하반기에는 에너지 전환, 액화천연가스(LNG) 등 미래 신상품 중심의 수주 성과로 포트폴리오 확장을 가속하고 있다고 삼성E&A는 설명했습니다. 삼성E&A는 앞서 이날 오전에는 6천800억원 규모의...
기사 본문
첫 미국 친환경 프로젝트 삼성E&A가 미국에서 6800억 원 규모의 친환경 플랜트(공장) 건설 수주에 성공했다. 삼성E&A의 미국 친환경 에너지 시장 첫 수주로 미국 시장 확장을 위한 ‘교두보’를 마련했다. 이번 사업은 한·미 정부도 공동 참여하는 국가단위 프로젝트이기도 하다. 한국 친환경 플랜트 엔지니어링 기술이 미국 청정에너지 시장에서 인정받은 상징적 사례라는 평가다. ◆한미 정부도 프로젝트 참여 삼성E&A는 30일 미국의 친환경 암모니아 생산기업 와바시 밸리 리소스와 약 6800억 원 규모의 ‘미국 와바시 저탄소 암모니아 플랜트’ 설계·조달·제작(EPF)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계약기간은 30개월이다. 이번 플랜트는 인디애나주 웨스트 테레 호트(West Terre Haute)에 건설되며, 삼성E&A가 직접 설계를 수행하고 주요 설비 제작까지 맡는다. 와바시 밸리 리소스는 완공 후 연간 50만t의 암모니아를 생산하고 167만t의 이산화탄소를 포집할 예정이다. 생산된 암모니아...
기사 본문
"프로젝트 원가 개선, 시장 전망치는 상회" 에너지 전환·LNG 등 신사업 추진 등 포트폴리오 확장 속도 ⓒ삼성E&A [데일리안 = 배수람 기자] 삼성E&A는 30일 잠정실적공시를 통해 올해 3분기 매출 1조9956억원, 영업이익 1765억원, 순이익 1574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3.9%, 영업이익은 13.4%, 순이익은 0.6% 각각 감소했다. 삼성E&A 관계자는 "프로젝트 원가개선으로 시장전망치를 상회하는 영업이익을 달성했다"며 "사우디 파딜리 가스 등 대형 화공 플랜트와 국내 산업환경 플랜트 매출이 본격적으로 반영되면서 연간 목표 달성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설명했다. 3분기 수주는 1조4394억원, 올해 누적 수주는 4조878억원을 기록했으며, 수주잔고는 18조원 규모다. 하반기에는 에너지 전환, LNG 등 미래 신상품 중심의 수주 성과로 포트폴리오 확장을 가속화하고 있단 설명이다. 삼성E&A는 이날 오전께 6800억원 규모 미국 와바시 저...
기사 본문
삼성E&A 미국 와바시 저탄소 암모니아 플랜트 현장위치도 삼성E&A가 미국에서 6800억원 규모의 저탄소 암모니아 플랜트를 수주했다. 창사 이래 첫 저탄소 암모니아 플랜트 프로젝트를 미국에서 확보하면서, 친환경 에너지 신시장 진출을 본격화했다. 삼성E&A는 미국 와바시 밸리 리소스(Wabash Valley Resources)와 '미국 와바시 저탄소 암모니아 프로젝트 '설계·조달·제작(EPF)'에 대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30일 공시했다. 창사 이래 첫 저탄소 암모니아 플랜트 수주로, 계약금액은 약 6800억원(미화 4억7500만달러)이다. 계약기간은 30개월이다. 미국 인디애나주(州) 웨스트 테레 호트(West Terre Haute) 지역에 건설되는 이번 프로젝트는 연간 50만톤의 암모니아를 생산하고, 167만톤의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는 능력을 갖춘 친환경 암모니아 시설이다. 생산된 암모니아는 미국 중서부 지역 농지대의 비료로 사용될 예정이다. 미국 에너지부(DOE)와 한국의 국토교통부...
기사 본문
美 와바시 저탄소 암모니아 프로젝트 EPF 계약 체결 창사 이래 처음으로 저탄소 암모니아 시장 진출 韓·美 공동투자 국가 프로젝트… 美시장 재진입 의의도 [이데일리 남궁민관 기자] 삼성E&A가 창사이래 첫 저탄소 암모니아 플랜트를 미국에서 수주하면서 친환경 에너지 신시장 진출을 본격화했다. 삼성E&A 미국 와바시 저탄소 암모니아 플랜트 위치도.(사진=삼성E&A) 삼성E&A는 미국 와바시 밸리 리소스와 ‘미국 와바시 저탄소 암모니아 프로젝트 EPF(설계·조달·제작)’에 대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30일 공시를 통해 밝혔다. 창사 이래 첫 저탄소 암모니아 플랜트 수주로, 계약금액은 약 6800억원(미화 약 4억 7500만 달러)이며 계약기간은 30개월이다. 미국 인디애나주 웨스트 테레 호트 지역에 건설되는 이번 프로젝트는 연간 50만t의 암모니아를 생산하고, 167만t의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는 능력을 갖춘 친환경 암모니아 시설이다. 생산된 암모니아는 미국 중서부 지역 농지대의 비료로 사용될 ...
기사 본문
美 친환경 에너지 첫 진출 한·미 공동 투자 국가 프로젝트 美 중서부 농지대 비료로 공급 글로벌 수주 확대 속도낼 듯 삼성E&A가 미국에서 대규모 친환경 플랜트(공장) 건설 수주에 성공했다. 삼성E&A의 미국 친환경 에너지 시장 첫 수주로 미국 시장 확장을 위한 ‘교두보’를 마련했다는 의미가 있다. 특히 이번 사업은 한·미 정부가 공동 참여하는 국가 단위 프로젝트로, 한국 친환경 플랜트 엔지니어링 기술이 미국 청정에너지 시장에서 인정받은 상징적 사례라는 평가다. ◇ 한·미 정부도 프로젝트 참여 삼성E&A는 30일 미국의 친환경 암모니아 생산기업 와바시밸리리소스와 ‘미국 와바시 저탄소 암모니아 플랜트’ 설계·조달·제작(EPF) 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계약 규모는 6800억원으로, 기간은 30개월이다. 플랜트는 인디애나주 웨스트 테러호트에 건설되며, 삼성E&A가 직접 설계를 수행하고 주요 설비 제작도 맡는다. 와바시밸리리소스는 완공 후 연간 50만t의 암모니아를 생산하고 167만t...
기사 본문
저탄소 암모니아 시장 첫 진출 미래 친환경 에너지 전환 신상품 확보 삼성E&A가 창사 이래 첫 저탄소 암모니아 플랜트를 미국에서 수주하면서 친환경 에너지 신시장 진출을 본격화했다. /삼성E&A 삼성E&A가 창사 이래 첫 저탄소 암모니아 플랜트를 미국에서 수주하면서 친환경 에너지 신시장 진출을 본격화했다. 삼성E&A는 미국 와바시 밸리 리소스와 '미국 와바시 저탄소 암모니아 프로젝트 EPF(설계·조달·제작)'에 대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30일 공시를 통해 밝혔다. 창사 이래 첫 저탄소 암모니아 플랜트 수주로, 계약금액은 약 6800억원(미화 약 4억7500만달러)이며, 계약기간은 30개월이다. 미국 인디애나(州) 웨스트 테레 호트 지역에 건설되는 이번 프로젝트는 연간 50만톤(t)의 암모니아를 생산하고, 167만t의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는 친환경 암모니아 시설이다. 생산된 암모니아는 미국 중서부 지역 농지대의 비료로 사용될 예정이다. 특히 미국 에너지부와 한국 국토교통부·기후에너지환경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