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계면세점도 접는다…"인천공항 일부 사업권 반납"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신라면세점에 이어 신세계면세점도 인천공항 면세점에서 일부 철수한다. 신세계디에프는 30일 이사회에서 신세계면세점의 인천공항 면세점 DF2(주류·담배) 권역에 대한 영업을 정지하기로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신세계면세점은 "고환율, 경기 둔화, 주 고객의 구매력 감소 및 소비 패턴의 변화 등 면세 시장에는 부정적이고 예측하기 어려운 환경이 지속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인천공항 임대료 인하를 요청했으나 받아 들여지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신세계면세점은 또 "운영을 지속하기에는 경영상에 손실이 너무 큰 상황"이라며 "시내 면세점 명동점과 DF4(패션·잡화)에 역량을 집중해 면세점 체질 개선을 도모할 것"이라고 전했다. 신세계면세점은 2023년 객당 단가를 기준으로 한 임대료를 지불하는 조건으로 인천공항 면세점 운영 사업권 계약을 맺었다. 다만 소비 패턴 변화, 구매력 감소 등으로 적자가 과도하게 발생하고 있다며 공항공사에 임대료 조정을 요구해 왔다. 신세계면세점은 인천공항 DF2 권...
기사 본문
위약금 감수하고 DF2 면세점 철수 결정 수천억 손실 사전 차단…기업 존속 우려도 조만간 재입찰…임대료 체계 근본적 개선 필요 신세계면세점이 인천국제공항 T2에서 운영 중인 화장품·향수 매장. / 사진=신세계디에프 신세계면세점이 인천국제공항 제1·2터미널 DF2(화장품·향수·주류·담배) 구역에서 손을 뗀다. 호텔신라의 신라면세점에 이어 또 다른 대기업마저 인천공항에서 철수를 선택했다. 국내 면세시장이 과거와 같이 회복되기 어려운 상황에서 대규모 적자라도 끊어내기 위한 결단으로 풀이된다. 다만 일각에서는 신세계그룹의 면세 사업 자체가 위축될 수밖에 없다는 우려도 나온다. 신세계마저 신세계디에프는 30일 이사회를 열고 인천공항 DF2 영업을 2026년 4월 27일 종료하기로 의결했다고 밝혔다. 신세계디에프는 2023년 이 구역 사업자로 선정돼 10년간 운영하기로 돼있었다. 신세계디에프 측은 "운영을 지속하기에는 경영상 손실이 너무 큰 상황"이라며 "부득이하게 사업권을 반납하기로 결정했다...
기사 본문
26일 오후 인천국제공항 내 면세점 구역에서 공항 이용객이 각종 면세점을 지나고 있다. 호텔신라와 신세계면세점은 인천지방법원에 인천국제공항점 임차료 인하 조정 신청을 제기했으며 조정 기일은 내달 2일이다. 025.05.26. 뉴시스 지난달 신라면세점에 이어 신세계면세점도 임대료 조정 갈등을 겪고 있는 인천국제공항에서 일부 철수하기로 했다. 임대료 조정 협상 결렬 후 영업을 이어가는 것보다 위약금을 내고 철수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판단한 데 따른 것이다. 신세계디에프의 모회사 ㈜신세계는 30일 이사회를 열고 인천공항 면세점 DF2 구역의 영업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DF2는 1, 2터미널에 걸쳐 화장품과 향수, 주류, 담배를 판매하는 구역이다. 신세계면세점은 해지 후 6개월간 영업을 유지해야 하는 규정에 따라 내년 4월 27일까지 운영한 뒤 철수할 예정이다. 패션·잡화를 판매하는 나머지 DF4 구역은 기존대로 영업을 이어간다. 신세계면세점은 영업 정지 사유에 대해 “고환율과...
기사 본문
신라·신세계 잇단 철수로 DF1·DF2 권역 비어 롯데免, 과거 철수 이력에 발목…이번엔 재입찰 유턴할까 [인천공항=뉴시스] 추상철 기자 = 26일 오후 인천국제공항 내 면세점 구역에서 공항 이용객이 각종 면세점을 지나고 있다. 호텔신라와 신세계면세점은 인천지방법원에 인천국제공항점 임차료 인하 조정 신청을 제기했으며 조정 기일은 내달 2일이다. 025.05.26. scchoo@newsis.com [서울=뉴시스]전병훈 기자 = 신라·신세계면세점이 연이어 인천공항 면세점 사업권을 반납하면서 공백을 메울 새 사업자에 이목이 쏠린다. 업계에서는 현재 인천공항에 입점하지 않은 롯데면세점이 유력한 후보로 거론되는 가운데, 현대면세점과 중국국영면세점그룹(CDFG)의 도전 가능성도 흘러나오고 있다. 신세계디에프의 모회사 신세계는 신세계면세점의 인천공항 면세점 DF2 권역(화장품·향수·주류·담배)에 대한 사업권을 반납하기로 결정했다고 30일 공시했다. 고환율과 구매력 감소 등으로 수익성 악화가 불가...